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록나무과27

일행물나무 Corylopsis pauciflora 일행물나무(Corylopsis pauciflora)는 도사물나무와 마찬가지로 일본에서 도입된 조록나무과 히어리속의 관목이다. 히어리나 도사물나무가 꽃이삭에 10여 개의 꽃이 달리는 데 비해, 일행물나무는 두어 개 정도 달리는 꽃차례가 왜소해 보인다. 수형도 상대적으로 작고 잎도 아주 작은 편이다. .. 2008. 5. 7.
히어리, 도사물나무, 일행물나무 구별하기 3~4월에 비슷한 꽃을 피우는 조록나무과 히어리속으로 우리 나라 남부지방에서 자생하는 특산종인 히어리 외에도 일본에서 도입한 도사물나무와 일행물나무가 있다. 이들을 구별하기가 쉽지 않은데, 구별하는 법을 알아본다. ▶ 히어리 지리산 주변 지역 등의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10여 송이의 꽃을 달고 있는 꽃줄기가 털이 거의 없어 매끈해 보인다. ▶ 도사물나무 도사물나무는 일본에서 도입된 종으로 일본 도사(土佐)라는 지방에서 자생하는 모양이다. 도사미즈키(土佐水木)로 불리는 것을 도사물나무라고 번역하였는데, 어쩐지 어색하다. 그냥 '일본히어리'라고 부르면 될 것을... 히어리와는 구별하기 쉽지 않은 꽃인데, 10여 송이의 꽃을 달고 있는 꽃줄기에 나 있는 촘촘하고 긴 털에 주목하면 된다. ▶ .. 2008. 3. 26.
히어리(Korean winter hazel) 지리산과 그 주변 지역 등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우리의 고유 수종이다. 같은 히어리속으로 거의 비슷한 도입종으로 일본에서 들어온 도사물나무와 일행물나무라는 것이 있는데, 도사물나무는 히어리와 거의 구별이 어렵지만 꽃줄기에 긴 털이 많다는 점으로, 일행물나무는 꽃송이가 잘다는 점으로 .. 2008. 3. 26.
가장 먼저 봄소식을 전하는 풍년화(豊年花) 중부 지방에서는 가장 먼저 봄소식을 알리는 꽃이다. 아직도 숲과 골짜기가 눈 속에 묻혀 있는 2월 중순에 앙상한 가지에서 구겨진 리본 같은 노란 꽃술을 젖먹이의 손가락처럼 고물고물 잼잼 조심스레 펼쳐내는 것을 보게 된다. 일본 원산으로 만발한 꽃 모양을 풍년같이 보고 지은 이름이다. 서울 대모산 ● 풍년화 Hamamelis japonica / 장미목 조록나무과의 낙엽관목 또는 소교목 밑에서 줄기가 많이 올라와 큰 포기를 이루며 높이 6m이다. 수피는 회색빛을 띤 갈색으로 매끄럽고 작은가지는 노란빛을 띤 갈색 또는 어두운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네모진 원형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털이 없다. 또한 잎 끝이 둔하고 밑은 찌그러져서 좌우가 같지 않으며 윗부분에 둔한 톱니가 있다. 잎 표면에 .. 2008. 3. 15.
노란 리본 같은 꽃잎, 풍년화 Hamamelis japonica 퇴근하자마자 산을 찾아 나선다. 황사바람이 서울 하늘을 덮은 것인지 하늘은 뿌연데 날씨는 청명절 무렵처럼 포근하기만하다. 해가 뉘엿뉘엿 서산으로 넘어가는 산길로 접어든다. 날씨만큼 생명들도 기지개를 켜고 있을까 했는데 복수초니, 노루귀니 하는 풀꽃들 흔적도 없고 개나리조차 꽃봉오리 하나 내밀지 않았다. 지난번 피기 시작했던 풍년화만 때마침 만발하였다. ● 풍년화 Hamamelis japonica / 장미목 조록나무과의 낙엽관목 또는 소교목 밑에서 줄기가 많이 올라와 큰 포기를 이루며 높이 6m이다. 수피는 회색빛을 띤 갈색으로 매끄럽고 작은가지는 노란빛을 띤 갈색 또는 어두운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네모진 원형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며 털이 없다. 또한 잎 끝이 둔하고 밑은 찌그러져서 좌.. 2008. 3. 15.
풍년화가 피었네 며칠만인가, 잠을 푹 자고 일어나니 창밖엔 햇살이 환하다. 그러나 끝을 알 수 없는 깊이 속에 허우적거리는 듯한 그런 공허... 이미 정오를 훌쩍 넘기고 있는 시각, 배낭을 메고 산언덕을 찾기로 한다. 해가 기우는지 살랑살랑 불기 시작한 바람이 몸을 움츠리게 하는데 죽음들이 따스한 .. 2008. 2. 28.
일행물나무 => 드문히어리 Corylopsis pauciflora 우리 고유종인 히어리(C. coreana) 와 유사한 히어리속(Corylopsis) 관목으로 일본에서 도입된 도사물나무(C. spicata)와 일행물나무(C. pauciflora)가 있다. 이 둘은 꽃차례에 털이 있는 점으로 히어리와 구별되는데, 도사물나무는 꽃차례가 히어리와 비슷하여 털이 있는 히어리라 할 수 있고, 일행물나무는 털이 있으면서도 '좀히어리'라 부를 정도로 꽃차례가 작은 점이 특징이다. 그런데 일행물나무는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2011. 12. 08' 수정일로 국명이 '드문히어리'로 기재되고 있다.     2007. 03. 25.  홍릉수목원                ● 일행물나무 Corylopsis pauciflora  ↘  장미목 조록나무과 히어리속의 낙엽 관목 도사물나무와 마찬가지.. 2007. 4. 5.
'도사물나무'라는 일본 히어리 Corylopsis spicyflora 도사물나무라는 이름은 '도사미즈키(土佐水木)'라는 일본 이름을 직역한 말로 어색하기 짝이 없는 이름이다. '도사(土佐)는 일본 시코쿠섬의 남서쪽에 있는 고치(高知) 현의 옛 이름으로 자생지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왜황납판화'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이도 있는 모양이지만 그냥 '일본히어리'로 부르는 것은 어떨까 싶다. 털이 많은 히어리라고나 할까...? 꽃이삭 줄기나 잎, 열매 등에 털이 유난히 많은 점이 히어리와 다른 특징이다. 홍릉수목원에서는 히어리보다는 일주일 가량 늦은 3월말에 활짝 피었다. 꽃이삭의 줄기에 털이 유난히 많다. 암술대 2개, 수술 5개는 히어리와 다르지 않다. 처음 필 때의 모습 꽃이 히어리에 비해 다소 많은 느낌이다. ● 도사물나무 Corylopsis spicata / 장미목 조록.. 2007. 4. 5.
히어리 Corylopsis coreana 일제강점기인 1924년, 순천 조계산 송광사 부근에서 처음 발견되어 '송광납판화'라 불리다 그곳 마을 사람들이 부르던 어원 불명의 히어리란 국명을 되찾게 되었다. 조록나무과 히어리속의 관목으로 속명 ‘Corylopsis’는 개암나무(Corylus)를 닮았다(opsis)는 뜻의 합성어. 영어 이름도 '겨울 개암'이란 뜻의 Winter Hazel이다. 처음엔 지리산, 백운산, 조계산 등 남부지방에만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경기도 광덕산과 백운산, 명성산에도 자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8~12개의 꽃이 꽃이삭에 모여 달린다.(총상꽃차례) 꽃이삭은 처음 3~4cm 길이에서 7~8cm로 길게 자라난다. 자세히 보면 가운데 암술대 2개와 그 둘레에 수술 5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히어리 Corylops.. 2007. 4. 4.
꽃망울 터뜨리는 히어리 Corylopsis coreana 봄을 알리는 꽃 히어리, 개나리처럼 이른 봄이 되면 잎에 앞서 연노랑 꽃을 먼저 피운다. 꽃이 주렁주렁 층을 이루며 이삭처럼 달리는데, 각각의 꽃차례엔 10여송이의 꽃이 뭉쳐 달린다. 히어리(Corylopsis coreana)의 속명 Corylopsis는 개암나무속을 의미하는데 잎 모양이 개암나무 잎과 아주 닮.. 2007. 3. 18.
히어리 열매 Corylopsis coreana 히어리는 조록나무과의 관목으로 일본의 도사물나무나 일행물나무와 유사한 한국 특산종이다. 지리산과 조계산, 경기 백운산 등에서 자란다. ● 히어리 Corylopsis coreana | Korean winter hazel / 장미목 조록나무과의 낙엽관목 높이 1∼2m이고 작은가지는 황갈색 또는 암갈색이며 피목(皮目)이 밀.. 2006. 7. 23.
풍년화, 가장 일찍 피는 꽃나무 가장 일찍 피는 꽃나무, 풍년화! 아직도 잔설이 남아 있는 2월에 홀로 리본 같은노란 꽃을 피우는 나무. 꽃이 핀 모습이 풍년을 연상하게 해서 풍년화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장미목 조록나무과의 큰키나무로 일본이 고향이다. ● 풍년화 Hamamelis japonica / 조록나무과의 낙엽관목 또는 .. 2006.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