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석송과15

만년석송 Lycopodium obscurum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및 북부지방의 고산에 분포하는 석송과 석송속의 상록성 양치식물이다. 중국, 러시아 극동부, 일본, 북미에도 분포한다. 식물체의 모양은 햇볕이 잘 쬐는 숲가장자리에서 자라는 것과 그늘 밑에서 자라는 것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설악산 ● 만년석송(萬年石松) Lycopodium obscurum | Ground pine ↘ 석송목 석송과 석송속 상록성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땅속 깊이 옆으로 길게 뻗으며 비늘 같은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땅 위의 줄기는 곧추 자라며 나무 모양으로 갈라진다. 잎은 줄기에 뭉쳐나며 길이 3~4mm의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다. 잎의 색깔은 녹색이며 위로 비스듬히 퍼지고 윗부분은 흔히 안쪽으로 오그라든다. 잎끝은 짧은 가시처럼 된다. 포자낭이삭은 가지 끝에 1개.. 2022. 7. 6.
개석송 Lycopodium annotinum 성송과 석송속의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중부 이북에 나며, 일본, 중국, 러시아 사할린 등지, 히말라야,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석송과 비슷하지만 포자낭수에 대가 없어 가짜 석송이란 뜻으로 개석송이라 부른다. 석송에 비해 1~2회 가지를 치고, 포자낭 이삭에 자루가 없으며, 잎이 돌려나는 점으로 구별된다. '삼잎석송'이라고도 한다. 설악산 서북능선 ● 개석송 Lycopodium annotinum | Stiff clubmoss ↘ 석송목 석송과 석송속 상록성 여러해살이 양치식물 가지는 키가 약 20cm 정도로 비스듬히 자라고, 원줄기는 지표면에 옆으로 길게 뻗으며, 지름 1.5~2.5mm,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곁가지는 곧추서며 잎이 빽빽하게 달린다. 피침형의 잎은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잔톱.. 2022. 7. 6.
만년석송 Lycopodium obscurum 한라산에서 만난 만년석송. 북부 지방과 한라산, 지리산, 설악산 등 해발 1500~2500m의 높은 산 숲 속 동북향에 자생하는 석송속 음지 식물이다. 햇볕이 드는 숲가장자리에서 자라는 것과 그늘 밑에서 자라는 것에 따라 식물체 모양에 차이가 있다. ● 만년석송(萬年石松) Lycopodium obscurum | Ground pine ↘ 석송목 석송과 석송속 상록 다년초 원줄기는 땅속 깊이 옆으로 뻗고 적갈색이며 좁은 비늘같은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군데군데 곧게 자라는 가지가 나와서 높이 15-30cm로 되고 밑부분에는 가지가 없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비스듬히 퍼져 마치 나무모양같이 아윤상(亞輪狀)으로 벌어진다. 일년생가지는 길이 3-7cm이고 잎과 더불어 지름 4-7mm이다. 잎은 모여나기하며 선형 또.. 2022. 5. 24.
뱀톱 Lycopodium serratum 석송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석송속에서 유일하게 잎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지리산 ● 뱀톱 Lycopodium serratum / 석송목 석송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높이 7~25cm로 자라며 줄기 밑부분이 약간 옆으로 비스듬히 땅을 기며 자라고 원줄기가 여러갈래로 갈라지기도 한다. 잎은 가장자리에 .. 2016. 6. 26.
개석송 Lycopodium annotinum 석송과의 상록 초본으로 석송과 비슷하지만 잎이 돌려나기하고 줄기 끝에 포자낭수가 달리는데 대가 없는 점으로 석송과 구뱔된다. 설악산 이북 높은 지대의 그늘진 계곡 숲속에서 자란다. 설악산 ● 개석송 Lycopodium annotinum / 석송목 석송과 석송속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옆으로.. 2016. 6. 11.
다람쥐꼬리 Lycopodium chinense 다람쥐꼬리는 석송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한라산, 지리산 및 중북부 지방의 높은 산의 습기가 많고 햇볕이 잘 들지 않는 바위틈이나 계곡, 숲그늘에서 자란다. 가야산 ● 다람쥐꼬리 Lycopodium chinense / 석송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5∼15cm이고 밑 부분이 옆으로 자라면서 .. 2015. 11. 14.
다람쥐꼬리 Lycopodium chinense 다람쥐꼬리는 석송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로 한라산, 지리산 및 중북부 지방의 높은 산의 습기가 많고 햇볕이 잘 들지 않는 바위틈이나 계곡, 숲그늘에서 자란다. 가야산 ● 다람쥐꼬리 Lycopodium chinense / 석송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5∼15cm이고 밑 부분이 옆으로 자라면서 .. 2015. 11. 12.
개석송 Lycopodium annotinum 석송과 비슷하지만 잎이 돌려나고 포자낭이삭에 자루가 없어 개석송이라 부른다. 북반구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깊은 산 숲 속에서 자란다. 백두산 ● 개석송 Lycopodium annotinum / 석송과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고 지름이 1.5∼2mm이며 가지가 갈라지고 드문드문 잎.. 2015. 8. 29.
석송 Lycopodium clavatum 석송은 아시아와 유럽, 아프리카 등 북반구의 온대에서 열대 지역의 고산까지 분포하며 우리 나라에서는 한라산·흑산도·울릉도·설악산 및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깊은 산 숲속 볕이 드는 사면에 무리지어서 자란다. 한라산 ● 석송 Lycopodium clavatum | Club moss ↘ 석송목 석송과 석송속 상록 양치식물 원줄기는 지면으로 길게 뻗어가면서 가지가 갈라져서 사방으로 퍼진다. 가지는 옆으로 자라다가 2개씩 갈라지면서 비스듬히 서며 잎이 빽빽하게 달린다. 잎은 모여 나고 선형으로 길이 4∼6mm, 나비 0.5∼1mm이며 끝이 예리하고 비스듬히 선다. 포자낭이삭은 대가 있고 가지 끝에 3∼6개씩 달리며 원주형이고 길이 2∼6cm이다. 포자엽은 달걀 모양으로 끝에 실 같은 것이 달리고 가장자리가 투명하.. 2015. 7. 19.
소백산의 다람쥐꼬리 Lycopodium chinense => Huperzia miyoshiana 소백산 어느 봉우리 정상부에서 만난 다람쥐꼬리. 다람쥐꼬리는 석송과 뱀톱속의 늘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 석송속(Lycopodium)으로 분류되어 왔는데 땅 위로 벋는 줄기가 없고 땅 위 줄기가 모여나는 점으로 다람쥐꼬리속(Huperzia)으로 분리되었다. 뱀톱(H. serrata)과 비슷한 모양이나 뱀톱의 잎이 납작하고 톱니가 많은 데 비해 다람쥐꼬리의 잎은 솔잎처럼 밋밋하고 비교적 둥글다. 좀다람쥐꼬리(H. selago)에 비해 잎은 선상 피침형으로 밑부분부터 좁아지므로 구분된다. ● 다람쥐꼬리 Lycopodium chinense =>→ Huperzia miyoshiana ↘ 석송강 석송목 석송과 뱀톱속 상록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5∼15cm이고 밑 부분이 옆으로 자라면서 군데군데 뿌리를 내리며 윗.. 2012. 6. 7.
뱀톱(Huperzia serrata), 만년석송(Lycopodium obscurum) 한라산에서 만나는 뱀톱과 만년석송. 석송목 석송과 상록성 양치식물로 둘 다 석송속(Lycopodium)으로 분류되어 왔으나 최근에 뱀톱은 다람쥐꼬리와 함께 뱀톱속(Huperzia)으로 분리되었다. ■ 뱀톱 Huperzia serrata | Toothed clubmoss 다람쥐꼬리속(Huperzia)의 다른 식물들과 비교하여 잎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어 구분된다. 높이 7∼25cm로 밑부분은 약간 옆으로 비스듬히 서고 잎이 뭉쳐난다. 잎은 짙은 녹색이며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뒷면에 잎맥이 튀어나온다. 포자낭(胞子囊)은 이삭을 형성하지 않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콩팥 모양이다. 윗부분 끝에 무성아(無性芽)가 생겨서 떨어지면 싹이 돋는다. 무성아는 3개의 작은 육질(肉質) 잎으.. 2011. 10. 15.
뱀톱 Lycopodium serratum 잎이 천층이나 되는 탑처럼 쌓여 있다고 하여 '천층탑'이라고 부르고, 뱀의 발과 같은 모양이라 하여 '사족초(蛇足草')라고도 부른다. 속명 Lycopodium은 희랍어의 'lycos(늑대)'와 'podion(다리)'의 합성어로서 비늘조각잎이 달린 줄기의 형태가 털이 복슬복슬한 늑대의 다리와 비슷하다는 뜻이다. 남쪽으로 갈수록 잎이 넓어져 열대지방의 것이 가장 넓다고 한다. 깊은산 낙엽수림 하부의 습하고 그늘지며 낙엽이 두껍게 쌓인 곳에서 자라며, 생명력이 강하지만 여름철 고온에는 약하다. ↓ 지리산 ● 뱀톱 Lycopodium serratum | Toothed clubmoss ↘ 석송목 석송과 석송속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높이 7∼25cm로 밑부분은 약간 옆으로 비스듬히 서고 잎이 뭉쳐난다. 잎은 짙은 녹.. 2009. 11. 6.
구실사리 Selaginella rossii ↓ 합천 악견산 ● 구실사리 Selaginella rossii / 부처손목 부처손과 부처손속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구리철사같이 단단하고 붉은빛이 돌며 옆으로 벋으면서 2개씩 갈라지기 때문에 방석같이 되고 군데군데에서 담근체(擔根體)가 나와 뿌리가 내린다. 가늘고 길게 땅이나 바위 위를 .. 2009. 9. 21.
뱀톱 Lycopodium serratum 잎은 남쪽 지방으로 갈수록 넓어지고 열대지방에서 자라는 것이 가장 넓다. ↓ 지리산 ● 뱀톱 Lycopodium serratum / 관다발식물 석송목 석송과 섣송속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밑부분이 약간 옆으로 눕거나 비스듬히 서며 원줄기가 갈라지기도 하고 높이 7-25cm로서 원주상 침선형이며 모여나기.. 2009. 7. 12.
뱀톱과 무성아 Lycopodium serratum 다람쥐꼬리, 석송 등과 더불어 석송과에 속하는 풀인데, 같은 식구들이어선지 모습이 비슷해 혼동하기 쉽다. 겨울에도 푸른 모습으로 나는 늘푸른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가리왕산 2007. 05. 05 줄기 끝에는 작은 무성아들이 보인다. 3개의 작은 육질(肉質) 잎으로 싸인 넓적한 무성아의 모습이 이채로운데, 이것이 땅에 떨어져서 싹이 돋는다고 한다. ● 뱀톱 Lycopodium serratum / 석송목 석송과 석송속의 상록 여러해살이풀 높이 7∼25cm로 밑부분은 약간 옆으로 비스듬히 서고 잎이 뭉쳐난다. 잎은 짙은 녹색이며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뒷면에 잎맥이 튀어나온다. 포자낭(胞子囊)은 이삭을 형성하지 않고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리며 콩팥 모양이다. 윗부분 끝에 무성아(無性芽)가 생.. 2007.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