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편초과60

흰작살나무(Callicarpa japonica var. leucocarpa) 흰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var. leucocarpa Verbenaceae(마편초과)의 낙엽활엽관목 높이는 약 2~3m로 자란다. 햇가지는 둥글며 별모양의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마주나고 거꾸로선달걀형, 달걀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잎끝이 길게 뾰족하고 잎밑은 뾰족하다. 잎 길이 6-12cm, 폭 2.5-4.5cm로서 표면은 짙은 .. 2009. 7. 27.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마편초과의 관목으로 마주보고 갈라지는 가느다란 가지가 작살 모양이어서 작살나무라 부른다. 뜨거운 여름에 들어설 무렵 잎겨드랑이에서 피우는 연한 자줏빛의 꽃은 좁살처럼 작아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매우 아름답다. 꽃이 지고 가을에 자줏빛으로 익는 열매는 .. 2009. 7. 21.
순비기나무 꽃과 열매 Vitex rotundifolia 전남 영광 순비기나무 열매 안면도 ● 순비기나무 Vitex rotundifolia / 통화식물목 마편초과의 낙엽관목 바닷가 모래땅에서 옆으로 자라면서 뿌리가 내린다. 커다란 군락을 형성하며 높이 20∼80cm이다. 전체에 회색빛을 띤 흰색의 잔 털이 있고 가지는 네모진다. 잎은 마주달리고 타원형 또는 .. 2009. 2. 1.
작살나무 열매 Callicarpa japonica 무더위가 시작되는 계절에 좁쌀 같은 연분홍 꽃을 피웠던 작살나무에 구슬처럼 영론한 보랏빛 열매가 달렸다. 천마산 ●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 통화식물목 마편초과 작살나무속 낙엽 활엽 관목 높이 2 ~ 3m. 줄기는 둥글며, 별모양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거꿀.. 2008. 12. 24.
마편초 Verbena officinalis 마편초(馬鞭草)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마편초과 여러해살이풀로, 전 세계에 귀화하여 자란다. 우리 나라에서는 남부지방의 해안지대 들에 자란다. 꽃이삭이 말채찍(馬鞭)을 닮은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선유도 ● 마편초 Verbena officinalis / 통화식물목 마편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잔털.. 2008. 11. 23.
누리장나무 Clerodendrum trichotomum, 꽃과 열매 마편초과의 관목으로 줄기 등을 건드리면 식물체에서 고약한 누린내를 강하게 풍긴다. 그래서 누린내나무라고도 하고 잎이 오동처럼 넓어서 취오동(臭梧桐)이라 불리기도 한다. 냄새를 제외하면 여름에 피는 꽃과 가을에 익은 검푸른 열매는 매우 아름답다. 누리장나무 꽃 군산 선유도 .. 2008. 11. 8.
누리장나무 Clerodendrum trichotomum 마편초과의 관목으로 줄기 등을 건드리면 식물체에서 고약한 누린내를 강하게 풍긴다. 그래서 누린내나무라고도 하고 잎이 오동처럼 넓어서 취오동(臭梧桐)이라 불리기도 한다. 냄새를 제외하면 여름에 피는 꽃과 가을에 익은 검푸른 열매는 매우 아름답다. 합천 가회 ● 누리장나무 Cler.. 2008. 11. 4.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마편초과의 관목으로 마주보고 갈라지는 가느다란 가지가 작살 모양이어서 작살나무라 부른다. 뜨거운 여름에 들어설 무렵 잎겨드랑이에서 피우는 연한 자줏빛의 꽃은 좁살처럼 작아 눈에 잘 띄지 않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매우 아름답다. 꽃이 지고 가을에 자줏빛으로 익는 열매는 구슬처럼 아름다운데, 서양인들이 이 열매를 'beauty berry'라 부른다.     2008. 07. 03.  남한산            ●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 beauty berry  /  통화식물목 마편초과 작살나무속의 낙엽관목높이 2∼4m이며 가지는 어느 것이나 원줄기를 가운데 두고 양쪽으로 두 개씩 정확히 마주 보고 갈라져 있어 작살 모양으로 보인다. 어린 가지와 새 잎에 별 모양 털이 있다. 회색빛.. 2008. 7. 24.
콜레라를 막아준다는 방취목(레몬 버베나) Aloysia triphylla 레몬버베나는 남아메리카 원산의 마편초과 소교목이며 관상용으로 온실에서 가꾼다. 잎을 손수건에 문지르면 향수를 뿌린 듯하고, 뜰에 심으면 콜레라를 미리 막을 수 있다고도 한다. 유럽에서는 잎에서 향료를 채취하여 화장품 등을 만들고 차로 마시거나 음식물에 향기를 내는 재료로.. 2008. 6. 3.
누리장나무, 코를 싸매고 바라보는 아름다운 꽃 고향의 개울가에 울타리마냥 진을 치고 있던 나무, 뜨거운 여름 아이들이 물놀이하러 개울에 들어서려다 오동 같은 잎을 스치면 고약한 냄새에 코를 싸매곤 했던 나무! 왜 아름다운 꽃에 대한 기억은 남아 있지 않은 걸까? ● 누리장나무 Clerodendrum trichotomum | Harlequin glorybower / 통화식물목 .. 2007. 12. 26.
왕작살 Callicarpa japonica var. luxurians 울릉도의 높은 산 숲속에서 자라는 작살나무로 보통의 작살나무보다 잎이 훨씬 넓고 크며 꽃차례로 풍성하다. 울릉도가 왕작살의 분포지인 사실까지 고려하여 왕작살로 동정한다. ● 왕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var. luxurians | Robust beauty berry ↘ 마편초과 작살나무속의 낙엽관목 가지가 굵으며 성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거꿀달걀모양,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10~20cm, 폭 4~7cm이며 가장자리에 거치가 있다. 꽃은 8월에 피고 연한 자주색이며 취산꽃차례는 액생하고 지름 1.5-3cm로서 처음에는 성모가 약간 있으며 화관통은 길이 2-2.5mm로서 겉에 잔털과 선점이 있고 4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2007. 12. 11.
누리장나무 누리장나무 Clerodendrum trichotomum | Harlequin glorybower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마편초과의 낙엽활엽 관목 개나무·노나무·깨타리라고도 하며 냄새가 고약하여 구릿대나무라고도 한다. 산기슭이나 골짜기의 기름진 땅에서 자란다. 높이 약 2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 .. 2007. 12. 6.
마편초 Verbena officinalis 마편초(馬鞭草)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마편초과 여러해살이풀로, 전 세계에 귀화하여 자란다. 우리 나라에서는 남부지방의 해안지대 들에 자란다. 꽃이삭이 말채찍(馬鞭)을 닮은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2007. 10.  선유도             ● 마편초 Verbena officinalis  /  통화식물목 마편초과 마편초속의 여러해살이풀전체에 잔털이 나며, 높이 30-80cm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네모지고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길이 3-10cm, 폭 2-5cm,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잎 앞면은 잎맥을 따라 주름이 지며, 뒷면은 잎맥이 튀어나온다. 꽃은 7-9월에 줄기와 가지 끝의 이삭꽃차례에 달리며, 밑에서 위로 피어 올라가고 연한 자주색이다. 꽃차례는 길이 30cm 정도이다.. 2007. 10. 22.
누리장나무 Clerodendrum trichotomum 동네 아이들이 몰려나와 멱을 감는 집 앞 맑은 개울, 그 물가 언덕에 흔하게 자라던 누리장나무들. 넓적한 잎들을 스치기만 해도 쿵쿵한 구린내를 풍기던 고약한 나무,잎이 넓적한 것이 오동을 닮았는데 냄새가 고약하니취오동(臭梧桐)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2007. 07. 17 남한산 2007. 07... 2007. 8. 5.
란타나 Lantana camara 꽃이 7가지 색깔로 변한다고 하여 칠변화로도 불리는 란타나,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라고 하는데 중국 운남의 아열대 지역인 시솽반나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었다. 중국에서는 칠색화(七色花)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거의 풀과 다름없는 모습이지만 그곳에서는 가지를 많이 친 야생 관목의 모습을 하고 자라고 있다. 꽃이 피면서 여러 가지 색으로 변화하는 모습이 아름답지만 향기는 그다지 좋지 않은 꽃이다. ● 란타나 Lantana camara / 마편초과의 관목 높이는 3m이고, 잎은 마주나며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표면에 주름이 많으며 뒷면에는 회백색 털이 빽빽이 난다. 여름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긴 꽃줄기 끝에 두상꽃차례를 이루며.. 2007.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