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드나무과12

한반도 고유종, 키버들 암꽃 수꽃 Salix koriyanagi 키버들은 암수딴그루로 꽃이 가지에 서로 마주 달리는 특성을 보인다. 한반도 고유종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주로 강원도, 황해도, 평안도)에 분포한다. 날씬한 가지는 곡식을 까부르는 데 쓰는 키나 광주리를 엮는 데 쓰므로 키버들, 또는 고리버들이라 불려 오다 키버들로 통일되었.. 2017. 3. 30.
버드나무과 자생종, 검색표 ●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 자생종 ◎ 버드나무속 Salix 45종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Andersson 키버들 Salix koriyanagi Kimura ex Goerz 붉은키버들 Salix koriyanagi f. rubra (Nakai) W.T.Lee 당키버들 Salix purpurea var. smithiana Trautv. 개키버들 Salix integra Thunb. 선버들 Salix subfragilis Andersson 능수버들 Salix pseudolasiogyne H.L.. 2016. 3. 5.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버들', '뚝버들'이라고도 한다. 들이나 냇가에서 흔히 자란다. 수양버들이나 능수버들과 유사하나 작은 가지에 털이 있고 가지가 밑으로 처지지 않고 곧추서며, 암술에 털이 밀생하는 특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암수딴그루이며 이른 봄 잎이 달리기 전에 꽃은 미상꽃차례로 달린다. (* 미상꽃차례 : '유이(葇荑) 꽃차례' · '꼬리꽃차례'라고도 한다. 밤나무 꽃처럼 곧게 서는 것도 있다. 떨어지는 포(苞)로 싸인 단성화(單性花)가 달리며, 버드나무과 ·자작나무과 ·참나무과 등이 이에 속한다.) ●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 Korean willow ↘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낙엽 교목 높이 약 20m, 지름 약 80cm이다. 나무껍질은 검은 갈색이고 얕게 갈라지며 작은가지는 노란빛을 띤.. 2015. 4. 13.
타클라마칸의 '영웅나무', 호양나무(胡杨) Populus euphratica 우루무치를 지나 카스로 가는 길, 쿠처에서 타클라마칸을 가로질러 '타림하 호양림 공원'에서 '오랑캐 버들', 호양나무(胡杨)를 만나 감상한다.  건조하고 기온의 변화가 심한 사막, 특히 소금기가 많은 타클라마칸 사막에 깊게 뿌리를 내리고 늠름하게 서서 무성한 가지와 잎새를 달고 있는 이 나무를 '사막의 척추', '영웅나무(英雄树)'라 부른다. 위구르인들은 '가장 아름다운 나무'라는 뜻으로 '투오크라크(托克拉克)'라 부른다.  끈질긴 생명력은 물론 내구성이 강해 이곳 사람들은 "천 년을 살고, 죽어서도 천 년을 쓰러지지 않으며, 쓰러져도 천년을 견딘다.(千年不死 千年不倒 千年不朽)"라고 표현한다. 우리나라 백두대간 고산 능선에 우뚝 서 있는 주목을 두고 쓰는  "살아서 천 년, 죽어서 천 년"이라는 찬사와.. 2014. 7. 21.
귀 모양의 턱잎이 있는 왕버들 Salix glandulosa 왕버들은 호숫가나 물이 많은 곳에서 자라는 버드나무과의 교목으로, 새잎이 붉은빛이 돌고 잎 뒷면은 흰색이 돌며 커다란 귀 모양의 턱잎이 발달해 있는 것이 특징이다. ↓ 남한산성 ● 왕버들 Salix glandulosa / 버드나무과의 교목 높이는 약 20m, 지름 1m로 자라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갈.. 2012. 7. 17.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버드나무과의 나무가 다 그러하듯 이른 봄 잎이 나기 전 버드나무는 꽃을 피운다. 능수버들과 달리 작은 가지가 곧게 서며 가지마다 핀 꽃은 골짜기를 노란 빛으로 물들인다. 속리산 입구 ●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 Korean Willow /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 높이 20m, 지름 80cm. 나무.. 2009. 5. 6.
꽃봉오리 벙그는 버들개지 ※ 남한산 2009. 3. 2.
키버들 Salix koriyanagi 겨울눈, 장미꽃 모양의 충영(벌레혹) 고향의 묵은 논에 버들이 자라나 숲을 이루었다. 그 버들을 베어내는 일을 하다 장미꽃 모양의 충영(벌레혹)을 만난다. 이 충영의 주인공인 벌레의 정체가 뭘까? 찾아보지만 확인되지 않는다. 궁금하다! 합천 가회 충영(蟲癭, Gall)은 벌레나 진균 등의 기생과 산란 등에 의한 자극으로 이상.. 2009. 1. 14.
호랑버들 Salix hulteni, 잎과 줄기 호랑버들은 떡버들과 비슷하지만, 잎은 긴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뒷면에 돋은 털이 끝까지 남아 있다. 또한 수술대 밑에 털이 없으며 암술머리와 암술대 사이에 턱이 지는 것이 다르고, 기타는 떡버들과 구별하기 어렵다.  이와 비슷하지만 잎이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양 끝이 좁은 것을 좀호랑버들(var. elongata)이라고 한다.  제주도, 울릉도를 제외한 전 지역에 자생한다.     2008. 07. 03.  남한산       ● 호랑버들 Salix hulteni  /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의 낙엽소교목높이 5-6m이다. 수피는 짙은 회색이고, 가지는 퍼지고 모가 나며, 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잎은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 길이 3-9cm, 폭 2-4cm,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 2008. 7. 24.
용버들 Salix matsudana for. tortuosa 용틀임하듯 구부러진 가지의 모습에서 용버들이란 이름이 유래된 듯하다. 잔가지가 아래로 처져서 꼬불거리고 잎자루도 꼬여 있어 고수머리나 파마머리를 연상시키니 '고수버들'이라고도 하고 '파마버들'이라고도 한다. 중국 원산의 버들로 풍치림·가로수 등으로 심고 공예품의 재료나 꽃꽂이의 소재로 사용한다. ● 용버들 Salix matsudana for. tortuosa / 버드나무목 버드나무과 버드나무속의 낙엽교목 높이 10m 정도이다. 원줄기와 큰 가지는 위로 자라지만 작은가지는 밑으로 처지고 꾸불꾸불하다. 나무껍질은 짙은 잿빛이고 작은가지는 붉은 갈색이며 겨울눈은 달걀 모양으로서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길이 6∼8cm, 나비 10∼15mm이다. 거의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잔톱니가 있다.잎자.. 2007. 4. 24.
새양버들, 또는 채양버들 Chosenia arbutifolia 홍릉수목원에서 '새양버들' 이름표를 단 버들. 꽃과 나무 잎 사진을 담고서 살펴보니 특징이 새양버들에 대한 기재문과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새양버들이 아닐 거라는 의견이 있는 듯하다. 새양버들은 채양버들이라고도 한다. 조선 왕조 이름에서 유래한 Chosenia라는 속명이 눈에 .. 2007. 4. 1.
호랑버들 Salix caprea 호랑버들꽃은 봄기운이 충만한 듯 유난히 크고 풍성해서 아름답다. 꽃이 노래서 노랑버들이라고도 한다. 산중턱 아래의 습지 또는 이와 가까운 곳, 산기슭의 척박한 지역이나 임도 주변 등에서 자란다. 06. 04. 12~14 . 횡성군 둔내 성우리조트 부근 꽃머리가 밑으로 쳐지는 꼬리꽃차례(유이.. 2006.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