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작물 재배종154

서양산딸기(서양오엽딸기) Rubus fruticosus 덕적도 능동에서 재배하는 서양오엽딸기를 만난다. 금오산에서 자생한다는 오엽딸기와 유럽원산의 서양오엽딸기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은데, 열매가 붉게 익는다는 오엽딸기와 달리 검게 익은 것이 눈에 띄었고 다소 그늘진 곳을 좋아한다는 오엽딸기와는 달리 볕 좋은 곳에서 재배하는.. 2009. 10. 15.
덩굴강낭콩(Phaseolus vulgaris) 꽃과 열매 덩굴강낭콩은 열대 아메리카 원산으로 전국 각 지역에서 재배하는 귀화식물이다. 강낭콩(var. humilis)은 이와 비슷하지만 덩굴성이 아니고 흔히 재배된다. 채두(菜豆)·운편두(雲扁豆)·강남채두·돔부라고도 한다. 콩은 식용하고 민간에서는 약용하기도 한다. ↓ 굴업도 ● 덩굴강낭콩 Pha.. 2009. 10. 15.
작두콩(Canavalia gladiata) 꽃 작두콩은 열대 아시아 원산의 콩과식물로 식용으로 재배한다. 열매가 작두같이 생겼으므로 작두콩이라고 한다. 적색종은 꼬투리를 이용하고, 백색종은 콩을 주로 이용한다고 하며, 치질·축농증·중이염·위염·대장염 등에 큰 효과가 있다. ↓ 굴업도 ● 작두콩 Canavalia gladiata / 장미목.. 2009. 10. 15.
부추(Allium tuberosum) 꽃 내 고향에서는 '소풀'이라고 불렀는데, 이웃 지역에서는 '정구지'라고 불렀다. 또 다른 지역에서는 '솔'이라 하고, 또 다른 곳에서는 '졸'이라고 부르니 이름도 다양하다. '소풀'이라는 이름이 '소가 좋아하는 풀'이어선가 보다 막연히 생각했던 것인데, '솔'이라는 또다른 명칭을 듣고서야 .. 2009. 9. 22.
편두(까치콩, 제비콩) Dolichos lablab 고향 사람들은 까치울콩이라고 부르는 작물이다. 그런데 보통의 까치콩과는 달리 꽃은 물론 잎의 색깔이 붉은 기운이 적은데, 나중에 확인해보니 열매 껍데기의 색깔도 흰 빛이 많다. 흰 꽃이 아니니 백편두는 아닌 듯한데 그에 유사한 종인 듯하다. ↓ 합천 가회 ● 편두 扁豆 Dolichos labla.. 2009. 9. 17.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꽃과 씨앗 예로부터 불로장생의 나무로 알려져 온 오갈피나무, 지금도 뛰어난 자양 강장 강정의 약효를 인정받고 있는 나무이다. 잎이 5개로 손가락 모양으로 갈라져 있어 오갈피나무라 부른다. 줄기에 가시가 보이지 않아 서울오가피로 보인다. 그러나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서울오가피는 현재 .. 2009. 9. 11.
땅콩 Arachis hypogaea 땅콩이 우리나라에 재배되기 시작한 것이 겨우 200년 남짓하다는 걸 아는 사람은 드문 듯하다. 아마도 많은 사람들은 옛날부터 조상들이 재배해온 토종 작물로 알고 있을지도 모른다. 땅콩은 브라질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지만 재배 기원지는 페루의 Huarmey 협곡으로 추정되고 있다. 감자, 옥수수가 그러한 것처럼 지리상의 발견 이후에 유럽으로 전해져 중국을 통하여 이 땅으로 도입된 외래작물이다. 도입된 시기는 200여 년 전인 1800년~1840년 사이로 추정한다고 한다. ↓ 백령도 ● 땅콩 Arachis hypogaea | peanut, ground nut / 장미목 콩과 땅콩속의 한해살이풀 원줄기는 밑부분에서 갈라져서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므로 사방으로 퍼지며 전체에 털이 있다. 높이는 60cm에 달한다. .. 2009. 8. 16.
옥수수 Aeschynomene 수꽃과 암꽃, 꽃가루받이 옥수수는 줄기의 끝에 총채 같은 수꽃이삭이 자라고, 그 아래로 줄기의 마디 잎겨드랑이마다 넓은 포엽으로 겹겹이 싸여진 암꽃이삭이 달린다. 수꽃이삭에는 꽃가루를 가득 담은 꽃밥이 달리고 암꽃이삭은 흔히 '옥수수수염'이라 불리는 암술이 포에 싸인 채 얼굴을 내밀고 꽃가루받이할 준비를 한다. 하모니카처럼 가지런히 달리는 옥수수 열매는 꽃가루받이 끝에 탄생한다. 꽃가루받이가 모두 성공한다고 가정할 때 옥수수 열매 하나에 달리는 옥수수 알갱이 숫자는 옥수수수염의 숫자와 같다. 옥수수 수꽃 옥수수 암꽃과 암술 : 옥수수 수염이 암술이다. 녹색이던 암술이 꽃가루받이 후에는 붉은빛으로 물든다. 수꽃은 줄기 꼭대기에, 암꽃은 줄기 중앙 잎겨드랑이에 있어서 꽃가루받이에 용이하다. 하지만 자가수분은 거의 없고 바람에 의해 .. 2009. 8. 1.
가지꽃 Solanum melongena 가지는 인도 원산으로 우리 나라에서는 한해살이풀이지만 (아주까리가 그러한 것처럼) 열대지방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열대에서 온대까지 열매채소 작물로 두루 재배하는데, 열매의 모양은 달걀 모양, 공 모양, 긴 모양 등 품종에 따라 다양하며 한국에서는 주로 긴 모양의 긴가지를 .. 2009. 7. 29.
'꽃상치'로 불리는 치커리, 엔디브 Cichorium endiva 엔디브(Cichorium endiva)는 치커리(chicory)의 한 종으로 엔다이브라고도 부른다. 흔히 레드 치커리라고 부르는 치커리 인티부스(Cichorium intybus)에 비해서 털이 훨씬 적고 꽃은 분홍빛이 감돌며 추위에 예민한 종이다. 북유럽이 원산지인 레드 치커리와 달리 엔디브는 중남부 유럽이 원산지이다. 원산지의 겨울이 춥지 않아 봄추위에도 꽃대를 올린다. 잎의 결각은 개량된 결과 품종마다 달라서 이끼처럼 가늘게 찢어지기도 하고(모스컬드) 거의 민들하게 둥근 정도까지(에스카롤) 다양하다. 인티부스 즉 레드 치커리는 꽃이 푸른 보랏빛인데 비해, 엔디브는 약간 탁한 분홍이 섞인 보랏빛이다. 굵고 짤막한 꽃대는 높이 자라지도 길게 가지 치지도 않는다. 도감에는 레드 치커리와 같은 것으로 되어 .. 2009. 7. 25.
감자꽃 ※ 단풍섬 2009. 6. 16.
시금치 Spinacia oleracea 시금치는 아시아 서남부 원산의 명아주과 채소로서 조선 초기에 중국에서 전해진 것으로 보인다. 시금치는 암수딴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개체에서 핀다. 수꽃은 잎이 없는 이삭꽃차례나 원추꽃차례로 달리고 수술 끝에 연노랑색의 꽃밥이 달린다.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3∼5개.. 2009. 6. 16.
시금치 Spinacia oleracea 암꽃 시금치는 암수딴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개체에서 핀다. 수꽃은 잎이 없는 이삭꽃차례나 원추꽃차례로 달리고 수술 끝에 연노랑색의 꽃밥이 달린다.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3∼5개씩 모여 달리고 암술대는 4개이다. 아래는 시금치의 암꽃이다. ※ 경남 합천 ● 시금치 Spinacia oleracea.. 2009. 6. 6.
중국패모 Fritillaria thunbergii 우수리, 만주 등에 분포하는 패모(조선패모 Ussuri Fritillary)는 함남 갑산 등 북부지방 산지에 야생하는데 비늘줄기가 5-6개의 육질 비늘조각으로 되었으며 꽃이 자주색으로 핀다. 이에 비해 한약재로 주로 사용되는 중국 원산인 중국패모는 비늘줄기가 2개의 비늘조각으로 되고 꽃은 연한 .. 2009. 6. 1.
머위 Petasites japonicus / '머위' 3속 5종 국화과 머위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식용으로 재배되기도 하는 자생종이다.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가 원산지이다. 전국의 민가 주변이나 논밭 언덕 등 습한 땅에서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자란다. 홍릉수목원 ● 머위 Petasites japonicus | butterbur ↗ 초롱꽃목 국화과 머위속 여러해살이풀 이른봄에 높이 5-45cm의 화경(花莖)이 나오고 평행한 맥이 있는 포가 화경에서 호생한다. 꽃은 지름 7-10mm로서 산방화서에 다닥다닥 달리고 포가 밑부분을 둘러싸며 화경은 길이 1-2.5c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6mm, 지름 7-8mm이며 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평행한 맥이 있으며 털이 없다. 머위의 꽃줄기에는 암·수의 구별이 있어서 꽃이 질 무렵에 꽃줄기가 자라나는 것이 암그루이다. 양성.. 2009.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