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사초과 골풀과422 갯그령 Elymus mollis 중부 이북 지역 바닷가 모래땅에 자란다. 갯보리에는 20mm 정도의 긴 까락이 두드러져 쉽게 구별된다. ↓ 2009. 07. 23. 백령도 ● 갯그령 Elymus mollis / 화본목 벼과 갯보리속 여러해살이풀높이 50-100cm이며 굵고 밋밋하다. 잎은 분록색이며 길이 20-40㎝, 폭 7-12mm로서 털이 없고 표면은 맥이 튀어올라 거칠지만 뒷면은 밋밋하며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이고 잎혀는 길이 1㎜로서 막질이다.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 꽃은 7월에 피며 원뿔모양꽃차례는 길이 10-25㎝로서 거의 흰빛이 돌고 백색 털이 있으며 곧게 서고 낱꽃축은 연모가 있다. 작은이삭은 2개씩 달리고 길이 1-2.5cm로서 3-5개의 꽃으로 된다. 포영은 넓은 피침형으로서 예첨두이며 3-.. 2009. 8. 16. 물골풀 Juncus gracillimus 열매 습지에서 자란다는 물골풀. 백령도 해안 언덕과 고개를 넘는 도로변에서 만나고선 다른 종류의 풀일까 싶었다. 하지만 물골풀 외에 이와 닮은 종은 없는 듯, 물골풀로 최종 동정한다. ↓ 백령도 줄기는 가늘다. ● 물골풀 Juncus gracillimus /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습지에서 자란다. 높이 40.. 2009. 8. 15. 갯쇠보리 Ischaemum anthephoroides, 암술과 수술(꽃밥)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자라는 벼과 쇠보리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쇠보리와 다르게 마디에 털이 밀생하며 제1포영의 날개가 넓고 까락이 길어 구분된다. ↓ 2009. 07. 23. 백령도 붉은 털 모양의 암술 꽃밥 전초 ● 갯쇠보리 Ischaemum anthephoroides / 벼목 벼과 쇠보리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는 30∼80cm이다. 밑부분의 마디에서 굵은 뿌리가 내리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 바소꼴이며 편평하다. 잎 길이는 15∼30cm, 나비 8∼12mm로 끝이 뾰족하고 입혀는 짧으며 잎과 잎집 및 가는마디에 흰색의 털이 난다. 꽃은 7월에 피는데 꽃차례는 밑부분과 마디에 털이 있다. 반원기둥 모양의 꽃이삭 2개가 합쳐져 1개로 보이며 .. 2009. 8. 15. 나도겨풀 Leersia japonica 연못과 저수지, 강가의 얕은 물에 무리 지어 벼과 겨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습지식물이다. 겨풀에 비해 꽃차례가 곧추서고 가지의 밑부분에 작은이삭이 달리며 수술은 6개이므로 구분된다. ↓ 2009. 07. 22. 백령도 ● 나도겨풀 Leersia japonica / 벼과 겨풀속의 여러해살이풀물 위로 나온 줄기는 높이 30-50cm이며 곧게 서고 마디마다 짧은 털이 밀생한다. 잎은 호생하며 편평하고 길이 5~15cm, 폭 5~8mm로서 털이 없으며 연질이고 연한 녹색이며 엽설은 길이 2~2.5mm이다. 근경에서 몇 개의 줄기가 옆으로 뻗다가 윗부분이 물위로 나온다. 꽃은 8~9월에 피고 화서는 총상으로 몇 개의 가지가 갈라지며 가지는 1개씩 달리고 비스듬히 퍼지며 거의 밑부분에.. 2009. 8. 15. 호밀풀 Lolium perenne | Rye-grass 유럽 원산으로 북아메리카와 아프리카,시베리아를 포함한 아시아 등지에 귀화해서 자라는 벼과의 풀이다. ↓ 백령도 ● 호밀풀 Lolium perenne | Rye-grass / 벼과(Gramineae)의 두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 무더기로 나와서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게 서서 높이가 30-60cm에 달하며 전체에 털이 없다.. 2009. 8. 15. 호밀풀 Lolium perenne 전국의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길가에서 자라는 벼과의 귀화식물이다. 이삭이 달린 모습이 쥐보리와 비슷하나 쥐보리가 까락이 있는데 비해, 호밀풀은 까락이 없는 점으로 구별된다. ↓ 양평 ● 호밀풀 Lolium perenne | Rye-grass / 벼과 호밀풀속의 두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 유럽 원산으로 가는보리풀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총생하고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게 서서 높이가 30~60cm에 달하며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짙은 녹색이고 광택이 있으며 길이 10~30cm, 나비 2~6mm로서 어릴 때는 접히고 엽설은 길이 약 1mm로서 절두이다. 꽃은 5월에 피고 꽃이삭은 길이 13∼25 cm로서 작은이삭이 어긋나게 달린다. 작은이삭은 길이 15∼18 mm이고, 10∼16개의 꽃이 들어 있으며 밑에 달.. 2009. 7. 25. 나도겨풀 Leersia japonica 연못과 저수지, 강가의 얕은 물에 무리 지어 벼과 겨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습지식물이다. 겨풀에 비해 꽃차례가 곧추서고 가지의 밑부분에 작은이삭이 달리며 수술은 6개이므로 구분된다. ↓ 2009. 06. 30. 세미원 ● 나도겨풀 Leersia japonica / 벼과 겨풀속의 여러해살이풀물 위로 나온 줄기는 높이 30-50cm이며 곧게 서고 마디마다 짧은 털이 밀생한다. 잎은 호생하며 편평하고 길이 5~15cm, 폭 5~8mm로서 털이 없으며 연질이고 연한 녹색이며 엽설은 길이 2~2.5mm이다. 근경에서 몇 개의 줄기가 옆으로 뻗다가 윗부분이 물위로 나온다. 꽃은 8~9월에 피고 화서는 총상으로 몇 개의 가지가 갈라지며 가지는 1개씩 달리고 비스듬히 퍼지며 거의 밑부분에.. 2009. 7. 25. 애괭이사초 Carex laevissima ↓ 지리산 ● 애괭이사초 Carex laevissima / 사초과 높이 15∼40cm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줄기는 모여나고 날카로운 삼각 모양이며 윗부분이 거칠거칠하다. 잎은 납작하고 나비 2∼3mm로서 검은빛 점이 생긴다. 잎집은 앞쪽이 높아지고 주름이 진다. 꽃은 5∼6월에 피는데, 여러 개의 작은이삭이 .. 2009. 7. 21. 왕쌀새 Melica nutans 흰껍질새, 청쌀새, 큰반쪽쌀새, 큰껍질새 등의 이명으로 불리던 것이 모두 왕쌀새로 통합되어 있다. ↓ 지리산 ● 왕쌀새 Melica nutans / 벼목 벼과의 여러해살이풀 가는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으면서 총생하며 높이 20~50cm이다. 잎은 길이 5-15㎝,나비 2-5㎜로서 끝이 날카롭고 거칠며 표면에는 .. 2009. 7. 21. 나도겨이삭 Milium effusum 숲속에 가장 이른 시기에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 가장 대형종인 벼과의 풀로, 꽃차례는 가지가 돌려난다. 지리산 ● 나도겨이삭 Milium effusum / 벼목 벼과 나도겨이삭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뭉쳐나고 곧게 서며 높이가 60∼120cm이고 털이 없으며 연하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줄 모양이며 .. 2009. 7. 21. 지리실청사초(추정) Carex subebracteata var. leiosperma 햇볕이 드는 풀밭에서 자라는 실청사초, 그리고 그 변종으로서 지리산에서 자생하는 특산 희귀종인 지리실청사초는 어떻게 구별되는가. 지리실청사초 (var.leiosperma)는 "과포의 능선 이외에 털이 없다."는 것으로 실청사초(Carex sabynensis)와 구별된다고 하는데 아래의 이미지는 어느 쪽에 해당하는 것일까. ↓ 지리산 열매에 깜부기병이 든 모양... ● 지리실청사초 Carex sabynensis var. leiosperma / 사초목 사초과사초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20-50cm이다. 잎은 꽃이 진 다음 자라며 나비 2-3㎜이고 밑부분의 엽초는 실처럼 갈라져서 밑부분을 덮는다. 소수는 2-3개가 서로 접근하여 서며 정소수는 수꽃이고 길이 1-1.5㎝로서 곤봉형(棍棒形)이며 측소수는 달걀모양 .. 2009. 7. 21. 참삿갓사초 Carex jaluensis 이삭이 길게 꼬리처럼 늘어지는 참삿갓사초, 삿갓사초에 비해 암꽃이삭에 대가 있어 아래로 처지기도 하므로 '꼬리사초'라고도 하는데, 중북부의 계곡, 남부지방의 해발 800~1000m 이상의 산지 물가에서 자란다. 종소명(jaluensis)을 보면 압록강 주변에서 처음 발견된 모양이다. 울릉도에 자생하는 산꼬리사초(Carex shimidzensis)와 아주 비슷한데, 산꼬리사초는 암술머리가 2갈래인 점이 암술머리가 3갈래인 참삿갓사초와 구별된다고 한다. 지리산 세석 ● 참삿갓사초 Carex jaluensis | jalu-sedge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0∼100cm이다. 뿌리줄기는 모여나고 기는가지가 있으며 줄기는 세모지며 곧게 선다. 윗부분은 거칠고 아랫부분은 붉은갈색의 잎집에 싸.. 2009. 7. 21. 애기바늘사초 Carex hakonensis (추정) 지리산 한신계곡 습한 숲그늘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사초. 바늘사초, 개바늘사초, 애기바늘사초 중 어디에 속할까. 잎이 1mm 정도로 가늘었던 것으로 기억되는데 이로 보면 애기바늘사초로 추정된다. 거기에다 지리산이 애기바늘사초 분포지로 기록되고 있다. ● 애기바늘사초 Carex hakonensis | Small-needle sedge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둔한 세모진 모양으로 거의 평활하고 종종 한포기 속에 키가 작은 것(10cm 내외)과 큰 것(20여 cm)의 2형이 있다. 근경은 극히 짧고 옆으로 뻗지 않는다. 잎은 털같은 모세관형이며 안쪽으로 말리고 폭 1㎜정도로서 짙은 녹색이며 밑부분의 엽초는 황갈색 또는 갈색이다. 꽃대는 높이 10-30cm로서 둔한 삼각형이고 밋밋하거나 .. 2009. 7. 13. 지리산의 애기바늘사초 Carex hakonensis 지리산 한신계곡 어두운 숲에 흔히 자생하는 바늘사초류. 처음에는 개바늘사초일까 생각했으나 자생지나 좁은 잎, 포기 속 키가 큰 것과 작은 곳이 어울린 모양 등 개체의 특성으로 봐서 애기바늘사초로 판단된다. 제주도, 지리산, 금강산, 북부지방에서 자라는 사초속 다년초이다. ● 애기바늘사초 Carex hakonensis | Small-needle sedge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둔한 세모진 모양으로 거의 평활하고 종종 한포기 속에 키가 작은 것(10cm 내외)과 큰 것(20여 cm)의 2형이 있다. 근경은 극히 짧고 옆으로 뻗지 않는다. 잎은 털같은 모세관형이며 안쪽으로 말리고 폭 1㎜정도로서 짙은 녹색이며 밑부분의 엽초는 황갈색 또는 갈색이다. 꽃대는 높이 10-30cm로서 둔한 삼.. 2009. 7. 12. 매자기 Bolboschoenus maritimus (Scirpus maritimus) 해안에 가까운 습지나 갯벌에 자라는 사초과 여러해살이풀이다. 고랭이속(Scirpus)으로 분류되어 왔으나 매자기속(Bolboschoenus)으로 분리 배치되었다. 전 세계 온대 및 아열대에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서해안에 자생한다. 매자기인지 큰매자기인지 외형적으로 구별이 쉽지 않은데, 마디가 잎집 밖으로 나오지 않은 점으로 매자기로 동정한다. ↓ 홍릉수목원 ● 매자기 Bolboschoenus maritimus | river-bulrush / 사초목 사초과 고랭이속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40-100cm이고, 단면은 삼릉형이며, 매끈하다. 근경은 길게 가로로 뻗으며 말단에 덩이줄기가 달린다. 덩이줄기를 형삼릉(荊三稜)이라 한다. 엽초의 앞면은 무맥이고, 단면은 삼각형-마름모형이다. 엽신은 선형이고, 너비는.. 2009. 7. 5.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