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산49

백두산 금강대협곡과 야생 풀꽃나무들 비바람 속 악천 후 속에서 서파의 야생화들을 살펴본 뒤, 서파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는 금강대협곡으로 이동한다. 일정에 있던 제자하(梯子河)는 폭우로 접근하는 것이 위험하다며 생략한다. 제자하는 상류 10km 구간에 걸쳐 너비 1~2m에 깊이 30~60m로 형성된 단열 협곡으로 깊고 좁은 .. 2015. 8. 21.
백두산 서파, 비바람 속 야생화 산책 8월 3일. 여행 4일차, 백두산에 도착한 후 2일차 아침이 밝았다. 하지만 밝은 아침이 아니라 폭우가 쏟아지는 무거운 아침. 비교적 날씨가 맑았던 어제 북파에 올라서도 천지를 보지 못했는데 오늘은 애시당초 모든 것이 글렀다. 6시에 일어나 아침 식사를 하고 7시 출발했지만 빗방울은 더.. 2015. 8. 20.
장백폭포 가는 길, 백두산 야생화 산책 아침 숙소를 떠나 백두산을 들어설 때만 해도 푸른 하늘이 보여 천지를 만날 수 있을 거라는 희망에 부풀었는데, 매표소에 도착하자마자 빗방울이 몇 방울씩 후두둑 떨어져 마을을 조리게 했다. 가파른 북파를 오를 때에도 정상 일부만 안개에 가려 있을 뿐 시야가 열려 있었는데, 북파 .. 2015. 8. 15.
짙은 안개 속 백두산 북파 천문봉 등정 아침 6시에 일어나 숙소에서 아침 식사를 하고 7시에 백두산을 향한다. 오늘 일정은 백두산 북파 천문봉(2670m)을 올라 천지를 감상하고 내려와 장백폭포를 다녀오는 것. 숙소 천사호텔 숙소 뜰의 큰뱀무 숙소에서 백두산 입구 배표소까지는 거의 두 시간 거리. 백두산으로 들어가는 길, 엷.. 2015. 8. 13.
인천항에서 단둥으로, 백두산 가는 길 9년만의 백두산 여행. 9년 전에는 랴오뚱 반도 끝 다롄시를 지나 랴오허강 하구의 항구 도시 잉커우(营口)로 가는 배였는데, 이번에는 압록강 하구 단둥(丹东)으로 가는 배를 타게 되었다. 동방명주호(東方明珠號) 갑판에서 바라본 인천항 제1국제여객선터미널 술잔 기울이기를 즐.. 2015. 8. 13.
삼쥐손이 Geranium soboliferum 북부지방 높은 산의 습한 풀밭에서 자라는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잎이 삼(대마)의 잎 모양을 닮아서 삼쥐손이라는 이름이 붙은 것 같다. ● 삼쥐손이 Geranium soboliferum /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60∼80cm이고 잎자루와 더불어 밑을 향한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 2007. 12. 4.
쇠서나물 Picris hieracioides var. glabrescens 잎에 난 거센 털이 소의 혀같이 깔깔하게 감촉되어 '소의 혀나물'이란 뜻의 쇠서나물로 불려지게 되었다. ● 쇠서나물 Picris hieracioides var. glabrescens /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높이 90cm 내외로서 줄기가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붉은빛을 띤 갈색의 굳은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로제.. 2007. 12. 4.
왕별꽃 Stellaria radicans 왕별꽃은 북부지방의 풀밭에서 자라는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이름처럼 별꽃속(Stellaria) 식물 중에서 대형이다. 꽃잎은 5개이나 각각 5~7개로 가늘게 갈라져 있고 잎과 줄기에 누운 털이 있다. 북한에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으며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동부 및 캄차카에 분포한다. ● 왕별꽃 Stellaria radicans | Ciliatepetal Starwortf / 석죽목 석죽과 별꽃속의 여러해살이풀 밑부분이 비스듬히 자라다가 곧게 서며 전체에 누운 털이 있다. 높이 50∼80cm이다. 잎은 마주나고 바소꼴 또는 거꾸로 선 바소꼴로 잎자루가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6-9월에 피며, 줄기 끝과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흰색이다. 꽃자루는 길이 1-3cm이며 꽃 핀 후 밑으.. 2007. 12. 4.
도깨비엉겅퀴 Cirsium schantarense 도깨비엉겅퀴는 큰엉겅퀴처럼 두상화가 고개를 숙인 모습으로 달리는 엉겅퀴로 수그린엉겅퀴로 불리기도 하며, 경상북도·강원도를 포함하여 북부지방의 깊은 산지에 분포한다. ● 도깨비엉겅퀴 Cirsium schantarense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에 홈이 팬 줄이 있으며 위쪽에 거미줄 같.. 2007. 12. 4.
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백두산 부근에서 만난 각시취는 두해살이풀로 남한에서는 깊은 산지에서만 만날 수 있지만 만주지역의 야지에서는 거의 잡초 수준으로 흔하게 자라는 풀이다. ● 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 국화과의 두해살이풀 줄기 높이는 30~150cm로 곧게 자라며 잔털이 있다. 뿌리에 달린 잎과 밑동의 잎.. 2007. 12. 4.
꽃쥐손이(털쥐손이) Geranium eriostemon ● 꽃쥐손이 Geranium eriostemon /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5∼60cm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짧으며, 끝에서 원줄기가 나와서 곧게 자라고 포기 전체에 털이 퍼져 난다. 밑부분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길고 둥글며 가장자리가 5∼7개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불규칙하게 깊이 패어 들어간 .. 2007. 12. 4.
참나래박쥐나물 Stellaria radians 참나래박쥐나물은 백두산 주변 함경도 지역에 자라는 한국 특산종 박쥐나물로 꽃이 노랗게 피며 잎자루 날개의 톱니가 있는 점이 나래박쥐나물과 구별된다. ● 참나래박쥐나물 Stellaria radians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1∼2m이며 밑 부분의 지름은 1.5cm이고 윗부분.. 2007. 12. 4.
산쥐손이 Geranium dahuricum 고산지대의 정상 근처에서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콩팥 모양이며 손바닥 모양으로 7-8개로 밑까지 깊이 갈라지고 다시 깃꼴로 갈라져 갈래조각이 선형을 이룬다. ● 산쥐손이 Geranium dahuricum | Dahurian cranesbill / 쥐손이풀목 쥐손이풀과 쥐손이풀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60∼90cm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밑에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의 굵은 뿌리가 있다. 줄기는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서고 전체에 털이 난다. 잎은 마주나고 7∼8개로 깊게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다시 갈라지거나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이 된다. 턱잎은 바소꼴로서 갈색이고 막질(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자루는 윗부분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꽃은 7∼8월에 자줏빛을 띤 빨간색으.. 2007. 12. 4.
어리곤달비 Ligularia intermedia 장백폭포 부근 언덕에 긴 꽃차례에 긴 꽃잎이 노랗게 달린 곰취 종류가 대군락을 이루고 있는데 바로 어리곤달비다. 백두산에는 곰취 종류로 곰취 외에 곤달비, 어리곤달비, 무산곰취, 화살곰취, 긴잎곰취 등이 자생하고 있다고 한다. 곤달비와 어리곤달비는 긴 꽃차례에 긴 꽃잎을 가졌.. 2007. 12. 4.
닻꽃 Halenia corniculata 강원 이북 지역에 자라는 용담과의 한두해살이풀로 이름은 꽃 모양이 닻처럼 생긴 데서 유래하였다. ● 닻꽃 Halenia corniculata / 용담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0∼60cm이다. 포기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선다. 가지를 많이 내고 4개의 능선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 .. 2007. 1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