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악산21

큰네잎갈퀴 Vicia ramuliflora 큰네잎갈퀴는 네잎갈퀴나물(Vicia nipponica)과 같은 것으로 여겨왔던 것으로 최근에야 독립된 종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둘은 소엽이 2~3쌍인 점이나 잎겨드랑이에서 홍자색의 꽃이 달리는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같은 종으로 여겨진 듯하다.하지만 네잎갈퀴나물은 큰네잎갈퀴에 비해 잎이나 꽃이 작으며 줄기가 길다. 큰네잎갈퀴는 곧게 서는 편이고 줄기 끝에서 꽃이 달리는 데 비해, 네잎갈퀴나물은 줄기가 눕고 줄기 전체 잎겨드랑이에서 꽃이 달리는 편이다.    2017. 06. 05.  설악산     ● 큰네잎갈퀴(중국명 : 北野豌豆) Vicia ramuliflora  ↘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 40-100cm. 뿌리는 덩어리처럼 커지고 거의 목질이며 직경은 1-2cm로 겉껍질은 흑갈색 또는 .. 2017. 6. 15.
멍덕딸기 Rubus idaeus var. microphyllus 멍석딸기와 이름이 비슷하나 꽃 핀 모습이나 잔 가시가 빽빽하게 나 있는 모습이 많이 다르다. 곰딸기와 닮았지만 곰딸기처럼 줄기나 화경에 샘털이 없으며 정소엽이 거의 2배로 큰 곰딸기와 달리 작은잎 세 개의 크기가 비슷한 점 등으로 구별된다. 설악산 ● 멍덕딸기 Rubus idaeus var. microphyllus ↗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 덩굴성 관목 높이는 1m 정도이다. 줄기에 황갈색 또는 홍색의 침상 가시가 밀생하여 칙칙한 갈색으로 보이나 표면은 회색이다. 잎은 3출 깃꼴잎이고 어긋난다. 잎자루에 융털과 때로는 가시가 있다. 끝은 소엽이 가장 크고 잎 앞면에는 잔털이 있으며, 뒷면은 백색 면모로 덮여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가지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자라는 .. 2017. 6. 15.
만주송이풀 Pedicularis mandshurica 남한에서는 설악산에 분포하는 송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북방계 식물이다. 설악산 ● 만주송이풀 Pedicularis mandshurica ↗ 통화식물목 현삼과 송이풀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30cm에 달하고 능선을 따라 줄지어 돋은 잔털이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1회우상복엽으로서 밑에서 모여나기하며 가장자리에 막질의 인엽이 달리고 긴 엽병과 더불어 길이 15-20cm이며 털이 없고 열편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며 상하로 갈수록 짧아지고 작아지며 중앙부의 가장 큰 깃조각은 길이 23mm, 넓이 7mm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점차 작아져서 꽃차례에 이르러 포로 되고 엽병 가장자리에 긴 털이 있다. 꽃은 6월에 피며 황색이고 꽃대는 길이 30c.. 2017. 6. 15.
참기생꽃 Trientalis europaea 참기생꽃은 아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흰 꽃잎에 어떤 연상이 작용한 것인지 기생이란 이름이 붙었다. 꽃 모양이 기생이 쓰던 화관을 닮았다는 이유를 대기도 하고 흰 꽃잎이 기생의 분 바른 얼굴을 떠올린다는 이유를 대기도 한다. 영어 이름은 chick-weed wintergreen, '늘 푸른 병아리풀'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 기생꽃은 참기생꽃의 변종(var. arctica)으로 등록되어 있는데 구분이 명확한지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지리산, 가야산 이북 고산지역 공중 습도가 유지되고 햇볕을 직접 받지 않는 부엽질 토양에서 자란다. 설악산 ● 참기생꽃 Trientalis europaea ↘ 앵초목 앵초과 기생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5-25cm이고 실같은 백색 기는줄기가 뻗으며 밑부분에 .. 2017. 6. 15.
부게꽃나무 Acer ukurunduense 6월에 하늘을 향해 촛대처럼 달리는 꽃차례가 장관을 이루는 부게꽃나무. 국내에 자생하는 단풍나무속(Acer) 식물들 가운데 가장 긴 총상꽃차례를 가지고 있어 비슷한 종들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성숙한 잎 뒷면에 털이 없는 종을 청부게꽃나무(for. pilosum)라고 한다. 지리산, 소백산, 강원도 이북 의 높은 산 등 백두대간의 아고산대에 분포하고 있다. 설악산 ● 부게꽃나무 Acer ukurunduense ↘ 무환자나무목 단풍나무과 단풍나무속 소교목 높이가 14m에 달하고 나무껍질이 연한 갈색이며 일년생가지는 황색 또는 적색이고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타원상 달걀형이고 첨두, 심장저이며 5갈래로 갈라지고, 길이와 폭이 각 8~14cm × 8~13cm로, 결각에 예리한 톱니가 있고, 표면은 잔.. 2017. 6. 15.
6월 초순, 설악산 풀꽃나무 산행 (2) 중청-대청봉-오색 지난해 여름에도 얼굴을 보여 주지 않던 대청봉은 오늘도 구름 속에 숨어 버렸다. 더구나 요즘은 일교차가 큰 날이 계속되어 화창한 날씨에도 오후에는 증발한 수증기가 구름안개를 이루어 봉우리로 몰려드는 것이다.   소청 쪽 등산로로 들어서 배암나무와 땃두릅나무를 살펴보러 가고 싶었지만 아무래도 시간에 쫓길 듯하여 포기하고 만다.  참기생꽃   기대했던 만주송이풀은 꽃차례조차 만들어지지 않은 모습, 작년의 마른 꽃차례를 그대로 달고 서 있다.   지피식물처럼 바짝 엎드려 자라는 눈잣나무.    대청봉(1708m)에서는 모든 나무와 풀들이 낮게 자란다.  꽃개회나무도 무릎 정도 높이의 꼬마 관목의 모습으로 꽃차례를 달고 섰다. 꽃은 6월 중하순에야 만발할 듯하다.   개들쭉나무라고도 댕댕이나무라고도 보는 나무는.. 2017. 6. 13.
6월 초순, 설악산 풀꽃나무 산행 (1) 한계령-중청 일요일 두타연을 다녀온 바로 다음날 설악산 대청봉 산행에 나섰다. 현충일(화)과 징검다리 연휴가 이어지는 월요일, 재량 휴일이 된 덕분에 홀가분한 맘으로 한계령으로 출발! 작년 이맘때에는 귀때기청봉-대승령 코스 산행을 했는데, 오늘은 작년 한여름에 갔던 대청봉 방향을 선택하기로 한다.   어제에 이어 오늘도 햇살 투명하고 시베리아 기단이 밀고 내려온 탓인지 가벼운 비가 내린 뒤의 공기 또한 쾌적하다.    8시 50분, 한계령에 도착! 한계령 삼거리-끝청-중청-대청-오색으로 이어지는 약 15km의 산행 시작!     2분쯤 오른 곳 전망 바위에 올라 원통에서 사온 따뜻한 김밥 한 줄을 먹으며 잠시 전망을 즐긴다.  한계령 삼거리로 이어지는 능선   가리봉(1519m)과 안산(1430m) 위에는 구름이 두.. 2017. 6. 12.
설악산 중청봉-대청봉-오색의 여름 풀꽃나무 산행 자욱한 구름에 덮인 귀때기청봉을 돌아보며 코 앞에 다가선 중청을 향해 걸음을 옮긴다.     대부분 지고 있는데, 이렇게 활짝 꽃을 피우고 있는 물레나물을 만난다.     꽃을 피운 참바위취를 처음으로 만난다.     전망이 트인 바위 봉우리에서 바라보는 설악산 전경  바로 앞에 모습을 드러낸 중청봉. 하지만 대청봉은 구름에 덮여 있다.    구름에 덮인 귀때기청봉 방향     용아장성, 오른쪽 너머로는 공룡능선의 1275봉과 마등령, 신선봉이 희미하게 보인다.    봉정암 앞 소청대피소 위에서 물자를 나르는 헬리콥터 프로펠러 소리로 설악이 시끄럽다.     흰송이풀     나도하수오       능선길에서 종종 보이는 벼과의 산새풀     개시호     이내 중청봉에 이른다.  두메오리나무인지 덤불오리나.. 2016. 7. 30.
설악산 한계령-끝청의 여름 풀꽃나무 산행 매일 같이 이어지는 '한때 비'라는 일기예보, 일주일을 기다리다 미답으로 남아 있던 한계령-대청봉 구간의 풀꽃나무 산행에 나선다. 9시10분 전에 한계령 도착. 출발할 때부터 흐리던 날씨, 한계령에 도착해서도 하늘은 비가 금방이라도 내릴 듯 찌푸린 표정이다. 습도 높은 열대야가 며.. 2016. 7. 29.
설악산 서북능선, 귀때기청봉-대승령의 6월 초 풀꽃나무 산행 설악산 최고봉 대청봉(1708m)에서 중청(1664m) 끝청(1610m)을 지나 서쪽 끝 안산(1430m)까지 이어지는 기나긴 서북능선에 우뚝 솟아 오른 귀때기청봉은 단연 군계일학이다. 최고봉에서 멀리 떨어져 홀로 솟아 있으니 더욱 빛난다. 오죽하면 귀때기청이란 익살스런 이름까지 얻었을까. 자기가 제.. 2016. 6. 8.
한계령-귀때기청봉 6월 초 풀꽃나무 산행 나흘간의 연휴(6.4~6.7)를 맞이하여 첫날은 설악산 서북능선 야생화 산행을 하기로 한다. 항공편만 확보되면 2박 3일 정도 제주도로 갈까 싶었는데, 돌아오는 비행기 표를 구할 수 없다. 혹시나 나중에라도 표가 생긴다면 1박 2일이라도 다녀오려 했는데 기대는 헛되고 말았다. 지난 주쯤이.. 2016. 6. 6.
백담사 계곡의 물참대, 말발도리, 얇은잎고광나무, 노랑갈퀴, 은대난초, 아구장나무, 쥐다래 마등령에서 오세암으로 내려서는 길은 메마르기만 하다. 계곡으로 내려섰지만 물줄기조차 찾아볼 수 없다. 아마도 이 계곡에는 내내 비 한방울 안 내린 가뭄이 계속된 듯하다. 그래서인지 숲속은 메마르고 자라는 풀도 듬성듬성, 오뉴월 덤불 무성하게 우거지는 여느 숲속 풍경과는 너무.. 2016. 5. 27.
설악산 공룡능선, 5월의 풀꽃나무 산행 희운각(喜雲閣) 대피소, 이름이 하필 희운각일까 싶어 그 유래가 궁금하여 찾아 봤더니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검색된다. 1969년 2월 제1기 에베레스트 원정대 10여 명이 동계훈련 중 50여 년 만에 내린 폭설로 눈사태를 맞아 전부 사망하는 참사가 일어났는데, 청도의 사업가이자 서예가로 .. 2016. 5. 26.
두메오리나무 암꽃과 수꽃 Alnus maximowiczii 두메오리나무는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소교목으로 울릉도와 설악산 이북에 분포하고 있다. 설악산 대청봉 주변에는 두메오리나무는 물론 덤불오리나무도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메오리나무와 덤불오리나무의 구별이 쉽지 않은데, 두메오리나무(Alnus maximowiczii)는 잎밑이 깊이 들어가고(심장저) 예리한 톱니가 있으며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없고 열매이삭의 길이가 2~3cm로 길며, 덤불오리나무(Alnus mandshurica)는 잎밑이 둥글고 선상 톱니가 있으며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고 한다. 이것은 대청봉 정상 근처에 관목상으로 자라고 있는 나무의 암꽃과 수꽃을 담은 것으로 소청 능선의 오리나무와 잎 모양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 일단 두메오리나무로 올려 두고 다음에.. 2016. 5. 25.
설악산 오색-대청-희운각, 5월의 풀꽃나무 산행 설악산 공룡능선 산행에 나섰다. 고백하건대 공룡능선 산행은 난생 처음이다. 20여 년 전 한여름, 동료들과 함께 백담사에서 수렴동 계곡을 지나 봉정암-대청-희운각-천불동 계곡을 1박 2일로 넘은 뒤로는 설악산과의 인연은 멀었다. 10kg 가까이 되는 대형텐트를 지고 넘던 시기, 봉정암에.. 2016.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