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사초과 골풀과

참새그령 Eragrostis cilianensis

모산재 2008. 12. 13. 14:34

 

 

 

 

 

2008. 10. 10.  태릉 어느 빈터

 

 

 

 

 

 

 

 

 

 

 

 

 

 

 

● 참새그령 Eragrostis cilianensis  < / 화본목 벼과 그령속의 한해살이풀

빈터나 밭에서 자란다. 줄기는 무더기로 나와서 높이 20∼60cm이고 마디 바로 밑에 오목하게 들어간 선점(腺點)이 있다. 잎은 밝은 녹색으로 나비 2∼6mm이고 가장자리와 맥 위에 같은 선점이 있다. 잎집은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윗부분 양면에 긴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원추꽃차례에 많은 작은이삭이 달린다. 작은이삭은 납빛이 나고 편평하고 넓은 타원형이며 10∼30개의 꽃이 좌우로 나열하며 연한 녹색 또는 자주색이다. 작은꽃줄기에도 희미한 선(腺)이 있다. 포영은 길이가 다르고 첫째에 1맥, 둘째에 3맥이 있다. 호영은 3맥이 있고 포영과 더불어 능선에 선점이 있다. 내영에는 2맥이 있으며 능선에 잔털이 있다.
<두산백과사전>

 

 

 

 

※ 그령속은 그령과 능수참새그령만 여러해살이풀.

 

• 비노리 : 개방형 화서. 화서 가지짬에 털이 없고 가지 기부가 약간 굵어진다.

• 들비노리 : 응축형 화서

• 큰비노리 : 화서 가지짬에 털

• 각시그령 : 붉은색 화서

• 좀새그령 : 참새그령에 비해 작다.

• 능수참새그령 : 화서가 가늘고길어 늘어지며 소수가 검게 보인다.

 

 

 

※ 그령속 종 검색표  <벼과 사초과 생태도감>

 

 1a. 화서에 황색 선점이 뚜렷이 있다.
   2a. 소수 자루에 선점이 있다. ········································································· 그령
   2b. 소수 포영과 호영에 선점이 있다.
     3a. 식물체는 작고 소수에 소화가 3~26개 있다. ··································좀새그령
     3b. 식물체는 크고 소수에 소화가 10~40개 있다. ······························ 참새그령
 1b. 화서에 황색 선점이 없거나 희미하다.
   4a. 다년초이다. ················································································· 능수참새그령
   4b. 1년초이다.
     6a. 화서 가지짬에 긴 털이 있다. ·························································· 큰비노리
     6b. 화서 가지짬에 털이 없다.
       7a. 화서는 적자색이 강하고, 소수는 2mm 미만이다. ···················· 각시그령
       7b. 화서는 암녹색이고, 소수는 2mm 이상이다. ································· 비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