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용 버섯339

애주름버섯(콩나물애주름버섯) Mycena galericulata 갓 지름은 2~5㎝이고 회갈색~갈색(분홍색, 보라빛 분홍색인 경우도 있다 한다)이며 변두리에 줄무늬가 있다. 애주름버섯속으로 송이버섯과로 분류되기도 하나 애주름버섯과로 보고 있다. 북한에서는 '큰긴대줄갓버섯'이라 부른다. 여름~가을에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기타 활엽수의 부후목, 그루터기에 군생 또는 다발로 속생한다. 먹는 버섯이다. 2022. 09. 12. 서울 대모산 ● 애주름버섯 Mycena galericulata ↘ 주름버섯목 애주름버섯과 애주름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5.5cm로 어릴 때는 원추형에서 중앙이 높은 편평형으로 된다. 표면은 회갈색-갈색에 중앙부가 진하다. 건조할 때는 다소 연한 색이며 방사상의 반투명의 줄무늬선이 있다. 살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바른 주름살로 백색-회백색에서 연한 홍.. 2022. 9. 27.
애주름버섯(콩나물애주름버섯) Mycena galericulata 갓 지름은 2~5㎝이고 회갈색~갈색(분홍색, 보라빛 분홍색인 경우도 있다 한다)이며 변두리에 줄무늬가 있다. 애주름버섯속으로 송이버섯과로 분류되기도 하나 애주름버섯과로 보고 있다. 북한에서는 '큰긴대줄갓버섯'이라 부른다. 여름~가을에 상수리나무, 졸참나무 기타 활엽수의 부후목, 그루터기에 군생 또는 다발로 속생한다. 먹는 버섯이다. 2022. 09. 12. 서울 대모산 ● 애주름버섯 Mycena galericulata ↘ 주름버섯목 애주름버섯과 애주름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5.5cm로 어릴 때는 원추형에서 중앙이 높은 편평형으로 된다. 표면은 회갈색-갈색에 중앙부가 진하다. 건조할 때는 다소 연한 색이며 방사상의 반투명의 줄무늬선이 있다. 살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바른 주름살로 백색-회백색에서 연한 홍.. 2022. 9. 27.
긴꼬리버섯(민긴뿌리버섯) Xerula radicata => Hymenopellis radicata 갓은 연한 밤색 혹은 잿빛 밤색이고 곧게 자라는 질긴 섬유질 버섯대는 윗부분이 흰색 가루처럼 되어 있는데 버섯 대 밑부분은 부풀었다가 다시 긴 뿌리가 되어 무려 최대 35cm까지 깊이 들어간다. 여름~가을에 숲속이나 대나무밭 등 땅이나 썩은 나무에 단생한다. 뽕나무버섯과의 식용 버섯이다. 2022. 09. 12. 서울 ● 민긴뿌리버섯 Oudemansiella radicata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긴뿌리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4-10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지나 가운데 부분은 볼록하게 돌출한다. 표면은 연한 갈색 또는 연한 회갈색인데 심한 주름이 있으며 습기가 있으면 끈적기를 나타낸다. 살은 얇고 회갈색 또는 백색이다. 주름살은 바른 또는 올린 주름살로 백색이며 넓고 성기다. 자루는 지상부가 .. 2022. 9. 27.
흰우단버섯 Leucopaxillus giganteus 숲 가장자리, 낙엽이 두텁게 쌓인 완만한 땅에 20여 개체가 흩어져서 자란 모습이다. 이미 생명 활동은 정지된 채 황백색으로 말라가는 중인데도 갓 지름 약 13~18cm 정도의 대형(40cm까지 자란다고 한다.)이며, 자루는 속이 차고 단단하면서 쫄깃하다. '대형흰우단버섯', '큰은행버섯'이라고도 한다. 여름~가을에 숲속의 낙엽이 쌓인 땅에 군생하며, 드물게 단생하기도 한다. 2022. 09. 10. 서울 대모산 ● 흰우단버섯 Leucopaxillus giganteus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흰우단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7~25cm로 어떤 것은 거의 40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처음은 둥근산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지며 중앙이 들어가서 깔때기형인 것도 있다. 표면은 백색이며 약간 크림색을 나타내기도 한다. .. 2022. 9. 26.
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활엽수나 침엽수의 그루터기에 나는 송이과(뽕나무버섯과)의 버섯이다. 갓은 담황갈색으로 중앙에 어두운 돌기상 비늘조각이 있고 턱받이는 막질로 일찍 탈락한다. 식용 버섯으로 '가다발버섯', '글쿠버섯', '개암버섯', '꿀버섯'이라고도 한다. 난(蘭) 종류에 내생균근을 형성하므로 천마 재배에 중요한 버섯이다. 봄~가을에 활엽수와 침엽수의 그루터기나 죽은 가지 또는 살아 있는 나무 밑에 군생 또는 속생하는 목재부후균으로 균근을 형성한다. 2022. 09. 10. 서울 대모산 ● 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뽕나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4-15cm로 처음에 반구형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나 가운데는 조금 오목해진다. 표면은 황갈색 또는 갈색인데 가운데에는 암색의 미세한 인편이.. 2022. 9. 25.
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활엽수나 침엽수의 그루터기, 또는 땅에 나는 송이과(뽕나무버섯과)의 버섯이다. 갓은 담황갈색으로 중앙에 어두운 돌기상 비늘조각이 있고 턱받이는 막질로 일찍 탈락한다. 식용 버섯으로 '가다발버섯', '글쿠버섯', '개암버섯', '꿀버섯'이라고도 한다. 난(蘭) 종류에 내생균근을 형성하므로 천마 재배에 중요한 버섯이다. 봄~가을에 활엽수와 침엽수의 그루터기나 죽은 가지 또는 살아 있는 나무 밑에 군생 또는 속생하는 목재부후균으로 균근을 형성한다. 2022. 09. 10. 서울 대모산 ● 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뽕나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4-15cm로 처음에 반구형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나 가운데는 조금 오목해진다. 표면은 황갈색 또는 갈색인데 가운데에는 암색의 미.. 2022. 9. 24.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갓 표면은 습하며 점성이 있고 황갈색이며 갓 둘레는 담황색이고 갓 전면에 삼각형의 백색 비늘조각들이 있으며 점차 갈황색이 된다. 북한에서는 '기름비늘갓버섯'이라 부른다고 한다. 식용 버섯으로 활엽수 톱밥으로 인공 재배가 가능하다. 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가지나 그루터기에 뭉쳐난다. 2022. 09. 10. 서울 대모산 ●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갓은 지름 3~8cm로 어릴 때는 둥근 모양이나 차차 편평하게 펴진다. 갓 표면은 습하며 점성이 있고 황갈색이며, 갓 둘레는 담황색이고 갓 전면에 삼각형의 백색 비늘조각들이 있으며 점차 갈황색이 된다. 가장자리는 처음에는 안쪽으로 말리며 실모양의 갓막이 있다. 주름살은 완전히 붙은 형이며 약간 빽빽하고 처음.. 2022. 9. 24.
평원비단그물버섯 Suillus placidus 소나무와 혼합림 산속에서 만난 비단그물버섯속의 버섯. 갓 색깔이 변두리는 노랗고 가운데는 흰빛에 가까운데, 젖비단 같기도 하고 ...다소 헷갈린다. 확인하니 평원비단그물버섯! 갓 표면은 탁한 백색에서 황색 또는 황갈색으로 변하고 물에 담그면 그을은 올리브색이 된다.  식용 버섯이다. 여름~가을에 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등 오엽송의 땅에 군생 혹은 산생한다.     2022. 09. 09. 서울 대모산        ● 평원비단그물버섯 Suillus placidus  ↘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4~8(10)cm로 둥근 산 모양이다가 차차 편평형이 되며, 가운데가 약간 볼록하게 돌출되기도 한다. 표면은 밋밋하고 끈적임이 있으며, 처음에는 흰색이다가 황색 또는 황갈색이 된다. 살.. 2022. 9. 24.
풍선끈적버섯 Cortinarius purpurascens 갓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점성이 있고 털이 없으며 처음 남색에서 진흙색 또는 갈색으로 된다. 자루 밑부분은 부풀어 덩이 줄기 모양이거나 혹은 주판알 모양을 이루고 연푸른 보라색 혹은 제비꽃 색이며 상처 시에는 진한 보라색으로 변색한다. 가을에 활엽수림과 혼효림의 숲속 땅에 무리지어 난다. 식용 버섯이다. 2022. 09. 09. 대모산 기슭 소공원 유묘 ● 풍선끈적버섯 Cortinarius purpurascens ↘ 주름버섯목 끈적버섯과 끈적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11cm로 둥근산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고 중앙은 둔하게 돌출한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점성이 있고 털이 없으며 처음 남색에서 진흙색 또는 갈색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처음에 아래로 감기며 자줏빛이며 오래되어도 변색하지 않는다. 살은 두.. 2022. 9. 23.
잿빛만가닥버섯 Lyophyllum decastes 갓 표면은 회색 또는 회갈색으로 매끈하고 마르면 광택이 나며, 가장자리는 아래로 굽는다. 살은 가운데가 두껍고 가장자리가 얇으며 탄력이 있다. 만가닥버섯과의 맛 좋은 식용 버섯이다. 프라이드치킨 맛이 날 정도로 맛있는지 영명은 Fried Chicken Mushroom~~. 여름~가을에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효림 또는 활엽수림의 습한 땅에 홀로 또는 뭉쳐난다. 소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2022. 09. 09. 대모산 기슭 스트로브잣나무 언덕 ● 잿빛만가닥버섯 Lyophyllum decastes | Fried Chicken Mushroom ↘ 주름버섯목 만가닥버섯과 만가닥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6~10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지며 중앙은 약간 돌출하거나 드물게 오목한 것도 있다. 표면은 털이 없.. 2022. 9. 22.
끈적비단그물버섯 Suillus americanus 젖비단그물버섯과 비슷한데, 그물상의 관공 구멍이 훨씬 크고 상처를 주면 갈변하며, 자루에는 갈색 인편이 점상으로 촘촘하게 발달한 점이 특징이다. 식용 버섯이다. 그물버섯속(Boletus)에서 젖비단그물버섯속(Suillus)으로 분리되었다. 여름~가을에 잣나무 등 침엽수림에 난다. 2022. 09. 09. 대모산 기슭 솔밭 공원 ● 끈적비단그물버섯 Suillus americanus ↘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 균모는 지름 2.5-10㎝로 처음에는 다소 원추형이다가 후에 편평형이 된다. 표면은 황색 또는 담회갈색으로 점성이 있고 갈색의 비늘 조각이 있다. 균모의 하면에는 처음에 담황색의 막질 피막이 있으나 피막이 찢어지면 균모의 주변부에 매달리기도 하고 때로는 줄기의 위쪽에 파편상으로 부착되기.. 2022. 9. 22.
피젖버섯 Lactarius akahatsu 아파트 솔밭 정원에서 만난 젖버섯속의 버섯, 윗면은 조금 희미하지만 전체가 황적색을 띠고 있다. 상처를 입으면 남녹색으로 변색되는 점이 젖버섯아재비와 비슷하지만 내린 주름살이 2분지(두 갈래로 나뉨)되는 점이 다르다. 식용 버섯이라 한다. 여름과 가을에 저지대 소나무 숲 땅에 무리지어 자란다. 2022. 09. 08. 수서동 아파트 솔밭 2022. 09. 07. 수서동 아파트 솔밭 ● 피젖버섯 Lactarius akahatsu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젖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5-10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편평형을 거쳐 술잔 모양으로 된다. 표면은 끈적기가 조금 있고 등황색 또는 황적색이며 희미한 고리 무늬가 있으며 매끄럽다. 살은 백색이고 연한 녹색으로 변색하며 젖은 미량 분비되고 등홍색인데 공기에 닿.. 2022. 9. 22.
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대모산 정상 부근 가파른 언덕 허리를 두르는 등산로, 태풍이 몰고온 밧물이 질척거리는 풀밭에 작은 버섯들이 무리를 이루고 자라나고 있다. 해거름에 흐릿한 눈으로 볼 때는 미치광이버섯 유균인가 싶었는데, 자세히 살펴보니 뽕나무버섯 어린 개체들이다. 이렇게 진 땅에 무더기로 자라는 어린 개체들은 처음 본다. 식용 버섯으로 '가다발버섯', '글쿠버섯', '개암버섯'이라고도 한다. 난(蘭) 종류에 내생균근을 형성하므로 천마 재배에 중요한 버섯이다. 2022. 09. 07. 서울 대모산 ● 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뽕나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4-15cm로 처음에 반구형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나 가운데는 조금 오목해진다. 표면은 황갈색 또는 갈색인데 가운데에는 암색의 미세.. 2022. 9. 20.
붉은갓주름버섯 Agaricus subrufescens 자실체 조직은 백색이고 연하고 변색하지 않지만, 자실층은 백색에서 홍색을 거쳐 검은색으로 변한다. 자루는 초콜릿색 인편으로 덮여 있으며 굽었고 기부는 부풀고 속은 차 있다. 여름~가을에 낙엽의 흙 속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2022. 09. 07. 서울 대모산 ● 붉은갓주름버섯 Agaricus subrufescens ↘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 주름버섯속 갓은 크기 5.0-15.0cm로, 반구형에서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에는 비단실 모양의 섬유가 덮여 있지만 후에 심하게 압착된 연한 초콜릿색의 섬유상 인편이 찢어지면서 거친 면이 들어난다. 주름살은 담회홍색에서 흑갈색이 되며, 주름의 폭은 빽빽하고, 대에 끝붙은형이다. 대는 크기 6.0-15.0×1.0-1.5cm로 원통형이다. 밑동은 구근상으로 부풀어 있다.. 2022. 9. 20.
젖비단그물버섯 Suillus granulatus 노균으로 접어드는 버섯이어서 갓 표면이 황색으로 변하고 끈적기도 사라져 건드려도 흰 유액이 잘 나오지 않는다. 비단그물버섯속으로 갓은 밤갈색인데 습기가 있을 때는 끈적기가 있고 마르면 황색으로 된다. 식용 버섯이다.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소나무숲 땅에 군생한다. 2022. 09. 07. 서울 아파트 소나무 정원 플밭 ● 젖비단그물버섯 Suillus granulatus ↘ 그물버섯목 비단그물버섯과 비단그물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10cm로 반구형에서 둥근산 모양을 거쳐 거의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밤갈색인데 습기가 있을 때는 심한 끈적기가 있으나 나중에 마르면 황색으로 된다. 살은 연하고 황백색 또는 황색이다. 관은 선황색이며 황백색의 유액을 분비하는 성질이 있고 나중에 황갈색으로 된다. 자루의 길이는 5.. 2022. 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