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용 버섯339 맛광대버섯 Amanita esculenta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의 버섯으로 회갈색 또는 흑갈색의 갓을 가진 비교적 대형 버섯이다. 소나무 숲 땅에 단생, 군생한다. 식용 버섯이라는데 생식은 중독의 위험이 있다고 한다.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소나무 숲의 땅에 단생, 군생한다. 2022. 09. 26. 서울 대모산 ● 맛광대버섯 Amanita esculent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7-13㎝이고 원추형에서 차차 편평하여지고, 밋밋하다. 회갈색 또는 흑갈색, 흔히 대주머니의 큰 인편이 있고, 가장자리에 방사선의 홈선이 있다. 육질은 백색이다. 주름살은 끝 볼은 주름살이고 백색 다소 밀생한다. 가장자리는 회색의 가루가 있다. 자루의 길이는 8-12㎝이고 굵기는 5-12㎜ 정도이고 회색의 미세한 털인편이 있다. 반점 모양이다... 2022. 10. 11. 난버섯 Pluteus cervinus(Pluteus atricapillus) 처음 보았을 때는 회갈색 갓에 표면은 물방울무늬가 있어 외대버섯속일까 생각했는데 전혀 다른 난버섯이다. 난버섯은 갓이 회색 또는 회갈색이고 방사상 섬유상 무늬 또는 미세한 인편이 있으며 자루는 흰색이다. 식용 버섯이다. 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의 죽은 나무, 그루터기 등에 무리를 지어 자라거나 한 개씩 자란다. 목재부후균이며 소나무와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2022. 09. 26. 서울 대모산 ● 난버섯 Pluteus cervinus ↘ 주름버섯목 난버섯과 난버섯속 균모는 지름 3~4cm이며 종 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진다. 균모의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끈적기가 있으며 암회색 또는 회갈색이다. 중앙은 색깔이 진하고 매끄럽거나 진한 방사상의 섬유상 인편으로 덮인다. 살은 백색으로 얇고 유연하며 맛이 유화하나 냄.. 2022. 10. 10. 자주빛무당버섯 Russula violeipes 마치 곱게 익은 복숭아 열매를 연상시키는 빛깔에 코를 가까이 대면 상큼한 과일향까지 난다. 갓 표면은 연한 황색에 군데군데 엷은 보라빛을 띠는 무늬가 나타난다. 식용 버섯이다. 여름~가을 침엽수림, 혼효림 땅에 흩어져 나거나 무리지어 나며 식물과 공생한다. 2022. 09. 26. 서울 대모산 ● 자주빛무당버섯 Russula violeipes ↘ 주름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8~25cm이고, 둥근 산 모양에서 편평한 모양을 거쳐 차차 깔대기 모양으로 된다. 표면은 미세한 털로 덮여 있고 전체가 백색, 연한 황색, 보라빛이 나는 홍색인데 적색인 부분도 있다. 가장자리에 줄무늬 홈선이 있다. 자실체 전체에서 과일같은 단 냄새가 난다. 살은 백색이고 단단하다. 주름살은 끝붙은주름살이고 밀생한.. 2022. 10. 10. 하늘색깔때기버섯 Clitocybe odora 북한에서는 '하늘빛깔때기버섯'이라고 부른다. 갓 표면은 매끄럽고 회록색 또는 회청록색이며 가장자리는 처음에 안쪽으로 말린다. 주름살은 백색, 연한 황색, 또는 연한 녹색이다. 식용 버섯이다.늦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활엽수림 흙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자란다. 2022. 09. 26. 서울 대모산 ● 하늘색깔때기버섯 Clitocybe odora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깔때기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6cm로 처음에 편평한 둥근 산 모양에서 불규칙한 물결형으로 되고 가운데가 돌출하지만 깔때기형으로 되진 않는다. 표면은 백색으로 약간 비단 같은 털이 있고 흡수성은 아니다. 나중에 작은 적갈색의 돌출이 생기고 상처를 받으면 몇 분 후에 적갈색의 작은 반점이 생긴다. 표피 아래는 연한 녹색이고 암모니아 냄새가 강하게.. 2022. 10. 10. 흰돌기광대버섯 Amanita hongoi 광대버섯속의 버섯이다. 흰가시광대버섯(Amanita virgineoides)과 아주 유사하나 갓 표면과 자루에는 유백색에서 연한 황갈색-연한 갈색의 뾰족한 사마귀 반점이 덮여 있어 '갈색가시광대버섯'이라 부르기도 한다. 학명을 Amanita echinocephala로 쓰기도 한다. 사마귀광대버섯(Amanita perpasta)과 동일종으로 보기도 한다. 식용 버섯이다. 여름~가을에 신갈나무 등 활엽수림의 땅에 홀로 자란다. 2022. 09. 21. 서울 대모산 ● 흰돌기광대버섯 Amanita hongoi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5~17cm의 중형-대형으로 처음에 반구형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평평하게 펴지며 중앙부가 약간 볼록하다. 표면은 유백색에서.. 2022. 10. 7. 산지그물버섯 = 산그물버섯 Xerocomus subtomentosus 그물버섯과 산그물버섯속(Boletus), 또는 산그물버섯속(Xerocomus)의 버섯이다. 표면은 비로드 상이며 올리브 갈색 또는 회갈색이고 가끔 표피가 갈라져서 황색의 살이 나타나며 조직은 담황색으로 상처가 나면 청변하는데 변색하지 않는 것도 있다. 자루는 황색 또는 갓과 같은 색이며 줄무늬 선이 있다. '털그물버섯', '산지그물버섯'이라고도 하며 북한에서는 '비로드그물버섯'이라고 한다. 식용 버섯으로 여름~가을에 활엽수림과 혼합림에 난다. 소나무, 버드나무와 참나무류에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2022. 09. 19. 서울 대모산 ● 산그물버섯 Boletus subtomentosus ↘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그물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10cm로 둥근산 모양에서 거의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비로드 상이며.. 2022. 10. 6. 땅송이 Tricholoma terreum 송이과의 버섯으로, 갓 표면은 건조하고 재색, 잿빛밤색이고 가운데는 거의 검은색이며 섬유 모양의 밤색 비늘이 있다. 북한명은 '검은무리버섯'이다. 식용 버섯이다. 여름부터 가을기간에 여러 가지 나무숲에 무리로 나거나 뭉쳐난다. 가문비나무속, 소나무속 식물 수림의 땅에 난다. 외생균근을 이루는 것을 볼 수 있다. 2022. 09. 19. 서울 스트로브잣나무 정원 ● 땅송이 Tricholoma terreum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송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5~8cm로 반구형에서 둥근 산 모양-종 모양을 거쳐 차차 편평하게 되며 중앙이 조금 볼록하다. 표면은 건조하고 회갈색-암갈색이며 중앙은 거의 흑색인데 섬유상의 솜털이 인편으로 되어 있다. 가장자리는 색이 약간 연하다. 살은 백색이고 표피 아래는 회색이며.. 2022. 10. 3. 큰눈물버섯 Lacrymaria lacrymabunda (Psathyrella velutina) 갓 표면은 다갈색 또는 황갈색의 섬유상 인편이 덮여 있고 가장자리는 내피막 흔적인 섬유상의 털이 붙어 있다. 먹물버섯과 눈물버섯속(Psathyrella)으로 분류되다 지금은 눈물버섯과 눈물버섯속으로, 다시 큰눈물버섯속(Lacrymaria)으로 재배치되었다. 식용 버섯이다. 여름~가을 숲속, 길가, 공원이나 민가 정원 풀밭에 군생한다. 2022. 09. 19. 서울 스트로브잣나무숲 ● 큰눈물버섯 Lacrymaria lacrymabunda ↘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눈물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10cm로 종 모양이지만 가운데가 편평하다. 표면은 다갈색 또는 황갈색이며 섬유상의 인편으로 덮여 있다. 가장자리에는 내피막의 흔적인 섬유상의 털이 붙어 있다. 주름살은 올린 주름살로 검은 자갈색이며 검은 반점이 생기고.. 2022. 10. 3. 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식용 버섯으로 '가다발버섯', '글쿠버섯', '개암버섯', '꿀버섯'이라고도 한다. 난(蘭) 종류에 내생균근을 형성하므로 천마 재배에 중요한 버섯이다. 봄~가을에 활엽수와 침엽수의 그루터기나 죽은 가지 또는 살아 있는 나무 밑에 군생 또는 속생하는 목재부후균으로 균근을 형성한다. 2022. 09. 17. 치악산 둘레길 ● 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뽕나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4-15cm로 처음에 반구형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나 가운데는 조금 오목해진다. 표면은 황갈색 또는 갈색인데 가운데에는 암색의 미세한 인편이 덮여 있고 가장자리는 방사상의 줄무늬 선을 나타낸다. 살은 백색 또는 황색이다. 주름살은 백색이데 연한 갈색의 얼룩이 생기고 바른 또는 내린 주름살이다... 2022. 10. 3. 큰우산버섯(큰우산광대버섯) Amanita punctata 우산버섯보다 조금 크고 색이 진하며 자루도 암회색의 가루조각으로 덮여 얼룩무늬를 나타내고, 땅속 깊이 들어 있어 덮개 막이 전혀 땅 위에 나타나지 않는 것과 주름살 가장자리가 암회색으로 되어 있는 것이 뚜렷한 특징이다. 우산버섯은 대의 표면과 주름살 날부분이 흰색이지만 큰우산버섯은 약간 검은색 톤을 띠고 있다. 여름~가을에 풀밭, 수풀, 양지바른 땅에 한 개씩 나거나 무리로 난다. 소나무, 이깔나무와 참나무 등 수목에 외생균근을 형성한다. 식용 버섯이지만 위장관 자극 중독이 유발되기도 한다. 2022. 09. 17. 치악산 둘레길 ● 큰우산버섯 Amanita punctata ↘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광대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7cm로 종 모양에서 둥근 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습할 때 끈.. 2022. 10. 2. 술꾼에게만 독버섯, 배불뚝이연기버섯(배불뚝이깔때기버섯) Ampulloclitocybe clavipes 이름은 '배불뚝이'이지만 자루 윗부분은 가늘고 밑부분이 곤봉 또는 둥근 뿌리 모양을 하고 있다. 회갈색 갓은 깔때기 형태를 이루어 깔때기속으로 다루어 배불뚝이깔때기버섯이란 이름으로 불려 왔으며 북한명도 '검은깔때기버섯'이다. 지금은 벚꽃버섯과 연기버섯속으로 재배치되었다. 맛과 냄새가 좋은 식용 버섯이다. 하지만 코프린(coprine)이라는 독 성분이 있어 혈중 알코올의 분해를 막기 때문에 술과 함께 먹으면 중독 증상이 나타난다. 중독 증상은 얼굴과 목에 홍조가 생기고 구토·현기증·두통·호흡곤란 등이 일어난다. 두엄먹물버섯에도 이 성분이 들어 있다. 2022. 09. 17. 치악산 둘레길 ● 배불뚝이깔때기버섯 Clitocybe clavipes ↘ 주름버섯목 송이버섯과 깔때기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5~7c.. 2022. 10. 2. 외대덧버섯 Entoloma sarcopum(Rhodophyllus crassipes) 외대덧버섯이란 버섯을 만난다. 수없이 등산을 하면서도 잘 만나지 못했던 녀석인데, 아주 기골이 장대한 놈이 다가와 윙크를 날렸고 나는 한눈에 알아 보고 미소로 화답했다. 아래에는 작은 버섯도 있었는데 머리가 붉게 물들은 모습이다. 포자가 외대버섯처럼 담홍색이라는 것~. 흔히 '밀버섯'이란 이름으로 불리는 식용 버섯이다. 독버섯인 삿갓외대버섯과 비슷하지만 갓 표면에 물방울 무늬가 있으며 자루가 굵고 속이 차 단단한 점으로 구별된다. 가을에 활엽수림의 땅 위에 무리를 짓거나 홀로 나며 부생생활을 한다. 2022. 09. 17. 치악산 둘레길 ● 외대덧버섯 Entoloma sarcopum ↘ 주름버섯목 외대버섯과 외대버섯속 갓의 지름은 7~12cm로 원뿔모양에서 점차 가운데 부분은 높이 솟은 편평한 모양이 된.. 2022. 10. 2. 산 나무에 착생한 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살아있는 나무에 착생하고 있는 뽕나무버섯을 만난다. 일반적으로 활엽수나 침엽수의 그루터기에 나거나 땅에 자라는 뽕나무버섯과(송이과)의 버섯인데, 땅에서 자라는 뽕나무버섯('천마뽕나무버섯')만 보다가 발생한 지 얼마되지 않은 싱싱한 뽕나무버섯을 보니 기쁨이 더 크다. 식용 버섯으로 '가다발버섯', '글쿠버섯', '개암버섯', '꿀버섯'이라고도 한다. 난(蘭) 종류에 내생균근을 형성하므로 천마 재배에 중요한 버섯이다. 2022. 09. 17. 치악산 둘레길 ● 뽕나무버섯 Armillaria mellea ↘ 주름버섯목 뽕나무버섯과 뽕나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4-15cm로 처음에 반구형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나 가운데는 조금 오목해진다. 표면은 황갈색 또는 갈색인데 가운데에는 암색의 미세한 인편이 덮여 있고 가장.. 2022. 10. 2. 족제비눈물버섯 Psathyrella candolleana 조직이 얇고 대는 가늘고 속이 비어 부러지기 쉬우며, 주름살은 빽빽하고 흰색이나 자갈색으로 바뀐다. '울타리버섯'이라고도 하며, 여름부터 가을기간에 넓은잎나무 그루터기, 산나무줄기의 썩은부분, 나무토막, 또는 그 부근의 땅에 뭉쳐 나거나 무리로 난다. 식용 버섯으로 맛과 향기는 부드럽다고 한다. 2022. 09. 17. 치악산 둘레길 2023. 07. 10. 서울 ● 족제비눈물버섯 Psathyrella candolleana ↘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눈물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6cm로 반막질이고 종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며 중앙은 약간 돌출한다. 표면은 처음에 밀황색 또는 갈색에서 희게 되며 중앙부는 홍황색이다. 털이 없거나 미세한 알갱이로 덮이며 마르면 매끄럽거나 주름이 생긴다. 처음 가장자리에는 .. 2022. 10. 1. 자주빛무당버섯 Russula violeipes 마치 곱게 익은 복숭아 열매를 연상시키는 빛깔에 코를 가까이 대면 상큼한 과일향까지 난다. 갓 표면은 연한 황색에 군데군데 엷은 보라빛을 띠는 무늬가 나타난다. 식용 버섯이다. 여름~가을 침엽수림, 혼효림 땅에 흩어져 나거나 무리지어 나며 식물과 공생한다. 2022. 09. 17. 치악산 둘레길 ● 자주빛무당버섯 Russula violeipes ↘ 주름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8~25cm이고, 둥근 산 모양에서 편평한 모양을 거쳐 차차 깔대기 모양으로 된다. 표면은 미세한 털로 덮여 있고 전체가 백색, 연한 황색, 보라빛이 나는 홍색인데 적색인 부분도 있다. 가장자리에 줄무늬 홈선이 있다. 자실체 전체에서 과일같은 단 냄새가 난다. 살은 백색이고 단단하다. 주름살은 끝붙은주름살이고 밀생.. 2022. 10. 1.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