본문 바로가기

장미과390

병아리꽃나무 Rhodotypos scandens 장미과의 관목으로 병아리꽃나무속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줄기와 잎이 황매화와 닮았지만 흰 꽃이 새가지 끝에서 하나씩 달리고 꽃잎이 4개인 점으로 구별된다. 황해도, 경기도 및 전라남북도 등 서해안에 주로 분포하지만, 포항 발산리에는 병아리꽃나무와 모감주나무가 군락을 이루어.. 2008. 5. 18.
아그배나무 Malus sieboldii 1992년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지구환경회의에서 각 나라마다 '생명의 나무'를 지정했을 때 우리나라에서 지정한 나무가 바로 아그배나무이다. 분류학적으로는 배나무속이 아닌 사과나무속이지만 열매 모양이 돌배나무와 비슷하고 크기가 작아 아기배라 불리다가 아그배로 바뀌었다.. 2008. 5. 18.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꽃과 열매 마가목과 같은 속(Sorbus)으로 배치된 장미과의 교목으로, 하얗게 피는 꽃이 배꽃 같고 붉은 열매는 팥알을 닮아서 팥배나무라고 한다. 고르고 뚜렷한 잎맥을 가진 잎과 무수하게 달리는 붉은 열매가 아름다워 조경수로 심는다. 10~13쌍의 돌출된 잎맥의 간격이 거의 일정한 것이 눈에 띄는.. 2008. 5. 12.
이스라지 Prunus japonica var. nakaii 남한산성 ● 이스라지 Prunus japonica var. nakaii / 장미과의 낙엽관목 높이 약 1m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달걀 모양 타원형 이거나 긴 타원형이다. 잎 뒷면 맥 위에 잔털이 나고 가장자리에 잔 겹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잎과 같이 잎겨드랑이에 피고, 연한 붉은색이며.. 2008. 5. 11.
줄딸기 Rubus oldhamii ● 줄딸기 Rubus oldhamii / 장미과의 덩굴식물 가지는 옆으로 길게 2m 이상 뻗고 털이 없으나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으며, 작은 가지는 털이 없거나 있으며 붉은빛이 돌고 흰 가루가 덮인다. 잎은 어긋나고 5∼9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 2008. 5. 11.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수술은 20개 정도이고 암술대는 2개로 갈라져 있다. ●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 장미과의 낙엽활엽교목 수고 15m에 달한다. 소지에 피목이 뚜렷하고 수피는 회갈색이다. 동아는 홍색으로 광택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며 넓은 점첨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5-10㎝, 폭 3.5-.. 2008. 5. 10.
콩배나무 Pyrus calleryana var. fauriei 콩알을 연상시키는 작은 열매가 달려 콩배나무라 부른다. 열매는 작아도 콩배나무는 배꽃 못지 않게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 배꽃이 피는 4∼5월에 콩배나무도 꽃을 피운다. 배꽃은 인간들이 마련해 준 볕바른 넓은 들판에서 가지를 맘껏 뻗고 꽃을 피우지만 콩배나무는 국수나무나 병꽃.. 2008. 5. 10.
산돌배의 변종, 문배 Pyrus ussuriensis var. seoulensis 홍릉수목원의 문배나무는 한국 특산종 문배의 표준목이다. 문배는 1935년 현재의 위치인 홍릉에서 일본 나카이 교수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경성산리(京城山梨)'라는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으나, 1966년 이창복 선생에 의해 다시 문배나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열매에 꽃받침 자국이 있는 .. 2008. 5. 7.
산당화(명자나무) Chaenomeles speciosa 산당화는 흔히 명자나무라 불리는 관목으로 중국 원산으로 경상도와 황해도 이남 지방에서 자란다. 모과Chaenomeles sinensis와 같은 속으로 나무가 왜소할 뿐 꽃이나 열매는 모과와 아주 닮은 모습이다. 비슷한 풀명자나무는 일본에서 도입된 종으로 높이 1m  이내로 산당화에 비해서 왜소하다.     2008. 04. 13.               ● 산당화 Chaenomeles speciosa | Japnese Quince  /  장미목 장미과 명자나무속의 낙엽활엽관목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예두(銳頭) 예저(銳底)이며(풀명자나무는 둔거치가 있고 잎끝이 둔두 또는 예두이다) 길이 4-8cm, 폭 1.5-5cm 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나 있고 엽병이 짧으며 탁엽은 난형 또는 피.. 2008. 4. 30.
풀또기 Prunus triloba var. truncata 함경북도 회령과 무산의 산지에 자생하는 나무이지만 우리 주변에서 조경수로 흔하게 만날 수 있는 나무이다. '풀'이란 접두어가 붙어 있어 초본을 떠올리기 쉬운 이름이지만 벚나무속의 관목이다. ● 풀또기 Prunus triloba var. truncata /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의 낙엽활엽교목 잎은 호생하.. 2008. 4. 30.
처진개벚나무(수양벚나무) Prunus verecunda var. pendula 처진개벚나무는 가지가 밑으로 처지는 개벚나무(Prunus verecunda)의 변종(var. pendula)이다.    2008. 04. 13.             ● 처진개벚나무 Prunus verecunda var. pendula  /  장미과 벚나무속 낙엽활엽 교목 높이가 15m에 이른다. 소지(小枝)는 자줏빛이며 어린 가지에 털이 없고 가지가 밑으로 처진다. 잎은 난형, 넓은 또는 좁은 도란형이고 점첨두, 원저로 길이 5-8cm, 폭 2-4.5cm이며 가장자리의 톱니는 예리하고 잎 뒷면에 미모가 있다.처음에는 털이 밀생하지만 점차 없어지고 양면 맥 위에만 남는다. 엽병은 길이 11-18mm로서 털이 없거나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2-4개의 밀선이 엽신 기부에 있다. 9-10쌍의 측맥이 있다. 꽃은.. 2008. 4. 30.
섬국수나무 Physocarpus insularis 섬국수나무는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한국특산종이다.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산국수나무와 비슷하지만 잎 뒷면에 털이 없고 잎자루의 길이가 1 cm 이하인 것이 다르다.   백과사전에는 6월에 꽃이 피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홍릉수목원에서는 4월 중순에 벌써 피었다.    2008. 04. 13.      ● 섬국수나무 Physocarpus insularis  /  장미과 산국수나무속의 낙엽관목바닷가 산지에서 자란다. 높이 1 m 정도이다. 작은 가지는 약간 붉은 빛이 돈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잎 뒷면에는 흰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겹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5 mm 정도이다. 꽃은 6월에 피고 백색이며 산방꽃차례에 달린다. 꽃이삭에는 털이 없고 수술은 여러개이며 암술.. 2008. 4. 30.
이스라지 Prunus japonica var. nakaii ● 이스라지 Prunus japonica var. nakaii /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관목 높이 약 1m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달걀 모양 타원형 이거나 긴 타원형이다. 잎 뒷면 맥 위에 잔털이 나고 가장자리에 잔 겹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잎보다 먼저 또는 잎과 같이 잎겨드랑이에 피고, 연한 붉은색이며 2.. 2008. 4. 30.
귀룽나무 Prunus padus var. seoulensis 이른 봄 겨울나무 숲에서 가장 일찍 푸른 새 잎을 내미는 나무가 바로 귀룽나무이다. 귀룽나무는 자생하는 벚나무속 식물 가운데 가장 긴 총상꽃차례를 가지는 점으로 구분된다. 서울귀룽나무는 가지가 밑으로 늘어지고 꽃자루가 비교적 긴 점이 특징인 귀룽나무의 변종(var. seoulensis)이.. 2008. 4. 30.
서울귀룽나무 새잎 Prunus padus var. seoulensis 이른 봄 겨울나무 숲에서 가장 일찍 푸른 새 잎을 내미는 나무가 바로 귀룽나무이다. 귀룽나무는 자생하는 벚나무속 식물 가운데 가장 긴 총상꽃차례를 가지는 점으로 구분된다. 남한산 ● 서울귀룽나무 Prunus padus var. seoulensis | Seoul bird cherry / 장미목 장미과 벚나무속 낙엽활엽교목 수고 .. 2008.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