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딸기속11

줄딸기 Rubus oldhamii 둘레길 주변에 빨갛게 익어가는 줄딸기 열매가 지천이다. 사람들의 손을 거의 타지 않은 채로 있어 어린 시절 맛 보았던 산딸기나 멍석딸기 못지 않은 맛에 흠뻑 빠져 맘껏 따 먹을 수 있었다.  잎은 깃꼴이며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덩굴지어 자라므로 줄기가 덩굴지어 자라므로 '덩굴딸기' 또는 '덤불딸기'라고도 한다. 열매를 먹을 수 있다. 햇볕이 잘 드는 숲이나 들에 흔하게 자란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줄딸기 꽃 (2023. 04. 15.  내포문화숲길)     ● 줄딸기 Rubus oldhamii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 덩굴성 관목줄기는 옆으로 뻗으며, 길이 2~3m,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잎 5~7장으로 .. 2024. 6. 26.
서양산딸기(서양오엽딸기, 블랙베리) Rubus fruticosus 경기 둘레길을 걷다 민가 주변에서 만난 서양산딸기이다. '서양오엽딸기'로 불려왔는데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서양산딸기'라는 국명을 쓰고 있다. 원산지는 유럽으로 경남 산청에서 재배가 시작되었으며, 복분자에 비해서 맛이 옅으면서 단맛이 더 세다. 열매가 복분자처럼 검어 흔히 '블랙베리(blackberry)'라는 영명으로 유통된다.  야생화하기도 하였는데 땅속줄기로 잘 번지며 우리나라 전역의 낮은 산지, 저수지 주변에서 자란다. 중국, 일본, 유럽,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등에 분포한다. 열매는 식용하고, 뿌리와 잎은 약용한다.    2022. 06. 09.  파주      ● 서양산딸기(서양오엽딸기) Rubus fruticosus | blackberry, bramble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2022. 6. 30.
멍덕딸기 Rubus idaeus var. microphyllus 멍석딸기와 이름이 비슷하나 꽃 핀 모습이나 잔 가시가 빽빽하게 나 있는 모습이 많이 다르다. 곰딸기와 닮았지만 곰딸기처럼 줄기나 화경에 샘털이 없으며 정소엽이 거의 2배로 큰 곰딸기와 달리 작은잎 세 개의 크기가 비슷한 점 등으로 구별된다. 설악산 ● 멍덕딸기 Rubus idaeus var. microphyllus ↗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 덩굴성 관목 높이는 1m 정도이다. 줄기에 황갈색 또는 홍색의 침상 가시가 밀생하여 칙칙한 갈색으로 보이나 표면은 회색이다. 잎은 3출 깃꼴잎이고 어긋난다. 잎자루에 융털과 때로는 가시가 있다. 끝은 소엽이 가장 크고 잎 앞면에는 잔털이 있으며, 뒷면은 백색 면모로 덮여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6∼7월에 흰색으로 가지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자라는 .. 2017. 6. 15.
수리딸기 열매 Rubus corchorifolius 삼각 모양의 달걀꼴 잎이 특징적인 수리딸기는 충청도 이남에 분포하며 양지바른 산기슭에서 자란다. 안면도 ● 수리딸기 Rubus corchorifolius ↘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 낙엽 활엽 관목 높이 1m. 뿌리에서 싹이 나와 군생하고, 가시가 있으며 일년생가지에 밀모가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꼴 또는 달걀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가 8 ~ 15cm로, 3출맥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맥 위에 털이 있고 뒷면은 융털이 밀생한다. 잎자루 길이는 15 ~ 20mm이다. 꽃은 곁가지 끝에 1~2개씩 달리며 지름 3cm로 백색이고 아래로 드리워진다. 꽃받침조각은 피침형으로 내외면과 씨방에 백색 융털이 밀생하며, 2월 ~ 3월에 개화한다. 꽃잎은 긴.. 2017. 6. 7.
복분자딸기 Rubus coreanus 수리딸기가 잘 익은 붉은 열매를 달고 있는데, 복분자딸기는 이제야 꽃봉오리를 달고 꽃잎을 하나 둘 열고 있다. 다른 딸기들에 비해 꽃이 늦게 피고 열매도 늦게 익는다. '동이를 뒤엎어 버리는 열매'라는 뜻을 가진 복분자(覆盆子)는 정력제의 대명사인 듯 알려져 있는 딸기 열매이다. 동의보감에도 "남자의 정력이 약하고 정(精)이 고갈된 것과 여자가 임신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또한 간을 보하며 눈을 밝게 하고 기운을 도와 몸을 가뿐하게 하며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게 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니 낭설만은 아닌 듯하다. 황해도 해안과 충청도 이남에 자생하며, 여름을 지나며 붉어진 열매가 가을에 접어들 무렵 검게 익는다. 안면도 ● 복분자딸기 Rubus coreanus ↘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 낙엽 활엽 관목 높.. 2017. 6. 6.
멍덕딸기 Rubus idaeus var. microphyllus 멍덕딸기는 세 장씩 달린 잎 모양이나 붉은 가시가 달린 모습이 곰딸기와 아주 닮았다. 그런데 멍덕딸기는 곰딸기처럼 줄기에 가느다란 갈색 가시는 있지만 곰딸기에 많은 샘털이 없다. 그리고 정소엽이 측소옆보다 두 배 정도 큰 곰딸기와는 달리 세 개의 작은잎의 크기가 거의 비슷하.. 2015. 6. 20.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잎새 뒤에 숨어 숨어 익은 산딸기지나가던 나그네가 보았습니다.딸까 말까 망설이다 그냥 갑니다.  5월에 꽃이 피어 6월이면 붉게 익는 산딸기, 누렇게 익어가는 보리를 수확하는 계절이면 어느새 탐스럽게 잎새 뒤에 붉게 익은 산딸기를 찾아 다니는 아이들의 마음은 바빴다.  꽃이 지고 한 달이 지나면 먹을 수 있는 초 속성 맛과 영양 만점의 과실이 산딸기다.    2015. 05. 23.  남한산성      ●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의 낙엽관목 높이 약 2m이다. 뿌리가 길게 옆으로 뻗고, 밑에서 싹이 돋아 커다란 군집으로 발달하며, 줄기 전체에 가시가 드문드문 난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 4∼10cm, 너비 3.5∼8cm이다. 끝은.. 2015. 5. 27.
줄딸기 Rubus oldhamii 장미과의 덩굴나무로 덩굴딸기라고도 하며, 낮은 산지의 골짜기에 2~3m 정도의 덩굴로 자란다. 대개 군락을 이루며 낙엽성 딸기나무 중에서는 가장 이르게 꽃이 피는 종류이다. 줄기가 덩굴지어 자라므로 '덩굴딸기' 또는 '덤불딸기'라고도 한다.  열매를 먹을 수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2015. 04. 25.  청계산         ● 줄딸기 Rubus oldhamii  ↘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의 덩굴 관목줄기는 옆으로 길게 2m 이상 뻗고 털이 없으나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으며, 작은 가지는 털이 없거나 있으며 붉은빛이 돌고 흰 가루가 덮인다. 잎은 어긋나고 5∼9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길이가 2∼4cm이며 .. 2015. 4. 27.
곰딸기(붉은가시딸기) Rubus phoenicolasius, 열매 줄기가 붉고 가시가 많아서 '붉은가시딸기'라고도 불리기도 하는 한다. 영명도 이런 특성을 담아 Wine raspberry라 하는데, '와인 나무딸기'라는 뜻이다. (울릉도의 곰딸기는 줄기 색깔이 붉지 않은 것이 관찰되었다.)    2012. 07. 14.  남한산성       ● 곰딸기(붉은가시딸기)  Rubus phoenicolasius | Wine raspberry  ↘  장미목 장미과 산딸기속 낙엽 활엽 관목 길이 3m 정도 자란다. 윗부분이 밑으로 처지며 길이가 3m에 달하고 줄기는 적자색이며 가시가 드문드문 있으며 적색 샘털이 밀생한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3-5개의 소엽으로 된 우상 복엽이고, 중앙의 잎이 훨씬 크며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소엽은 넓은 달걀모양이며 점첨두, 예저 또는 원저이며.. 2012. 8. 4.
복분자 딸기 Rubus coreanus, 줄기와 잎 어린 시절 시골 아이들은 군것질거리를 자연으로부터 얻었다. 보리가 익어가는 초여름에는 뽕밭 가득 익어가는 검은 오디와 산기슭에 터질 듯 붉게 익은 산딸기를 따먹으며 놀았고, 벼가 익어가는 가을에는 보다 깊은 산 골짜기에서 붉은 열매에서 검게 익어가는 복분자딸기를 한 웅큼씩 따서 입에 털어 넣었다.  줄기가 희게 보이는데, 원래 줄기는 붉은 색 계통이지만 하얀 가루로 덮여 있기 때문이다. 여름 내 무성했던 잎이 지고나면 흰 줄기는 더욱 돋보인다. 줄기는 활처럼 휘어 끝이 땅으로 늘어지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 2009. 09. 05.  합천 가회 도탄         ● 복분자딸기 Rubus coreanus | Korean raspberry  /  장미과 산딸기속의 낙엽활엽관목 높이가 3m에 달하고 .. 2009. 9. 30.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꽃과 열매 산지 가장자리에서 기는 줄기가 가지를 내고 그 끝에 꽃차례를 만들고 분홍색 꽃을 피운다. 꽃잎은 활짝 벌어지지 않는다. 곰딸기에 비해서 전체에 샘털이 거의 없으며 줄기는 기어서 자라고 꽃 색깔은 더 진하다.      2006. 05~07  멍석딸기의 꽃      멍석딸기의 열매     ●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  장미과 산딸기속의 덩굴성 낙엽관목짧은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잎이 3개씩이지만 맹아(萌芽)에서는 5개인 것도 있다. 작은잎은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달걀모양 원형이다. 끝의 작은잎은 흔히 3개로 갈라지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뒷면에 흰 털이 밀생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적색이며 산방꽃차례 ·원추꽃차례 ·총상꽃차례에 달리고 위를 향하여.. 2007.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