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화과631 정영엉겅퀴 Cirsium chanroenicum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로 지리산 정령치에서 발견되어 붙여진 이름이다. 흰고려엉겅퀴와 비슷해 둘을 하나로 보는 견해도 있다. 흰고려엉겅퀴의 잎이 잎패임이 없고 톱니가 비교적 고른 것과는 달리 정영엉겅퀴는 잎패임이 나타나고 톱니가 고르지 않다. 꽃이 달리는 모양으로도 구별하는데 원줄기와 가지 끝에 한 송이씩 피는 흰고려엉겅퀴의 꽃과는 달리 정영엉겅퀴는 3~4개가 모여 달린다. 그 외에 화관이 자줏빛이면 흰고려엉겅퀴 황백색이면 정영엉겅퀴, 총포의 배열이 6줄이면 정영엉겅퀴 7줄이면 흰고려엉겅퀴라는 구분법을 제시하기도 하지만 실제로 꽃을 만났을 때 적용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 지리산 같은 곳에서 자라는 아래의 엉겅퀴는 고려엉겅퀴와 그리 달라 보이지 않는다. ● 정영엉겅퀴 Cirsium chanroen.. 2009. 11. 8. 흰씀바귀(Ixeridium dentatum for. albiflora) ↓ 지리산 흰씀바귀 Ixeridium dentatum for. albiflora Compositae(국화과)의 여려해살이풀 높이 40∼70cm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드물게 기는가지가 난다.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자르면 흰 즙이 나온다. 잎은 씀바귀보다 조금 더 넓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긴 타원 모양이거나 거꾸로 선 바소 .. 2009. 11. 8. 은분취(Saussurea gracilis) ↓ 지리산 은분취 Saussurea gracilis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0-30cm이고 날개가 없으며 처음에는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뿌리잎은 꽃 필 때까지 남아 있고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길이 5~12cm의 잎자루가 있다. 잎은 길이 5~12cm로서 타원 모양 세모꼴 또는 세모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화살, 심장, .. 2009. 11. 8. 은분취(Saussurea gracilis) 꽃과 열매 ↓ 지리산 ● 은분취 Saussurea gracilis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0-30cm이고 날개가 없으며 처음에는 거미줄 같은 털이 있다. 뿌리잎은 꽃 필 때까지 남아 있고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길이 5~12cm의 잎자루가 있다. 잎은 길이 5~12cm로서 타원 모양 세모꼴 또는 세모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2009. 11. 8. 은분취(Saussurea gracilis) ↓ 지리산 은분취 Saussurea gracilis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0-30cm이고 날개가 없으며 처음에는 거미줄같은 털이 있다. 근생엽은 개화시까지 남아 있고 밑부분의 잎과 더불어 길이 5~12cm의 엽병이 있다. 엽신은 타원상 3각형 또는 3각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화살형·심장형 또는 검모양이며 .. 2009. 11. 8. 까치고들빼기 Crepidiastrum chelidoniifolium 지리산에서 지리고들빼기를 못 만나고 왜 까치고들빼기만 만나는 것일까. 까치고들빼기와 고들빼기의 잡종이라고 추정하는 지리고들빼기는 까치고들빼기와는 달리 잎축에 날개가 있고 설상화가 5개인 까치고들빼기에 비해 5개 이상으로 많은 점으로 구별한다고 한다. ↓ 지리산 ● 까치고들빼기 Crepidiastrum chelidoniifolium ↘ 초롱꽃목 국화과 고들빼기속의 한두해살이풀 줄기 높이 20~50cm이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있고 깃꼴로 완전히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서로 떨어져 있고 3~6쌍이며 길이 1~2cm로서 달걀형이고 잎패임이 약간 있거나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며 잎자루와 잎축은 날개가 없고 밑부분이 귀모양으로 되어 원줄기를 둘러싸며 윗부분의 잎은 점차 작아진다. 꽃은 9.. 2009. 11. 5. 까치고들빼기(Crepidiastrum chelidoniifolium) ↓ 지리산 까치고들빼기 Crepidiastrum chelidoniifolium 국화과(Compositae)의 한두해살이풀 줄기 높이 20-50cm이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있고 깃꼴로 완전히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서로 떨어져 있고 3~6쌍이며 길이 1~2cm로서 달걀형이고 잎패임이 약간 있거나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 2009. 11. 5. 빗살서덜취 Saussurea odontolepis 빗살서덜취는 흔히 왕분취라고도 한다. 잎이 빗살처럼 갈라지는 게 특징으로 꽃이 피게 되면 뿌리잎이 사라진다. 주로 서해안 가까운 지역에 분포한다. ↓ 황매산 ● 빗살서덜취 Saussurea odontolepis / 국화과 분취속 높이 60~100cm로 가늘고 곧게 선다. 능선과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며 회백색.. 2009. 11. 1. 황매산의 빗살서덜취 Saussurea odontolepis 고향의 산에 올랐다 처음으로 대면한 빗살서덜취. 해질무렵이라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없어 아쉽다. 잎이 국화를 닮아 국화잎각시분취, 또는 구와잎각시취, 구와각시취라 불리기도 하고 왕분취라고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주로 서해안과 여러 섬들에 자생한다는데, 남포와 황.. 2009. 11. 1. 서양톱풀 Achillea millefolium 잎, 열매, 꽃봉오리 해발 1천 m에 가까운 황매평전, 사람들의 발길이 많이 닿는 이곳에는 외래종 풀들이 제법 눈에 띈다. 백령풀이 보이더니 서양톱풀까지도 널리 퍼져 있다. 서양톱풀 꽃봉오리 서양톱풀 열매 서양톱풀 잎 ● 서양톱풀 Achillea millefolium / 국화목 국화과 톱풀속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는 옆으.. 2009. 11. 1. 한련초 Eclipta prostrata 국화과 한련초속의 한해살이풀로 논과 밭의 습기 있는 곳에 흔히 자란다. 줄기와 가지 끝에 줄 모양의 흰 설상화가 달린다. 생즙을 흰 머리카락에 바르면 검게 되므로 머리 염색약으로 사용된다. ↓ 덕적도 능동 ↓ 합천 가회 ● 한련초(旱蓮草) Eclipta prostrata | Yerbadetajo / 국화목 국화과 한련초속 한해살이풀 밑부분이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게 서며 부드럽지만 전체에 센 털이 있어 거칠다. 높이 10∼60cm로 잎겨드랑이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3∼10cm, 나비 5∼25mm의 바소꼴로서 양면에 굳센 털이 있으며 잔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두화(頭花)가 1개씩 달린다. 두화는 지름 1cm 정도이고 설상화는 흰색이다. 총포조각은 5∼.. 2009. 10. 30. 개쑥부쟁이 Aster meyendorfii 개쑥부쟁이는 쑥부쟁이에 비해 가지를 많이 치고 꽃이 커서 꽃이 핀 모습이 훨씬 풍성하다. 또한 잎의 톱니가 보다 무디고, 꽃이 진 뒤 종자에 갓털이 발달해 있다. 쑥부쟁이가 논둑이나 습지 주변 땅에서 자라는 반면 개쑥부쟁이는 산지나 들의 마른 땅에서 더 잘 자란다. ↓ 남한산 ● 개쑥부쟁이 Aster meyendorfii Meyendorf's aster ↘ 국화목 국화과 참취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35-50cm이고 종선과 털이 있으며 옆으로 뻗는 가지가 많다. 기부에서 난 잎은 꽃이 필 때는 말라죽으며 달걀모양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둔두 예저이며 길이 5-6cm, 나비 2.5-3.5cm로서 밑으로 흐르고 가장자리에 큰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엽병이 길다. 줄기잎은 좁고 긴 타원형이며 다닥다닥 달리고 끝.. 2009. 10. 25. 쇠서나물 Picris hieracioides var. koreana, 꽃과 전초 억센 줄기로 강인하게 자라는 풀이 언뜻 보기에는 여러해살이풀이 아닐까 싶지만 두해살이풀이다. 잎의 양면에 거센 털이 있어 소의 혓바닥처럼 깔깔하여 '소의 혀'라는 뜻의 방언 '쇠서'에서 유래한 쇠서나물(소혀나물)이라고 부른다. '모련채(毛蓮菜)'라고도 하며 길가, 산비탈 풀밭에서 자란다. ↓ 남한산성 쇠서나물 전초 ↓ 횡성 ● 쇠서나물 Picris hieracioides var. koreana | Korean hawkweed-oxtongue / 초롱꽃목 국화과 쇠서나물속 두해살이풀 높이가 9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다소 가지를 낸다. 줄기 전체에 갈고리 끝으로 가닥난 갈색의 거센털이 있고 밑부분은어 붉은색을 띤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뭉쳐나며 로제트형으로 벌어지고 잎자루가 .. 2009. 10. 25. 서양등골나물 Eupatorium rugosum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귀화식물로 1978년 서울의 워커힐 주변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1978년 이우철에 의하여 '서양등골나물'이란 이름으로 소개되었으며, 지금은 서울 전 지역과 경기도 일대에 광범하게 퍼져 있는 상태이다. 이 땅에 자생하는 등골나무류보.. 2009. 10. 25. 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한국특산종으로 이름은 엉겅퀴이지만 엉겅퀴처럼 잎에 날카로운 가시는 없고 가시처럼 다소 뾰족한 톱니가 있을 뿐이다. 봄에 나는 어린 잎은 나물로 먹는데 곤드레나물이라 하여 건강식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 천마산 ● 고려엉겅퀴 Cirsium setidens /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 2009. 10. 21.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