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피나무과24

피나무 Tilia amurensis 아욱목 피나무과에 속하는 피나무속은 북반구의 온대지방에 30종이 자라고 한국에는 12종이 자생하고 있다. 꽃자루에 커다란 포가 있는 것이 특색이며 수피가 발달한 섬유자원이다. 다양한 변이가 알려져 있는데, 꽃이 한 화경에 30개 이상 달리는 종류는 꽃피나무(var. polyantha), 잎이 길게 뾰족해지면서 큰 톱니가 가장자리에 있는 종류는 큰피나무=평안피나무(var. grosseserrta), 잎 아래쪽이 편평하거나 조금 오목하며, 어린 가지가 붉은색을 띠며 별처럼 생긴 털이 달린 종류는 뽕잎피나무(var. taquetii)로 구분하기도 한다. 설악산 ● 피나무 Tilia amurensis | Bee tree ↘ 아욱목 피나무과 피나무속의 낙엽 활엽교목 높이 20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짧은 털이 있.. 2015. 6. 29.
피나무 새 잎 ☞ 피나무+ => (잎과 수피) http://blog.daum.net/kheenn/14735283 (꽃) http://blog.daum.net/kheenn/15018904 (꽃과 수피) http://blog.daum.net/kheenn/15852085 ☞ 섬피나무 => http://blog.daum.net/kheenn/13270793 ☞ 구주피나무 => http://blog.daum.net/kheenn/12048850 http://blog.daum.net/kheenn/15856278 ☞ 찰피나무 => http://blog.daum.net/kheen.. 2015. 5. 7.
구주피나무 Tilia kiusiana 잎과 수피 일본 원산으로 1930년경 우리 나라에 도입된 피나무과의 나무이다. ● 구주피나무 Tilia kiusiana / 아욱목 피나무과 피나무속 수간은 직립하며 원정형의 수형을 이루고 나무껍질은 엷은 갈색이다. 가지가 무성하고 어릴 때는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일그러진 좁은 달걀모양이고, 길이.. 2014. 5. 11.
고슴도치풀 Triumfetta japonica 고슴도치풀은 아욱목 피나무과의 한해살이풀로 빈터에서 잡초처럼 자란다. 높이 60∼130cm로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8∼9월에 노란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취산꽃차례로 빽빽이 핀다. 꽃잎은 5개로 달걀 모양 긴 타원형이고 수술은 10개이다. 꽃이 진 자리에 갈고리 같은 가시가 .. 2011. 10. 29.
고슴도치풀 Triumfetta japonica 한여름 성내역 부근 공터에서 만난 고슴도치풀. 들이나 마을 주변 빈터 등에서 자라는 잡초인데 아주 귀한 풀도 아니지만 쉽게 만날 수 없는 풀... 며칠 뒤에 찾았을 때는 아쉽게도 잡초로 말끔히 뽑혀 나가고 없었다. 고슴도치풀(Triumfetta japonica)은 아욱목 피나무과의 한해살이풀이다. 둥근 열매가 갈고리 같은 긴 가시로 덮여 있어 고슴도치풀이란 이름이 붙었으며 껍질은 섬유질이다. 피나무과의 풀이어서 '피나무풀'이라고 하며 줄기 껍질이 질긴 섬유질이어서 '나전초(羅氈草)'라고도 한다. ↓ 성내 ● 고슴도치풀 Triumfetta japonica | Japanese burbark ↘ 아욱목 피나무과 고슴도치풀속의 한해살이풀 높이 60-130cm이고 줄기는 기둥모양이며 윗부분에 단모 또는 2개로 갈.. 2011. 10. 15.
영롱한 붉은 빛 장구밤나무(Grewia parviflora) 열매 아침 굴업도에서 단풍처럼 아름답게 익은 장구 모양의 장구밤나무 열매를 만난다. 영롱한 열매가 아침 햇살처럼 환하다. 서해안이나 섬들의 바닷가 양지바른 언덕에는 장구밤나무가 지천으로 자란다. 피나무와 같은 식구로 사람 키 높이만큼 자라는 나무가 정답다. 장구 모양의 열매 속.. 2010. 12. 14.
장구밤나무 꽃 Grewia parviflora 장구밤나무는 황해도 이남 서해 바닷가에 자라는 관목이다. 가을에 노랑이나 붉노랑으로 익는 열매는 4개의 소견과가 들어 있어서 장구 모양을 이루므로 장구밤나무라고 한다. 열매는 10월에 익는데 먹을 수 있어서 '잘먹기나무'라는 딴이름도 있다. 피나무과로 분류하나, 아욱과로 보기.. 2010. 8. 7.
굴업도의 찰피나무 Tilia mandshurica 바람이 불면 꽃차례가 찰랑찰랑하다고 찰피나무이며 열매로 염주를 만든다고 염주보리수라고도 한다. 잎은 둥글고 크며 짧은 바늘 같은 톱니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반도 중부 이북의 산지에 분포하는데 굴업도에 군락을 이루고 있어 눈길을 끈다. ● 찰피나무 Tilia mandshurica / 피나무.. 2010. 7. 15.
수까치깨(Corchoropsis tomentosa) 열매 꽃받침은 뒤로 완전히 젖혀지고, 암술머리가 노란색인 점에서 꽃받침이 젖혀지지 않고, 암술머리가 빨간색인 까치깨와 구별된다. 수까치깨 열매는 삭과로 다소 굽은 긴 뿔 모양이며 길이 3~4cm, 지름 3mm 정도이다. 겉은 별모양의 털로 덮여 있으며 3실이고 3개로 갈라지며 종자는 달걀모양으로 길이 2.5mm 정도이고 겉에 옆으로 두드러진 줄이 있다. ↓ 남한산 ● 수까치깨 Corchoropsis tomentosa | Tomentose corchoropsis ↘ 아욱목 벽오동과 까치깨속 한해살이풀 높이가 60cm에 달하고 성모가 있으며 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이고 길이 4~8cm, 폭2~4.5cm로서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둥글거나 다소 절저이고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가.. 2009. 10. 19.
장구밤나무(Grewia parviflora) 수꽃 암꽃 국립수목원 도감에서는 장구밤나무의 꽃이 '양성화'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백령도에서 만난 장구밤나무는 암수딴그루가 아닐까 싶게 나무에 따라 다른 꽃이 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양성화도 없진 않을 것인데 수술이 있는 꽃에서 암술을 발견하기는 어려웠다. ↓ 백령도 장구밤나무 수꽃 장구밤.. 2009. 8. 16.
찰피나무(Tilia mandshurica | Manchurian Linden) 염주보리수, 설악보리수, 금강피나무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생장 속도가 빠르며 피나무 중 곧게 잘 자라는 나무이다. 가로수나 공원의 조경수로 좋으며, 탄력성과 가공성이 좋아 기구나 건축, 악기, 바둑판 등으로 쓰이며 꽃은 차로, 열매는 염주로 이용된다. 아래 나무는 홍릉수목원에서 '찰피.. 2009. 7. 27.
장구밤나무(장구밥나무) Grewia parviflora 피나무과의 관목으로 피나무속(Tilia) 식물들에 비해 열매가 견과가 아니라 장과이고 꽃차례에 포엽이 없고 잎자루가 짧은 점으로 구분된다. 열매의 모양이 장구 같아서 장구밥나무란 이름이 붙여졌다. '장구밥나무'라는 이름으로 통용되어 왔으나 국립수목원에서 표준어인 '장구밤나무'로 변경 등록하였다. 꽃이 양성화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아래의 꽃을 보면 암술은 없고 수술만 있다. 자생지에서 암꽃이 피는 나무와 수꽃이 피는 나무가 따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암수딴그루인 가능성을 열어 놓아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암술 수술이 하나의 꽃에 피는 나무가 있는지도 관찰해 보아야 할 일이다. ↓ 홍릉수목원 ● 장구밤나무 Grewia parviflora 아욱목 피나무과 장구밥나무속 낙엽활엽관목 높이가 2m에 이른다. 줄.. 2009. 7. 27.
수련목 Grewia occidentalis | Lavender star flower 수련목(Grewia occidentalis)은 피나무과의 상록 관목이다. 꽃이 수련과 비슷하다고 하여 수련목으로 부르게 되었다. 원산지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짐바브웨, 모잠비크 등의 남아프리카와 오스트레일리아 등으로 건조한 암석지대, 초목지대, 덤불 숲 등에서 자라며 추위와 더위 등에도 잘 견뎌 .. 2009. 7. 25.
피나무 꽃과 수피 Tilia amurensis(Bee tree) 나무껍질이 쓸모 있어 피나무라고 부른다고 하는데, 피나무 껍질을 잿물에 삶아 표백하여 얻은 섬유로 옷감을 짠다고 한다. 꽃은 초여름에 피는데 내밀고 있는 노란 수술이 화사하고 그윽한 꽃내음을 풍긴다. 꽃받침 부근에서 꿀이 많이 나와 'Bee tree'라는 영문 이름도 얻었다. 프랑스에.. 2009. 7. 12.
고슴도치풀 ※ 전남 영광 고슴도치풀 Triumfetta japonica 쌍떡잎식물 아욱목 피나무과의 한해살이풀 빈터에서 자란다. 높이 60∼130cm로 줄기 윗부분에 가는 털이 난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으로 가늘고 길며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는데, 생김새는 달걀 모양이고 길이 0.5∼1cm이다. 잎몸은 길.. 2009.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