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도17

안타까운 풍도, 사라지는 풍도바람꽃 3월 둘째 주말, 많은 망설임 끝에 풍도를 다시 찾기로 한다. 이미 풍도는 세 번이나 다녀왔기 때문에 풍도바람꽃과 풍도대극은 정말 원 없이 만나보았다. 덤으로 새끼노루귀와 꿩의바람꽃도 볼 만큼 보았다. 그래도 겨우내 움츠려 있다 봄소식을 어디서부터 맞을까, 생각하고 생각한 끝에 그래도 꽃물결 일렁이는 바람꽃 꽃섬에서 만나고 싶었다. 1박 2일 여행은 너무 무료할 듯한데 마침 어느 산악회에서 추진하는 배편이 있어서 동행하기로 한다. 그러면서도 내심 걱정이 된다. 산악회 이름으로 풍도바람꽃을 보러 갈 정도라면 몰려드는 등산화 발자국에 자생지가 제대로 버틸 수 있을까... 어쨌거나 새벽같이 일어나 버스를 타고 영흥도 선착장에 도착하니 8시 40분경. 풍도까지는 1시간 걸린단다. 선장님은 여성. 9시 40분경 .. 2016. 3. 13.
풍도 최고의 절경, '북배(붉바위)'와 '북배딴목' 풍도는 육지 사람들에게 춘삼월에만 존재하는 섬이지 싶습니다. 아직도 겨울 찬바람이 가시지 않은 3월 초중순 주말에 사람들이 풍도바람꽃과 노루귀, 복수초를 만나러 밀물처럼 밀려와 작은 섬 기슭을 시장바닥처럼 누비다가 썰물처럼 물러갑니다. 그리고 풍도는 언제 그랬느냐 싶게 한적한 섬으로 남습니다. ※ 사생이나물 내음 가득한 꽃섬, 풍도 => http://blog.daum.net/kheenn/15851660 ※ 바람타는 섬, 풍도 이야기 => https://kheenn.tistory.com/15857858 그러나 풍도에도 여느 섬에 못지 않은 비경이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드문 듯합니다. 이 글을 쓰는 사람도 풍도를 세번째 방문하고서야 풍도의 절경을 발견하였으니 말입니다. 바로 그 비경이 바로 풍도의 서쪽에.. 2011. 3. 31.
물결치듯 사르르 바람타는 풍도바람꽃, 그 속을 가만히 들여다보기 변산바람꽃과 아주 닮은 풍도바람꽃, '바람꽃'이란 이름처럼 미세한 바람결에도 하얀 꽃잎이 사르르 출렁인다. 넓은 산기슭 전석지에서 아름드리 그루터기나 바위에 안겨서 무더기로 핀 하얀 꽃들이 물결치듯 바람을 타는 모습은 그야말로 황홀경을 이룬다. 풍도바람꽃은 변산바람꽃과 너도바람꽃과 함께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너도바람꽃속 3종 중에 가장 늦게 국가표준식물목록에 이름이 오른 풍도 고유의 꽃이다. 변산바람꽃과 다른 점이 별로 없어 변산바람꽃으로 불려왔지만, 몇 년 전 오병운 교수(충북대)가 퇴화된 깔때기 모양의 꽃잎이 변산바람꽃보다 크고 다르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독립된 종으로 등록되었다. 형태적으로 변산바람꽃과 거의 다를 바가 없는데, 환경 변화에 따른 이 정도의 변이하면 품종이나 변종 정도로 배치하는.. 2011. 3. 30.
봄바람보다 앞서 피는 풍도바람꽃 Eranthis pungdoensis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으로 불려왔던 풍도의 바람꽃이 2009년 6월 풍도바람꽃(Eranthis pungdoensis)이라는 새 국명을 얻게 되었다. (논문 : <한국에서 발견된 너도바람꽃속의 1신종> : 오병운, 지성진. 식물분류학회지 39권 2호, 2009) 퇴화된 꽃잎 모양이 변산바람꽃에 비해 깔때기 모양(V.. 2011. 3. 29.
바람 타는 섬의 풍도바람꽃 풍도바람꽃은 변산바람꽃의 변종이다.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 외딴 섬이라는 좋은 서식환경 속에서 서식지를 넓힌 풍도바람꽃은 변산바람꽃보다 깔때기 모양의 퇴화된 꽃잎이 비교적 커서 따로 풍도바람꽃이란 이름을 얻게 되었다. 그러나 언제부턴가 이 서식지가 사람들에게 널리 .. 2011. 3. 29.
솜털 보송한 풍도의 분홍 노루귀 풍도의 노루귀는 육지의 노루귀에 비해서 개체의 크기가 아주 작아 보인다. 흔히 남해안에 자라는 작은 노루귀를 새끼노루귀라 하는데, 이곳 풍도의 노루귀를 새끼노루귀로 보는 이가 많다. 남해안만이 아니라 서해안의 섬이나 주변 지역에서 자생하는 노루귀도 거의 새끼노루귀로 보는.. 2011. 3. 29.
풍도에서 만난 딱새(수컷) 풍도에서 꿩의바람꽃 서식지에서 꿩의바람꽃 사진을 찍고 있는데, 낯익은 새 한 마리가 포르르 날아들어 마른 나뭇가지에 앉는다. 꽃만 보지 말고 자기도 봐 달라는 듯... 어찌 외면할 수 있겠나, 카메라를 들이대니 몇 발작 떨어진 곳으로 옮겨 날며 폼을 잡는다. 몇 방 직고 나니 인사도 .. 2011. 3. 29.
풍도에 핀 꿩의바람꽃 어째서 이름이 꿩의바람꽃일까. 이에 대해서는 이런저런 추측성 설이 있을 뿐 정설을 확인하기는 어렵다. 그냥 단순히 이름 자체에서 추정하여 '꿩이 바람 피는' 시기에 핀다고 하여 꿩의바람꽃이라고 부른다는 설이 있는데, 그렇게 따지면 같은 시기에 피는 많은 꽃들의 이름도 '꿩'이란.. 2011. 3. 29.
풍도의 꿩의바람꽃 겨울이 채 끝나지 않은 이른봄, 변산바람꽃이나 풍도바람꽃, 그리고 너도바람꽃이 활짝 필 무렵 꿩의바람꽃은 그제서야 수줍은 꽃봉오리를 내밀기 시작한다. 얼레지와 비슷한 시기에 꽃을 피우고 자라는 곳도 비슷하다. 긴 달걀 모양의 작은 꽃봉오리는 흰 색도 있지만 붉은 빛이 감도는.. 2011. 3. 29.
풍도의 분홍 새끼노루귀 2011. 3. 28.
풍도대극 Euphorbia ebracteolata var. coreana 풍도바람꽃과 함께 풍도대극은 자생지인 섬 이름을 붙인 종으로 풍도에서만 만날 수 있는 식물이다. 울릉도에 자생하는 붉은대극(Euphorbia ebracteolata)의 변종(var. coreana)으로 잎이 좁고 총포와 씨방에 털이 밀생한다. ■ 풍도대극 새싹 ■ 풍도대극의 줄기잎과 꽃맹아리 ■ 풍도대극 꽃 하지.. 2011. 3. 28.
풍도바람꽃 Eranthis pungdoensis 바람꽃 중에서 가장 일찍 피는 변산바람꽃, 변산에서 발견하여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이란 이름을 얻었지만, 변산 이외에도 포항과 경주 지역, 군포와 가평 지역, 그 밖에 수많은 지역에서도 자생지가 확인되고 풍도에는 대규모 서식지가 발견되었다.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 2011. 3. 28.
풍도의 흰 노루귀(새끼노루귀) 풍도의 노루귀는 키가 작으며 대개 분홍색 꽃을 피운다. 흔하지는 않지만 흰 꽃을 피우는 노루귀도 더러 만날 수 있다. 순백으로 하얀 꽃을 피우는 녀석들도 있지만 분홍빛이 살짝 감도는 흰 꽃을 피우는 녀석들도 보여 흰 노루귀와 분홍노루귀가 다른 종이 아님을 확인하게 한다. 이곳의 노루귀는 육지의 노루귀에 비해 크기가 아주 작다. 키가 손가락 길이를 넘지 않을 정도. 이런 왜성종은 남해의 섬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새끼노루귀라고 하는데, 풍도의 노루귀도 새끼노루귀로 보면 될 듯하다. (새끼노루귀의 기재문에는 꽃이 흰색이라 되어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은 듯하다.) 흰 노루귀의 꽃잎(정확히 말하면 꽃받침)에 분홍빛이 살며시 비친다. 분홍 노루귀와 다른 종이 아니라는 증거일터... 새끼노루귀는 잎 길이가 1~2c.. 2011. 3. 27.
붉은대극의 변종, 풍도대극 Euphorbia ebracteolata var. coreana 서해의 작은 섬 풍도는 가장 먼저 봄꽃 소식을 알려주는 생태계의 보고다. 3월이 되면 이 작은 섬에는 풍도바람꽃, 꿩의바람꽃, 복수초, 노루귀, 풍도대극 등 다양한 종류의 꽃들이 핀다. 이 중 풍도바람꽃과 풍도대극은 자신의 이름을 붙인 종으로 풍도에서만 만날 수 있는 식물이다. 한.. 2011. 3. 26.
변산바람꽃에서 신종 풍도바람꽃(Eranthis pungdoensis)으로 바람꽃 중에서 가장 일찍 피는 꽃이 변산바람꽃이다. 선병윤 교수가 변산에서 발견하여 변산바람꽃(Eranthis byunsanensis)이란 이름을 얻었는데, 처음에는 한국 특산종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본에서도 같은 종이 자생하고 있음이 밝혀 졌다. 그리고 변산 이외의 여러 지역에서도 자생지가 .. 2011.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