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피나무과24

장구밤나무 Grewia parviflora 장구밥나무, 잘먹기나무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4개의 소견과가 든 열매의 모양이 장구통 같아서 장구밥나무란 이름이 붙여졌다. 잎은 쑥색 같은 황록색으로 우아하며 황색의 열매 또한 아름답다. 황해도 이남의 주로 서해안에서 자란다. ↓ 백령도 ↓ 선유도 장구밤나무 열매 ● 장구.. 2008. 11. 23.
장구밥나무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장구밥 나무의 열매는 4개의 소견과로 된 장과로, 두 개의 구형 열매가 붙은 듯한 열매의 모양이 장구 같아서 장구밥나무라 부른다.  황해도 이남의 주로 서해안에서 자란다. 국생정에서는 피나무과로 분류하고 있는데,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에서는 "피나무속(Tilia) 식물들에 비해서 열매는 견과가 아니라 장과, 꽃대는 포엽이 없고, 잎자루는 짧으므로 구분된다."고 하여 아욱과로 배치하였다.     2008. 07. 05.  홍릉수목원         ● 장구밥나무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  아욱목 피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잘먹기나무'라고도 한다. 바닷가 산기슭이나 내륙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2m이다. 작은 가지는 잿빛 또는 잿빛을 띤 갈색이며 부드러운 털이 난.. 2008. 7. 25.
피나무 Tilia amurensis ● 피나무 Tilia amurensis | Bee tree / 아욱목 피나무과 피나무속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 20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짧은 털이 있거나 없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3∼9cm의 넓은 달걀 모양이다. 잎 끝이 급히 길어져 뾰족하고 밑은 심장밑 모양이다. 잎 앞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은 회색빛을 띤 녹색으로 맥겨드랑이에 갈색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 피고 3∼20개가 취산꽃차례에 달리며 꽃자루 중앙에 바소꼴 또는 거꾸로 선 바소꼴의 포가 달려 있다. 포는 끝이 둔하고 길이 5cm 내외이다. 꽃받침조각은 타원형으로 선단 겉에 털이 있고 꽃잎은 바소꼴로 꽃받침보다 길다. 수술은 꽃잎보다 길고 암술대는 길이 4mm이며, 씨방에 흰색 털이 있다. 열매는 견과로서 원.. 2008. 7. 4.
피나무 수피와 새잎 곰배령 ● 피나무 Tilia amurensis | Bee tree / 피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 나무껍질(수피)이 유용한 나무라고 해서 피나무라 한다. 피나무 껍질을 방직해서 옷감을 짜기도 하는데 껍질을 잿물에 삶아서 겉껍질을 없애고 흐르는 물에 담가 표백을 시키면 섬유가 얻어진다. 목재 또한 연한 노란빛.. 2008. 5. 26.
섬피나무 Tilia insularis 잎과 줄기 울릉도에 자생하는 피나무를 섬피나무라 하는데, 뽕잎피나무와 비슷하면서도 잎이 보다 크고 두꺼우며 잎의 앞면 맥 위와 뒷면 맥짬에 털이 있는 것이 다르다. 한국 특산종이다. 성인봉 부근 ● 섬피나무 Tilia insularis | Ulleungdo linden ↘ 아욱목 피나무과 피나무속의 낙엽교목 높이 30 m에 달한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잎은 어긋나고 둥글거나 달걀모양으로 길이 8∼9 cm이고 밑은 심장모양이며 끝은 급히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회록색으로 맥 사이에 백색 또는 갈색이 털이 있고, 잎자루는 길이 2∼4cm이다. 꽃은 6월에 피고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포(苞)는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고 꽃줄기와 더불어 별모양의 털이 있다. 열매는 9∼10월에 성숙하며 견과로 원형 .. 2007. 12. 12.
장구밤나무 열매 Grewia parviflora 장구밤나무는 피나무과의 나무이지만 피나무속의 화경에 있는 포가 없고 잎자루가 짧으며 열매가 장과인 점이 다르다. 황해도 이남, 주로 서해의 바닷가 산기슭 양지에서 흔히 자란다. 선유도 ● 장구밤나무 Grewia parviflora / 아욱목 피나무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 2m에 달하고 작은 가지.. 2007. 10. 22.
구주피나무(일본 규슈산 피나무) Tilia kiusiana 홍릉수목원에서 만난 구주피나무. 잘디잔 꽃망울이 수없이 뭉쳐 취산꽃차례를 이루고 긴 꽃줄기에 매달려 아래로 드리우고 있다.  유럽을 뜻하는 구주(歐洲)겠거니 했는데 알고보니 '九州'이다. 종명도 kiusiana이다. 일본 규슈 지방이 원산인 피나무라는 뜻이다. 원산지 이름을 제대로 밝혀서 '규슈피나무'라고 하든지 아니면 일본 이름 'へらのき'를 살려 '헤라노키'라고 부르는 게 더 자연스런 명칭일 듯하다.    2007. 07. 08.  홍릉수목원          ● 구주피나무 Tilia kiusiana | Kiusiana Linden  /  아욱목 피나무과 피나무속의 낙엽 교목높이는 10m 이상 자라며 가지가 무성하다. 잎은 어긋나고 좁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꼬리처럼 길며 길이 5∼8cm, 나비 2.5∼.. 2007. 7. 20.
장구밤나무 꽃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 장구밤나무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 아욱목 피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 약 2m이다. 작은 가지는 잿빛 또는 잿빛을 띤 갈색이며 부드러운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넓은 타원 모양이며 길이 4∼12cm이다. 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밑은 둥글다.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겹.. 2007. 7. 20.
고슴도치풀 꽃과 열매 Triumfetta japonica 고슴도치는 줄기가 가시털로 온통 덮여 있는데, 특히 꽃이 지고 난 뒤의 열매 모습은 고슴도치가 웅크리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풀이다. 한해살이풀이지만 피나무과에 속한다. 잎을 보면 그렇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이름만 듣고 어디에서도 마주치지 못해서 궁금했는데, 탄천 언.. 2006. 1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