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uphorbia15

애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대극과의 한새살이풀로 땅빈대와 모양과 크기가 아주 유사하나 잎 중앙에 붉은 반점이 있고 열매는 털이 나는 점으로 구분된다. 큰땅빈대에 비해 전초가 작으며 줄기는 눕고 전체적으로 털이 많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경작지 주변, 민가 주변의 길가 등에서 흔하게 자란다. 전 세계 온대지역에 분포한다. 전초를 약재로 쓴다.     2024. 09. 14.  서울    2024. 09. 23.  서울     ● 애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 spotted spurge, prostrate spurge, milk purslane  ↘  목련강 장미아강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 귀화식물 줄기는 가지가 갈라져 땅 위에 퍼지며, 길이 10~25cm,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며, 긴 타원형 .. 2024. 10. 18.
큰땅빈대 Euphorbia nutans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풀이다. 땅빈대나 애기땅빈대에 비해 줄기가 비스듬히 서고 잎은 긴 타원형으로 더욱 크다. 또한 잎겨드랑이마다 꽃이 피는 땅빈대나 애기땅빈대에 비해 가지 끝부분 가까운 잎겨드랑이에 다소 긴 자루에 꽃차례가 달린다.  북중미 원산으로 동아시아, 유럽, 남미, 아프리카 남부, 뉴질랜드 등에 널리 퍼져 있다.    2024. 08. 09.  화순 백운산      ● 큰땅빈대 Euphorbia nutans | eyebane, nodding spurge  ↘  목련강 장미아강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풀 1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윗부분의 한쪽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꼴 긴 타원모양 또는 긴 타원모양이고, 3-5맥이 있으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가장자리에 둔.. 2024. 8. 28.
유포르비아 포이소니 Euphorbia poissonii 대극과 대극속의 다육식물로 원산지는 나이지리아 북부이다. 독성 식물이라 종명 poissonii가 'poison(독성, 중독)'에서 유래한 게 아닐까 생각하기 쉬운데, 프랑스 식물학자 앙리 루이 푸아쏭(Henri Louis Poisson, 1877-1963)을 위해 명명된 식물이다.  대극속 식물들처럼 매우 자극적이고 유독성의 식물로 지역 농민들은 이 식물의 수지를 추출하여 살충제로 사용한다. 이 식물의 가장 활동적인 독소인 레시니페라톡신(resiniferatoxin)은 다른 신경 세포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통증 수용체를 결합하고 죽이는 선택적 특성이 있어 만성 통증 치료법으로 연구되고 있다고 한다.    2022. 09. 25. 송파 방이동 화원      ※ 레시니페라톡신(Resiniferatoxin, R.. 2022. 10. 9.
애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북아메리카 원산의 대극과 대극속의 한해살이 귀화식물이다. 땅빈대에 비해서 잎은 중앙에 붉은 반점이 있고 열매는 털이 나는 점으로 구분된다. 줄기가 눕고 전체적으로 털이 많은 점에서 큰땅빈대와 구별된다.  경작지 주변, 민가 주변의 길가 등에서 흔하게 자란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16. 06. 20.  서울 수서      ● 애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 spotted spurge, prostrate spurge, milk purslane  ↘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사상으로 지면을 따라 4방으로 퍼지며 잎과 더불어 털이 약간 있으며 왕왕 암홍색이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장 타원형으로 길이 5~10mm, 너비 2~4mm이며 양끝이 둥글고 상반부 가장자.. 2016. 10. 31.
큰땅빈대 Euphorbia nutans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풀로 북중미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땅빈대나 애기땅빈대에 비해 줄기가 비스듬히 서고 잎은 긴 타원형으로 더욱 크다. 또한 잎겨드랑이마다 꽃이 피는 땅빈대나 애기땅빈대에 비해 가지 끝부분 가까운 잎겨드랑이에 다소 긴 자루에 꽃차례가 달린다.    2016. 10. 09.  괴산 연풍            ● 큰땅빈대 Euphorbia nutans | eyebane, nodding spurge  ↘  목련강 장미아강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풀 1년생 초본으로 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윗부분의 한쪽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꼴 기니 타원모양 또는 긴 타원모양이고, 3-5맥이 있으며, 긴 털이 드문드문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등잔모양꽃차례이고, 1개의 수술.. 2016. 10. 18.
큰땅빈대 Euphorbia nutans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풀이다. 땅빈대나 애기땅빈대에 비해 줄기가 비스듬히 서고 잎은 긴 타원형으로 더욱 크다. 또한 잎겨드랑이마다 꽃이 피는 땅빈대나 애기땅빈대에 비해 가지 끝부분 가까운 잎겨드랑이에 다소 긴 자루에 꽃차례가 달린다.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유럽과 아시아에 귀화하였으며, 국내에서는 중부와 남부 지방 하천변 고수부지 풀밭에서 자란다. (Euphorbia maculata로 잘못 기록된 학명을 Euphorbia nutans로 정정하였다.)    2015. 07. 28.  신구대식물원         ● 큰땅빈대 Euphorbia nutans ↘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의 한해살이풀높이 20-60cm이고 원줄기는 비스듬히 서며 윗부분의 한쪽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난상 긴 타원형 또는 긴.. 2015. 8. 12.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개감수는 대극과의 강한 독성을 지닌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의 색깔이 잎색과 거의 비슷하고 꽃의 모양은 뾰족한 별 모양을 하고 있어 이른봄 양지바른 숲속의 독특한 풍경을 이룬다. 큰 군락을 이루지는 않지만 뭉쳐서 자란다. 감수(甘遂)는 중국에서 나는 Euphorbia kansui 를 가리키는데 이와 비슷한 약효를 가지고 있어 개감수라고 한다. 천마산 ● 개감수 Euphorbia sieboldiana ↘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20∼40cm로 줄기는 가늘고 둥글며 곧게 서며 수염처럼 가늘고 흰 뿌리가 있다. 가지가 듬성듬성 갈라지고 붉은 자주색을 띠는데 끊으면 흰 즙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긴 타원형이다. 잎 길이 3∼6cm, 나비 0.7∼2cm로 밑이 좁고 끝이 뭉뚝하며 .. 2015. 4. 14.
땅빈대 Euphorbia humifusa 땅빈대는 대극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잎과 열매 모양이 빈대를 연상시켜 땅빈대라 한다. '비단풀'이라고도 하고 땅에 기는 풀에 달린 열매가 감같이 보인다고 하여 '땅의감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애기땅빈대와 비슷하지만 줄기에 털이 적고 열매에는 털이 없으며 잎에는 붉은 무늬가 없는 점으로 뚜렷이 구별된다.     2014. 06. 22. 제주도 표선 부근 해안          ● 땅빈대 Euphorbia humifusa  ↘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가늘어서 눕고 길이 10-30cm이며 가지는 보통 2개로 갈라지고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으며 흰유액이 나온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수평으로 퍼져서 2줄로 배열되고 긴 타원형이며 양끝이 둥글지만 밑부분의 한쪽이 좁고 길이 7-15mm, 폭 3-7m.. 2014. 7. 10.
동강과 백령도의 흰대극 Euphorbia esula 어라연 트레킹을 하고 돌아나오다. 동강가 자갈 언덕에서 흰대극을 만난다. 철을 지나 꽃을 볼 수 없는 것이 아쉬운데, 그렇다고 열매를 달고 있는 모습도 아니다. 청산도, 추자도, 백령도 등 남서해안에서 주로 만나 봤듯이, 흰대극은 우리 나라 해안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흰대극은 한 포기에서 줄기가 여럿 나오고 줄기 끝에 가지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 그 끝에 잎이 빽빽하게 모여 달리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에 털이 없이 밋밋하고 잎 뒷면이 분백색이며 줄기를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잔 모양의 꽃차례 선체는 양쪽 가장자리가 둔하며 짧게 돌출한다. ↓ 영월 동강 흰대극 꽃 ↓ 백령도 ● 흰대극 Euphorbia esula ↘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20~40cm로 한 포기에서 여러 대가 나오고.. 2013. 11. 10.
'버들옻', 대극 꽃의 독특한 아름다움 대극은 대극과 대극속을 대표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대극과 식물은 열매가 3개의 방으로 달리는 공통점이 있다. 주로 열대지방에 나는데, 약 280속 8,000종이 있는데 한국에는 10속 21종이 분포한다. 대극과 식물로 가장 익숙한 것으로 피마자(아주까리)를 들 수 있고, 나무로는 광대싸리 사람주나무 예덕나무 굴거리나무 조도만두나무 등이 있고, 풀로는 개감수 등대풀 여우주머니 여우구슬 산쪽풀 깨풀 땅빈대 설악초 포인세티아 등이 있다. 대극은 잎과 꽃이 독특하여 눈길을 끈다. ↓ 태안 학암포 대극이란 이름은 뿌리가 매우 맵고 써서 인후를 자극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2012. 7. 22.
해남 가학산의 대극 Euphorbia pekinensis 남부 바닷가에 자라는 암대극(Euphorbia jolkini)에 비해 내륙에 분포하며, 줄기가 보다 가늘고 잎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해남 가학산 ● 대극 Euphorbia pekinensis | Peking spurge ↘ 대극목 대극과 대극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비대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흔히 밑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가는 털이 있다. 높이 80cm 정도이고,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없으며 타원형의 바소꼴로 끝은 뭉뚝하거나 뾰족하고 밑은 뾰족하다. 잎 뒷면에는 짧은 털이 나고 백록색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원줄기 윗부분에서는 5개의 잎이 돌려나고, 총포잎은 넓은 달걀 모양 또는 삼각꼴의 원형으로 길이 5∼12mm이다. 6월경에 황록색 꽃이 배상꽃차례(잔 모양.. 2011. 8. 18.
대극의 꽃과 열매 Euphorbia pekinensis 대극과 대극속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자르면 유액이 흘러나오는 유독 식물이다. 독특한 모양의 꽃차례와 열매로 시선을 끈다. 대모산 5개의 가지가 산형으로 갈라지고 5개의 잎이 돌려나기하는데, 꽃은 원줄기 끝에 배상화서(등잔꼴꽃차례)로 달린다. 가운데에서 길에 자라나온 암꽃은 3실의 씨방과 암술을 달고 3개의 암술은 각각 머리가 2갈래로 갈라진다. 씨방과 암술을 받치고 있는 5갈래 녹황색 꽃잎 모양은 분비물질을 내는 선체(腺體)이고, 그 안쪽에 암꽃자루를 흑갈색 수술이 둘러싸고 있다. 3실의 씨방이 자라면서 표면에 사마귀 같은 돌기가 생긴다. (붉은대극이나 풍도대극에는 돌기가 없다.) ● 대극(大戟) Euphorbia pekinensis | Peking spurge / 쥐손이풀목 대극과 대극속 높이가 80.. 2008. 6. 23.
애기땅빈대 Euphorbia supina 북미가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들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땅빈대와 비슷하지만 잎에 붉은 반점이 있고 열매에 털이 있으며, 큰땅빈대에 비해 잎이 작고 식물이 지면을 기는 점이 다르다.     2006. 06-07.                ● 애기땅빈대 Euphorbia supina  /  쥐손이풀목 대극과 대극속 한해살이풀줄기는 사상으로 지면을 따라 4방으로 퍼지며 잎과 더불어 털이 약간 있으며 왕왕 암홍색이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장 타원형으로 길이 5~10mm, 너비 2~4mm이며 양끝이 둥글고 상반부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중앙부에 붉은빛이 도는 갈색의 반점이 있다. 꽃은 6~7월에 홍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등잔모양꽃차례로 달린다. 술잔처럼 생긴 총포 속에 1개의 수술로 된 수꽃과 1개의 암술로 된.. 2006. 6. 21.
대극 Euphorbia pekinensis 2006. 05. 16.  대모산     ● 대극Euphorbia pekinensis   /  쥐손이풀목 대극과 대극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는 비대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흔히 밑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가는 털이 있다. 높이 80cm 정도이고,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온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없으며 타원형의 바소꼴로 끝은 뭉뚝하거나 뾰족하고 밑은 뾰족하다. 잎 뒷면에는 짧은 털이 나고 백록색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원줄기 윗부분에서는 5개의 잎이 돌려나고, 총포잎은 넓은 달걀 모양 또는 삼각꼴의 원형으로 길이 5∼12mm이다. 6월경에 황록색 꽃이 배상꽃차례(杯狀花序)를 이루고, 1개의 수술로 된 몇 개의 수꽃과 1개의 암술로 된 1개의 암꽃이 작은 총포 안에 들어 있다. 열매는 삭과로 지름 6mm .. 2006. 5. 28.
땅빈대(비단풀) Euphorbia humifusa 학교 교정 화단, 봄맞이꽃의 겨울나기 로제트 옆에서 발견한 땅빈대! 줄기와 잎이 비단처럼 땅을 곱게 덮어 비단풀이라고 부르지만, 땅 위에 퍼진 잎의 모양이 빈대같아 땅빈대라고도 부른다. 밭이나 공터에서 땅 위를 기며 자라는데, 워낙 작아 눈에 잘 띄지 않는다.    2005. 10.  개포동      ● 땅빈대 Euphorbia humifusa  /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한해살이풀줄기는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져서 땅 위에 퍼지며, 길이 10-30cm, 자르면 젖 같은 흰 즙이 나오고, 털이 나 있다. 잎은 마주나며, 2줄로 붙고, 긴 타원형, 길이 7-15mm, 폭 3-7mm,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잎 앞면은 녹색, 뒷면은 회색빛이 돈다. 잎자루는 짧다. 턱잎은 선형이고 8갈래로 갈라진다. 꽃은 8.. 2005.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