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용 버섯339

홍릉낙엽버섯 Marasmius brunneospermus 소형 버섯이나 지름 8cm에 이를 정도로 큰 버섯도 발견된다. 갓은 크림색에서 갈색으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되는데, 건조하면 굴곡이 생긴다. 주름살은 희고 매우 넓다. 담갈색 대는 가늘고 길며 질긴데 기부에 솜털 같은 균사가 있다. 부생성 버섯으로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나 낙엽송 낙엽층이나 유기물층에서 주로 발생한다. 식용 버섯으로 맛과 향이 좋다 한다. 2022. 08. 26. 서울 대모산 2022. 09. 01. 서울 대모산 ● 홍릉낙엽버섯 Marasmius brunneospermus ↘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낙엽버섯속 혼합림에서 단생 또는 산생한다. 갓 지름은 1.0-5.0cm의 크기로, 반구형이었다가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크림색에서 짙은 갈색이 되며, 건조하면 굴곡이 생긴다. 가.. 2022. 9. 4.
음란주름버섯 Agaricus impudicus 갓 주름은 백색에서 갈색으로 되었다가 흑갈색으로 변한다. 상처를 받으면 포도주 같은 분홍색이 된다. 여름에 대밭의 부식토에 단생 또는 군생하므로 '대밭주름버섯'이라고도 한다. 진갈색주름버섯, 숲주름버섯 등과 아주 유사하여 구별이 어렵다. 식용 버섯이다. 2022. 08. 24. 서울 대모산 ● 음란주름버섯 Agaricus impudicus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5~16cm로 처음 종 모양에서 편평한 모양으로 된다. 중앙을 중심으로 백색의 인편이 밀포한다. 자색의 흑갈색 또는 자색의 황갈색이다. 가끔 턱받이의 막질이 부착하기도 한다. 살은 얇고 백색이며 자루 위쪽의 살은 분홍색으로 약간 냄새가 난다. 주름살은 홈파진 주름살로 폭이 0.15~0.6cm이고 밀생하며 처음 백색에서 .. 2022. 8. 27.
흰주름버섯(큰들버섯) Agaricus arvensis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으로 식용 버섯이다. 크림 백색의 갓 표면은 매끄럽고 건조하며 가장자리에는 턱받이의 파편이 붙는다. 마르거나 상처 시에는 노란색, 밤색으로 노란색을 띤다. 주름은 빽빽하고 처음에는 흰색이나 서서히 검은 밤색으로 변한다. 서울 대모산 균모의 지름은 8-20cm로 둥근 산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매끄럽고 크림백색 또는 연한 황백색이며, 가장자리에는 턱받이의 파편이 부착한다. 살은 백색에서 황색으로 된다. 떨어진 주름살이고 밀생하며 백색에서 회홍색을 거쳐 흑갈색으로 된다. 자루의 길이는 5-20cm이고 굵기는 1-3cm로 속은 비었다. 자루의 근부는 부풀어 있으며 표면은 크림 백색이나 만지면 황색으로 변한다. 턱받이는 백색의 막질이고 하면에 쪼개진 부속물이 있다. 식용한다. 발.. 2018. 9. 21.
맛광대버섯 Amanita esculenta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의 버섯으로 회갈색 또는 흑갈색의 갓을 가진 비교적 대형 버섯이다. 소나무 숲 땅에 단생, 군생한다. 식용 버섯이라는데 생식은 중독의 위험이 있다고 한다. 서울 대모산 ● 맛광대버섯 Amanita esculent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7-13㎝이고 원추형에서 차차 편평하여지고, 밋밋하다. 회갈색 또는 흑갈색, 흔히 대주머니의 큰 인편이 있고, 가장자리에 방사선의 홈선이 있다. 육질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끝 볼은 주름살이고 백색 다소 밀생한다. 가장자리는 회색의 가루가 있다. 자루의 길이는 8-12㎝이고 굵기는 5-12㎜ 정도이고 회색의 미세한 털인편이 있다. 반점 모양이다. 턱밭이는 위쪽에 있고, 회색의 미세한 털인편이 있다. 반점 모양이다. 턱받이는 으.. 2018. 9. 21.
족제비눈물버섯 Psathyrella candolleana 조직이 얇고 대는 가늘고 속이 비어 부러지기 쉬우며, 주름살은 빽빽하고 흰색이나 자갈색으로 바뀐다. '울타리버섯'이라고도 하며, 여름~가을에 넓은잎나무 그루터기, 산 나무 줄기의 썩은 부분, 나무토막, 또는 그 부근의 땅에 뭉쳐 나거나 무리로 난다. 식용 버섯으로 맛과 향기는 부드럽다고 한다. 구룡령 ● 족제비눈물버섯 Psathyrella candolleana ↘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눈물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6cm로 반막질이고 종모양에서 차차 편평형으로 되며 중앙은 조금 돌출한다. 표면은 처음에 밀황색 또는 갈색에서 희게 되며 중앙부는 홍황색이고 털이 없거나 미세한 알갱이로 덮이며 마르면 매끄럽거나 주름이 있다. 가장자리는 처음에 피막의 잔편이 붙어 있고 균모가 펴지면 가장자리는 위로 들리며 째진다.. 2017. 9. 1.
버섯의 여왕, 망태말뚝버섯(망태버섯, 흰망태버섯) Phallus indusiatus 흔히 '흰망태버섯'이라 불리지만 국생정에서는 말뚝버섯속(Phallus)으로 분류하여 표준명은 망태말뚝버섯이다.(속명 Phallus는 남성의 성기를 뜻하는 말로 버섯의 생김새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품종으로 보는 노란망태버섯(Phallus luteus )과 망태버섯속(Dictyophora)으로 따로 분류하여 망태버섯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버섯의 여왕'이라고도 부르는 화려한 버섯으로 중국에서는 '죽손(竹蓀)'이라 하여 고급 요리에 쓰인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남부지방의 대나무 숲 또는 혼효림의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자란다.    2017. 07. 23.  담양      ● 망태말뚝버섯 Phallus indusiatus  ↘  말뚝버섯목 말뚝버섯과 말뚝버섯속갓은 종형이고, 갓 아래 균망이 형성. 자.. 2017. 7. 26.
노란젖버섯 Lactarius chrysorheus 무당버섯과 젖버섯속의 버섯으로, 갓 표면은 황색을 띤 연한 살색으로 동심원상의 진한 색 무늬가 있다. 갓에 상처를 내면 노란 유액이 흘러나오는 버섯이다. 유액은 흰색이지만 공기에 접하면 노란색으로 변하는데, 처음에는 쓴맛이 나지만 뒷맛은 맵다. 식용 버섯이다. 2016. 10. 09. 괴산 연풍 ● 노란젖버섯 Lactarius chrysorheu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젖버섯속 버섯갓은 어릴때에는 반둥근모양(만두모양)이나 점차 펴지며 가운데부분은 오무라들거나 혹은 깔때기모양으로 되며 변두리는 안쪽으로 말린다. 갓직경은 3~9cm이다. 겉면은 누런색을 띤 연한 살색이고 좀 진한 고리모양의 등줄이 있다. 털은 없으며 물기가 있을 때에는 껍진껍진하고 마르면 매끈해진다. 살질은 흰색이고 젖물에 의하여 누런색.. 2016. 10. 18.
외대덧버섯 Entoloma sarcopum(Rhodophyllus crassipes) 흔히 '밀버섯'이란 이름으로 불리는 식용 버섯이다. 독버섯인 삿갓외대버섯과 비슷하지만 갓 표면에 물방울 무늬가 있으며 자루가 굵고 속이 차 단단한 점으로 구별된다. 가을에 활엽수림의 땅 위에 무리를 짓거나 홀로 나며 부생생활을 한다. 2016. 10. 09. 괴산 ● 외대덧버섯 Entoloma sarcopum ↘ 주름버섯목 외대버섯과 외대버섯속 갓의 지름은 7~12cm로 원뿔모양에서 점차 가운데 부분은 높이 솟은 편평한 모양이 된다.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고 갈회색이다. 비단상 섬유로 덮여 있으며, 백회색의 얼룩이 형성된다. 살은 하얀색으로 밀가루냄새가 난다. 자루는 하얀색으로 길이가 10~18cm이며, 위아래의 굵기는 비슷하지만 일부의 경우 아랫쪽이 굵다. 표면은 매끄러우며 속은 차 있다. 주름살은.. 2016. 10. 18.
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북한명은 '개암버섯'이고, 강원도에서는 '가다발버섯'으로 부르고 있다. 송이버섯과로 분류되던 것이 지금은 뽕나무버섯과로 분류된다. 식용 버섯이지만 생식하거나 많은 양을 먹으면 중독되기도 한다. 함백산 ● 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 주름버섯목 송이과 뽕나무버섯속 뽕나무버섯의 갓은 지름 3~15cm 정도로 처음에는 평반구형이나 성장하면서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이며, 중앙부에 진한 갈색의 미세한 인편이 나 있고, 갓 둘레에는 방사상의 줄무늬가 있다. 주름살은 내린주름살형이며, 약간 성글고, 처음에는 백색이나 성장하면서 연한 갈색의 상흔이 나타난다. 대의 길이는 4~15cm 정도, 섬유질이며, 아래쪽이 약간 굵다. 표면은 황갈색을 띠며 아래쪽은 검은 갈색이다. 턱받.. 2016. 10. 9.
황소비단그물버섯(그물버섯) Suillus bovinus 여름에서 가을까지 소나무 숲속의 땅에 무리를 지어 자라는 비단그물버섯과의 식용 버섯으로, 버섯 채취꾼들은 솔버섯이라 부른다. 하지만 송이버섯과에 솔버섯이란 이름이 여럿이 군을 이루며 따로 존재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그냥 '그물버섯'이라 부른다. 송이처럼 소나무 뿌리와 균근을 형성한다고 한다. 제왕산 ● 황소비단그물버섯 Suillus bovinus ↘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3~10cm이고 처음에 반구 모양이다가 둥근 산 모양으로 변하며 나중에는 편평해진다. 갓 표면은 점성이 있고 적갈색 또는 진흙빛 갈색이다. 살은 흰색 또한 연한 살구색이고 부드럽다. 관은 내린주름살이고 올리브빛 노란색이며 구멍은 크기가 다양한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버섯대는 굵기 5~10mm, 길이 3.. 2016. 9. 22.
큰비단그물버섯 Suillus grevillei 큰비단그물버섯은 비단그물버섯속에서 비단그물버섯과 함께 턱받이가 있는 종이다. 갓 가장자리 밝은색의 테두리가 보이는 점으로 비단그물버섯과 구별된다. 북한 이름은 '꽃그물버섯'이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낙엽수림의 땅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식용할 수 있다. 대관령 ● 큰비단그물버섯 Suillus grevillei ↘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4~15cm이고 처음에 둥근 산 모양이다가 나중에 편평한 산 모양으로 변하며 가운데가 파인 것도 있다. 갓 표면은 밋밋하고 끈적끈적한데 노란색 또는 적갈색의 아교질이 있다. 갓 표면의 색깔은 처음에 밤갈색 또는 황금빛 밤갈색이다가 나중에 레몬색 또는 누런 붉은색으로 변하며 가장자리에는 내피막의 흔적이 남아 있다. 살은 촘촘하며 황금색 또는 레몬.. 2016. 9. 13.
나팔버섯(붉은나팔버섯) Gomphus floccosus => Turbinellus floccosus 처음엔 뿔피리 모양에서 점차 나팔 모양 또는 깔때기 모양으로 된다. 중심부는 밑부분까지 뚫려 있으며 가장자리는 물결형으로 윗면은 등황~적황색이고 붉은갈색의 인편이 있다. 아랫면은 주름이 길게 내리고 황백색이며, 자루는 매우 짧다. 식용 버섯인 뿔나팔버섯과 달리 위장자극 중독을 일으키는 독성이 있어 독버섯으로 분류하기도 하나 끓이면 식용이 가능하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전나무 등 침엽수림 땅 위에 홀로 또는 몇 개씩 다발로 발생한다. 2016. 07. 31. 가야산 ● 나팔버섯(붉은나팔버섯) Gomphus floccosus ↘ 나팔버섯목 나팔버섯과 나팔버섯속 자실체의 높이는 10~20cm에 이르는데, 버섯갓은 지름 4~12cm이고 처음에 뿔피리 모양이다가 자라면서 깊은 깔때기 또는 나팔 모양으로 변하며 가운.. 2016. 8. 2.
황금꾀꼬리버섯 Cantharellus luteocomus = 갈색털꾀꼬리버섯 Craterellus lutescens 황금꾀꼬리버섯은 '황금나팔꾀꼬리버섯'이라고도 하는 꾀꼬리버섯과의 버섯이다. 애기꾀꼬리버섯이나 호박꾀꼬리버섯과는 달리 주름살이 보이지 않고 갓 가장자리가 물결상이고 불규칙한 톱날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오이꽃버섯과도 유사하다. 갈색털뿔나팔버섯(Craterellus lutescens)과 색깔만 다를 뿐 모든 특징이 같아서 같은 종으로 본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소나무 숲 아래 무리를 지어 자라며 때로는 균륜(菌輪 Fairy Ring)을 형성한다. 무릉계곡 ● 황금꾀꼬리버섯 Cantharellus luteocomus /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갓은 지름 1~2.5㎝로 오목한 평반구형에서 얕은 깔때기형이 된다. 갓 표면은 백색~담황색 또는 담적등색을 띠며, 거칠고 종종 주름살이 있으며, 가장자리.. 2015. 9. 28.
등색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aurantiacum 설악산에서 만난 오렌지색 갓의 화려한 버섯. 거친껄껄이그물버섯으로 오동정되었던 것을 등색껄껄이그물버섯으로 바로잡는다. 거친껄껄이그물버섯은 갓 색깔이 회색에서 갈색이고 자루는 흰색 바탕에 회색~검은색의 미세 인편이 붙어 있으므로 다르다. 여름~가을에 사스래나무나 분비나무, 가문비나무, 잣나무 등 활엽수 혼효림의 땅에 흩어져 나거나 홀로 발생한다. 식용 버섯이며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2015. 08. 22. 설악산 ● 등색껄껄이그물버섯 Leccinum aurantiacum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껄껄이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5~12cm, 반구형이었다가 편평해지면서 중앙이 돌출한다. 표면은 건조하고, 매끄럽거나 짧은 융모가 있으며, 오렌지 홍색, 오렌지 갈색, 홍갈색 등을 띠지만 비를 맞으면 퇴색된다. 가장.. 2015. 9. 18.
꽃송이버섯 Sparassis crispa 꽃송이버섯은 꽃송이버섯과의 버섯으로 민주름버섯목으로 분류되어 왔지만 지금은 구멍장이버섯목으로 재분류되었다. 하나의 자루에서 계속 분지하여 생긴 자실체 덩어리는 꽃양배추를 연상시키며, 흰색이나 밤색의 자실체가 물결치는 수많은 꽃잎이 모인 듯한 모습을 보인다. 식용 버섯으로 여름에서 가을까지 침엽수의 자른 그루터기나 죽은 나무의 언저리에서 자생한다. 2015. 07. 05. 천마산 ● 꽃송이버섯 Sparassis crispa ↘ 구멍장이버섯목 꽃송이버섯과 꽃송이버섯속 자실체는 지름이 10~30cm 크기로 육질이고 밑부분은 굵은 줄기로 공통의 자루가 되어 있으며, 여러 차례 가지를 쳐서 꼭대기는 편평하게 되고 그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이다. 자실층은 꽃잎 뒷면에 발달하였다. 버섯대는 길이 2∼5cm, 나비 2∼.. 2015. 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