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3580

큰개별꽃, 개별꽃(다화개별꽃)의 전초, 뿌리 큰개별꽃 개별꽃(다화개별꽃) 뿌리 2008. 7. 8.
산달래 Allium macrostemon 꽃과 살눈 산달래는 어린 시절 '달룽개'라고 불렀던 백합과의 풀이다. 논밭 언덕에서 봄비를 맞고 잎이 나풀거릴 정도로 자라면 뿌리째 캐서 된장국을 끓이면 꺼칠꺼칠한 보리밥도 향긋한 봄내음으로 달게 먹을 수 있었다. 흔히 '달래'라 부르지만 표준명은 달래가 아니라 산달래이다. '달래'라는 .. 2008. 7. 6.
대황 어린풀 Rheum undulatum 대황은 마디풀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중국 서장·청해 지방이다. 아래 오른쪽 개체가 자라 한 해를 넘긴 모습이다. ● 대황 Rheum undulatum | 大黃, rhubarb /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황색 뿌리가 있고, 지하부는 수직으로 내린 원뿌리에 우엉 모양의 뿌리가 많이 붙어 있다. 곧.. 2008. 7. 5.
우산나물 어린풀, 꽃 국화과 우산나물속 여러해살이풀로 독특한 향기로 옛날부터 즐겨 이용된 산나물의 하나다. 새순이 올라와 펼쳐지는 잎 모양이 우산을 닮아 우산나물이라고 한다. 백합과의 삿갓나물도 비슷한 형태이지만 독초이다. ● 우산나물 Syneilesis palmata | Palmate-shred umbrella plant ↘ 국화과 우산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50∼100cm이다. 가지가 없으며 줄기에 2∼3개의 잎이 달린다. 밑의 잎은 둥근 모양이고 잎자루가 길이 7∼15cm로서 길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둘러싸고 7∼9개로 깊게 갈라진다. 지름 35∼40cm이고 갈래조각은 다시 2개씩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6∼9월에 연한 붉은색으로 피고 지름 8∼10mm의 두화가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3.. 2008. 7. 5.
도깨비부채 열매 Rodgersia podophylla 범의귀과 도깨비부채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중부 이북의 심산지역 응달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 도깨비부채 Rodgersia podophylla ↘ 장미목 범의귀과 도깨비부채속 여러해살이풀 잎은 장상복엽이며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5소엽으로서 큰 것은 지름 50cm에 달하며 윗부분의 것은 1-4개의 소엽으로 된다. 소엽은 도란형이고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길이 15-35cm, 폭 10-25cm로서 뒷면 맥위에 엽병의 윗부분과 더불어 털이 있다. 근경은 비대하고 옆으로 뻗는다. 높이가 1m에 달한다. 꽃은 6-7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취산형 원추화서를 이루며, 화서는 길이 20-40cm이고 유두상의 털이 있으며 가지끝이 처음에는 말려 있다. 꽃받침잎은 4-8개이고 길이 2-4mm로서.. 2008. 7. 5.
섬말나리 Lilium hansonii 자생 나리류 가운데 가장 일찍 개화하는 종이다. 말나리에 비해 꽃이 황색빛이 더 많고 비늘줄기가 조금 더 크다. 종명은 원예 연구가인 Hanson을 기념하여 붙여졌다고 한다. 울릉도 특산식물로 알려져 있지만 묘향산과 원산, 무산령 등지와 만주 길림성, 아무르,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관상용으로 건너간 것이 귀화하여 널리 자란다. ● 섬말나리 Lilium hansonii | Hanson's lily /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 여러해살이풀 몇 층의 윤생엽과 작은 호생엽이 달린다. 윤생엽은 6-10개씩 달리고 길이 10-18cm, 폭 2-4cm로서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호생엽은 윤생엽과 비슷한 크기와 모양에서 점점 작아져 윗부분의 포와 연결된다. 원줄기는 높이 50-100cm이다. 인경은 난.. 2008. 7. 4.
오리방풀 Isodon excisus 보통 여름을 지나면서 피는 꽃이지만 6월초, 비교적 이른 시기에 오리방풀이 꽃을 피웠다. 거북꼬리 모양의 잎이 특징이다. ● 오리방풀 Isodon excisus /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깊은 산에서 자란다. 여러 대가 모여나서 높이 50∼100cm이고 네모진 줄기에는 능선을 따라 밑으로 향한 털이 돋는.. 2008. 7. 4.
종덩굴 Clematis fusca var. violacea ● 종덩굴 Clematis fusca var. violacea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의 낙엽 덩굴식물 어린가지에 털이 약간 있다. 잎은 대생하고 5~7개의 소엽으로된 우상복엽이며 정엽이 덩굴손으로 변하는 것도 있다.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으로 길이 3~6cm이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잔털이 약간 있고 .. 2008. 7. 3.
백선 Dictamnus dasycarpus 백선은 탱자나무나 감귤나무와 같은 운향과의 여러해살이 풀꽃으로 양지바른 산기슭에서 자란다. 백선 열매 ● 백선 Dictamnus dasycarpus / 운향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50∼90cm이다. 뿌리는 곧고 굵다. 줄기는 곧게 서며 튼튼하다. 잎은 깃꼴겹잎으로서 마주난다. 2∼4쌍의 작은잎으로 구성되.. 2008. 7. 3.
약모밀(어성초) Houttuynia cordata 약모밀은 흔히 어성초(魚腥草)라는 이름으로 재배되는 약용식물로 울릉도와 제주도 등 남부지방에 자생한다. 이렇게 무늬가 있는 잎을 가진 품종도 있다. ● 약모밀 Houttuynia cordata | Heartleaf Houttuynia / 삼백초과의 숙근성 다년초로 관엽, 관화식물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난상 심장형이.. 2008. 7. 3.
금마타리 Patrinia saniculaefolia 수락산 ● 금마타리 Patrinia saniculaefolia / 마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30cm에 달한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약간 둥글며 손바닥 모양으로 5∼7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다시 얕게 갈라져 결각(缺刻) 또는 톱니를 가진다. 줄기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매우 짧은.. 2008. 7. 2.
금마타리 Patrinia saniculaefolia 수락산 ● 금마타리 Patrinia saniculaefolia / 마타리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30cm에 달한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약간 둥글며 손바닥 모양으로 5∼7개로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다시 얕게 갈라져 결각(缺刻) 또는 톱니를 가진다. 줄기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매우 짧은.. 2008. 7. 2.
돌양지꽃 Potentilla dickinsii 수락산 ● 돌양지꽃 Potentilla dickinsii /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누운털이 있고 뿌리는 통통하며 목질이다.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선다. 높이는 20cm 정도이다. 잎은 대개 밑동에서 뭉쳐나며 잎자루는 길다. 줄기잎은 3출 또는 깃꼴이며 1∼2쌍이고 밑쪽의 잎은 작다. 작은잎은 달걀.. 2008. 7. 2.
자주꿩의다리 Thalictrum uchiyamai 산지에서 자라지만 흔하지 않은 자주꿩의다리, 한국 특산종으로 서울 근교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고 제주도에서 함경남도·함경북도까지 분포한다. 참꿩의다리(은꿩의다리)와 꽃과 잎의 모습이 비슷하여 흔히 혼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꽃과 잎을 잘 보면 그 차이가 뚜렷이 드러난다. .. 2008. 7. 2.
개미자리 Sagina japonica 개미자리 : 암술머리 5갈래, 수술 5~10여 개 큰개미자리 : 암술머리 5갈래, 수술 5~10여 개. 꽃자루와 꽃받침에 선모가 있어 개미자리와 구별된다. 갯개미자리 : 잎은 반원기둥형 줄 모양. 암술머리 3갈래, 수술 5개 수락산 ● 개미자리 Sagina japonica / 석죽과 개미자리속 한두해살이풀 높이 5∼20cm로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여러 대가 한 포기를 이룬다. 윗부분에만 짧은 선모가 나며 다른 곳에는 털이 없다. 잎은 바늘 모양으로 마주나고 길이 7∼18mm, 나비 0.8∼1.5mm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은 막질이고 서로 합쳐져 마디를 둘러싼다. 꽃은 흰색이고 6∼8월에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가지 끝에서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꽃자루의 길이는 1∼2cm이다. 꽃잎은 5개이고 달걀.. 2008.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