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벼과 사초과 골풀과422

흰겨이삭? 민메기이삭? 서울 대모산에서 만난 겨이삭류. 수많은 자료를 검색해 보아도 내공이 부족하여 정확한 이름이 무엇인지 알 수가 없다. 이미지로 보면 흰겨이삭 아닐까 싶은데 중부지방에 자생 기록이 안 보이고... 검은겨이삭은 주로 백두산 지역 습한 풀밭에서 자란다 하는데 한라산에 자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고 하니 북방계 초본으로 보인다. 그럼 이 녀석은 검은겨이삭의 까락 없는 품종으로 중부지방에 자생한다고 기록되어 있는 민메기이삭일까? ● 흰겨이삭 Agrostis alba 물기가 있는 풀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모여 나며 기부는 짧게 누우나 곧추 선다. 높이 50∼100cm로 땅속줄기가 뻗으면서 퍼진다. 잎은 길이 19∼20cm, 나비 3∼5mm이고 회청색이며 잎혀는 사각형이다. 꽃은 5∼6월에 핀다. 원추꽃차례는 성기게 퍼진.. 2009. 6. 21.
통보리사초 Carex kobomugi 전국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크게 무리지어 자라는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암꽃이삭과 수꽃이삭이 따로 달리고 이삭이 대형이어서, 같은 생육지에 자라는 좀보리사초나 진퍼리사초와는 쉽게 구분된다. 줄기와 잎을 종이원료로 이용한다. 우리나라, 러시아 우수리, 일본, 중국 만주,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2009. 05. 03.  덕적도      ● 통보리사초 Carex kobomugi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 여러해살이풀 군총(群叢)을 형성하며 높이 10~20cm로서 질기고 딱딱하다. 근경은 갈색 섬유에 싸이며, 굵고 목질이며 길게 옆으로 뻗는다. 잎은 뿌리에서 나오며 연한 녹색이고 길이 20~30cm, 폭 4~6mm이며 엽초는 약간 갈색이고 섬유처럼 갈라진다. 꽃은 5~7월에 피며, 이삭꽃차례는 끝에 .. 2009. 6. 3.
좀보리사초 Carex pumila 해안사구 후방에서 통보리사초 및 다른 해안사구성 식물과 섞여 자란다. 모래 속에 땅속줄기로 뻗으면서 무리 짓는다. 잎은 통보리사초보다 좁고 가늘며 진한 청록색을 띤다. 암수한그루이며 아랫부분에는 암꽃이삭이 달리고 수꽃은 암꽃이삭 위에 갈색으로 길게 나온다.    2009. 05. 09.  덕적도      ● 좀보리사초 Carex pumila | Dwarf Sedge  ↘  사초과 사초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길게 뻗으며 자라고 매끄럽다. 높이 10~25cm. 잎은 줄기보다 길며 폭 2~4mm이고 엽초는 잎이 없으며 짙은 갈색이고 그물같은 것이 약간 있다. 6~7월에 개화하고 소수는 3-5개이다. 상부에 2~3개는 웅소수이고 길이 2-3cm로서 선형이며 자갈색이고 자소수는 약간 밑으로 떨어져 있으며 긴 타원.. 2009. 6. 1.
나도겨이삭 Milium effusum 나도겨이삭은 벼과 나도겨이삭속(Milium)의 유일한 자생종 여러해살이풀로 '조풀', '빕새율미'라고도 하며 전국 산지 풀밭이나 숲속, 습지에서 자란다.  꽃차례에는 마디마다 2~3개의 가지가 달리고, 작은이삭이 끝 쪽에 달린다. 나래새속이나 수염풀속과는 달리 포영에 까락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겨이삭속(Agrostis)에 비해 전초가 굵고 이삭도 크지만 작은이삭이 달린 꽃차례 모습이 비슷하여 나도겨이삭이라 불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2009. 04. 28.  양평           ● 나도겨이삭 Milium effusum  ↘  화본목 벼과 나도겨이삭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뭉쳐나고 곧게 서며 높이가 60∼120cm이고 털이 없으며 연하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줄 모양이며 길이가 15∼30cm, .. 2009. 5. 8.
솔새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개솔새 Cymbopogon tortilis var. goeringii  솔새와 개솔새는 우리나라 전역 낮은 산지의 볕 잘 드는 건조한 풀숲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는 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서로 다른 속으로 비슷하기도 하고 대조적인 모습을 가졌다. 대체로 솔새가 개솔새에 비해 줄기가 강하고 잎이 길고 이삭이 억세고 까락이 훨씬 길다. 솔새는 꽃차례가 포에 단단히 싸여 있는데 개솔새는 포 밖으로 나와 있는(심지어 대롱거리기가지 하는!) 점으로도 쉽게 구분된다.   ● 솔새 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뿌리로 솔(수세미)을 만들기 때문에 솔새라고 하며 '솔줄', '솔풀'이라고도 부른다. 개솔새에 비해 잎이 30cm 이상으로 길고 잎혀에 털이 있으며 제1포영은 안으로 다소 말리고 까락에 털이 있으므로 구분된다.   08. 01. 30.  대모산  200.. 2009. 2. 28.
실새풀 Calamagrostis arundinacea 메뚜기피, 다람쥐꼬리새풀로도 불리는 벼과 산새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소가 잘 먹어 목초로 쓰이고 퇴비로도 이용된다. 포기를 이루고 1m를 훨씬 넘게 길게 자라므로 예전 산골마을에서 초가지붕을 만드는 데 이용하기도 하였다. 남한산 ● 실새풀 Calamagrostis arundinacea | purple-reedgrass / .. 2009. 1. 4.
왕바랭이 Eleusine indica 우리나라 전역 양지쪽 길가나 논밭 근처, 인가 주변의 빈터에서 자라는 벼과의 한해살이풀로 바랭이에 비해서 이삭이 크므로 왕바랭이라고 한다. 길가에서 흔히 자라므로 길잡이풀이라고도 한다. 한 포기에서 수많은 줄기가 방석처럼 퍼져 무더기를 이루며 자라며 전체에 향기가 있다. .. 2008. 12. 21.
참새그령 Eragrostis cilianensis | 그령속 종 검색표 비노리 등과 함께 벼과 참새그령속의 한해살이풀로, 식물체는 높이 20~80cm로 크며 꽃차례가 밀집되고 작은이삭은 소화가 10~40개로 많이 달리고 길다.     2008. 10. 10.  태릉 어느 빈터               ● 참새그령 Eragrostis cilianensis  /  사초목 벼과 그령속(참새그령속)의 한해살이풀 빈터나 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무더기로 나와서 높이 20∼60cm이고 마디 바로 밑에 오목하게 들어간 선점(腺點)이 있다. 잎은 밝은 녹색으로 나비 2∼6mm이고 가장자리와 맥 위에 같은 선점이 있다. 잎집은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윗부분 양면에 긴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원추꽃차례에 많은 작은이삭이 달린다. 작은이삭은 납빛이 나고 편평하고 넓은 타원형이며 10∼3.. 2008. 12. 13.
좀물뚝새 Sacciolepis indica 전국 각처 습지나 그 주변에서 자라는 벼과의 한해살이풀이다. 밑부분이 벌어지지 않고 잎이 10∼30cm로 길고 꽃이삭이 녹색 바탕에 흑자색이 도는 변종을 물뚝새(var. oryzetorum)라고 한다. 남한산 ● 좀물뚝새 Sacciolepis indica / 화본목 벼과 물뚝새속 한해살이풀 높이 20∼35cm이고 밑부분에서 .. 2008. 12. 12.
좀돌피 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 화서에 적자색이 도는 피 종류 중에서, 까락이 긴 물피나 까락이 아주 짧은 돌피와 달리 좀돌피는 까락이 없다. 탄천 ● 좀돌피 Echinochloa crusgalli var. praticola / 화본목 벼과 피속의 한해살이풀 높이 30~100cm이다. 엽신은 길이 10~30cm이고 나비 7~10mm이며 잎혀는 없다. 총이 엽축을 따라 배열하며.. 2008. 12. 10.
쥐꼬리새풀 Sporobolus elongatus 쥐꼬리새풀은 줄기 끝에 쥐꼬리처럼 긴 꽃차례를 단 벼과의 풀로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쥐꼬리'라는 이름이 들어간 풀의 종류가 많은데 벼과에 쥐꼬리새·큰쥐꼬리새·쥐꼬리새풀이 있으며, 쥐고리망초과의 쥐꼬리망초·백합과의 쥐꼬리풀이 그것이다. 대모산 ● 쥐꼬리새풀 Sporobolus elongatus | smut grass / 벼목 벼과쥐꼬리새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억센 뿌리가 땅 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뿌리에서 뭉쳐 나오며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서고 높이가 30∼80cm이다. 잎은 길이가 20∼60cm, 폭이 1.5∼5mm이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안쪽으로 말리고 마르면 곧 접히며 잎집의 윗부분에 흰색 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차례는 곧게 서고.. 2008. 12. 8.
나도잔디 Sporobolus japonicus 남한산성 기슭에서 특이한 벼과의 풀을 만난다.  '털잔디', '잔디쥐꼬리'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나도잔디! 이름처럼 잔디처럼 작은 풀이고 잎에는 털이 많으며 이삭이 쥐꼬리처럼 생겼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볕 잘 드는 산지나 언덕에 자란다.    2008. 09. 27.  남한산성           ● 나도잔디 Sporobolus japonicus | Barundi sacaton grass  /  벼목 벼과 쥐꼬리새풀속의 한해살이풀 잎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4-10㎝,나비 2-5㎜이며 끝 부분을 제외한 가장자리에 선점과 밑이 딱딱하게 덩어리진 털이 있다. 표면에 털이 있으며 꺼칠꺼칠하고 뒷면에는 선점이 있다. 엽설은 거의 발달하지 않으며 털이 줄로 돋는다. 높이 5-30cm이고 전체에 희미한 선점.. 2008. 12. 4.
방울고랭이 Scirpus wichurae var. asiaticus 경남 합천 ● 방울고랭이 Scirpus wichurae var. asiaticus /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다른 이름 : 개왕골, 방울골, 왕굴아재비 화경(花莖)에 달려 있는 잎은 편평하며 길이 30-40cm, 폭 5-15mm이고 엽초는 길이 3-10cm로서 헐겁게 둘러싼다. 높이 1-1.5m이며 딱딱하고 세모지며 곧게 선다. 근경이 짧고 수염.. 2008. 12. 1.
쥐꼬리새 Muhlenbergia japonica 숲속, 길가에서 자라는 벼과 쥐꼬리새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큰쥐꼬리새와 선쥐꼬리새가 땅속줄기가 길게 뻗는 데 비해 쥐꼬리새는 땅속줄기가 짧거나 없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러시아 우수리,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2008. 09. 14.  경남 합천, 응달 산길         ● 쥐꼬리새 Muhlenbergia japonica | Japanese Muhly  /  벼과 쥐꼬리새속의 여러해살이풀 밑부분이 옆으로 기며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원줄기는 마디에서 자란 곁가지와 더불어 높이 15-40cm이며 가늘고 비스듬히 선다.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져 뿌리줄기가 자라기도 한다. 잎은 편평하며 길이 5~15cm, 폭 2~4mm로서 부드럽고 잎집과 더불어 백록색이며 잎집은 다소 편평하며 잎혀는 짧고 .. 2008. 12. 1.
세대가리 Lipocarpha microcephala 꽃이삭이 3개로 한 개인 파대가리와 구별된다. 방동사니속 식물들은 작은이삭에 꽃이 여러 개 들어 있지만, 세대가리속 식물은 꽃이 하나만 들어 있는 것으로 구분된다. 전국 각처 논두렁이나 습지에서 흔히 자란다.     2008. 09. 14.  경남 합천       ● 세대가리 Lipocarpha microcephala | smallhead lipo-carpha  /  사초과 세대가리속의 한해살이풀전체에 털이 없다. 줄기는 가늘고 곧게 서며, 높이는 5~20cm이고, 둔한 삼각형이다. 줄기에 잎은 한두 개 달리고, 잎 너비는 1~2mm이다. 잎집은 갈색이다. 꽃은 8~10월에 피는데 전체 꽃차례는 줄기 끝에 달리고, 난형의 이삭이 세 개가 뭉쳐 달린다. 작은 식물체들은 간혹 한두 개의 이삭만 달리기도 한다.. 2008. 1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