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물푸레나무과72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amurensis 비 내리는 오대산 계곡에서 만난 개회나무는 지리산 등 남부지방 계곡에서 소교목으로 높이 자라는 것에 비해 키가 낮은 떨기나무 모습이다. 아직은 꽃봉오리인 채 극히 일부에서 꽃잎이 열렸다.  개회나무는 털개회나무 등 꽃향기가 진하고 화려한 다른 수수꽃다리속에 비해 꽃이 희고 작아 수수하며 향기도 덜한 편이다. 화관이 짧고 수술이 화관밖으로 길게 나오는 점도 특징이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며 중국 동부부에도 분포한다.     2024. 06. 08.  오대산    2024. 06. 15.  치악산      ●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amurensis  ↘  목련강 현삼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소교목높이 4 ~ 6m. 나무껍질은 흑갈색이며 가로무늬가 있고, 가지는 퍼.. 2024. 6. 19.
쥐똥나무 Ligustrum obtusifolium 진한 향기를 날리며 가지 끝마다 4갈래 흰 꽃잎이 모여 달린 예쁜 꽃차례를 만들었다. 꽃잎 속에는 암술은 1개, 수술은 2개가 자리 잡았다. 산지에서는 하늘을 향해 가지를 힘차게 벋는 당당한 수형에 3m 내외의 훤칠한 키를 자랑하지만, 정원에서는 전지가위로 머리를 잘려 네모진 생울타리로 우리에게 더 익숙한 나무이다. 가을에 쥐똥처럼 조랑조랑 까맣게 달리는 열매는 약용한다. 어린 가지와 잎 아랫면 맥 위에 털이 난 것을 '털쥐똥나무'라 한다. 우리나라 전역 낮은 산지의 숲 가장자리나 들에서 비교적 흔하게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이다. 중국 동북부, 일본 등에 분포한다.    2024. 05. 31.  서울      ● 쥐똥나무 Ligustrum obtusifolium | border privet, Amur p.. 2024. 6. 2.
털개회나무(정향나무) Syringa patula(Syringa pubescens subsp. patula) 산 정상부 바위지대로 들어서자 꽃향기부터 아름답게 다가오는 아름다운 수수꽃다리속 꽃나무, 우리나라와 중국 북동부에 분포하는 물푸레나무과의 관목이다.털개회나무에 비해 잔가지와 꽃차례에 털이 있고 잎은 아원형으로 주맥이 들어가는 점으로 오랫동안 구별되어 불려왔던 정향나무(Syringa patula var. kamibayashii)는 논란 끝에 털개회나무로 통합되며 이명 처리되었다. '미스킴라일락이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종이다. 이 영명은 주한미군으로 있던 엘윈 M. 메이더라는 군인이 북한산에서 발견하여 도우미의 이름을 따서 붙인 이름으로 기록되었고, 미국과 유럽 전역에 상업적으로 널리 유통되었다.     2024. 05. 20.  남양주 축령산      ● 털개회나무 Syringa pubescens su.. 2024. 5. 28.
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 열매 부채를 닮은 독특한 모양의 미선나무 열매가 조랑조랑 달렸다. 지난해에 형성되었던 꽃눈에서 3월에 잎보다 먼저 개나리 꽃모양의 흰 꽃이 피는데, 향기가 없는 개나리꽃과 달리 미선나무의 꽃은 향기가 뛰어나다. 열매는 둘레에 날개가 있는 원반 모양의 시과로 지름 25mm 정도로 크고 안에는 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충북 괴산과 진천, 전북 부안 등에서 자생하며 돌밭으로 척박한 곳에서 자라는 독특한 생태를 가지고 있다.     2024. 05. 12.  구리    2024. 08. 03.  합천 가회     ● 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  ↘  목련강 현삼목 물푸레나무과 미선나무속 관목높이는 1m에 달하고, 가지는 끝.. 2024. 5. 21.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us 푸르른 어린이날을 맞이하기도 전인데 온 동네가 이팝나무 눈꽃에 파묻힌 듯하다. 이밥(흰쌀밥) 같은 꽃이 피어서 이팝나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도 하고 입하(入夏) 무렵에 피어서 입하목(入夏木)이라 불리다가 이팝나무로 굳어지게 되었다고도 한다. 속명 'Chionanthus'는 '흰눈'이라는 뜻의 'Chion'과 '꽃'이라는 뜻의 'Anthos'의 합성어로 '하얀 눈꽃(snow flower)'이라는 뜻을 나타낸 이름이다. 예로부터 풍년을 점치는 나무로 알려져 있는데, 흰꽃이 만발하면 풍년이 들고 꽃이 많이 피지 않으면 흉년이 든다고 믿었다. 꽃잎이 술이나 띠처럼 생겨서 영어 이름은 'fringe tree', 한자 이름은 '육도목(六道木)', '유소수(流蘇樹)'이다. 중국에서는 잎을 차로 마셔 '다엽수(茶葉樹)'.. 2024. 5. 2.
당광나무(제주광나무) Ligustrum lucidum 열매 / 쥐똥나무속 자생종 쥐똥나무속의 상록 소교목 당광나무, 흔히 '제주광나무'로 불린다. 광나무보다 키가 더 크고 더 굵게 자라며, 잎과 열매가 크고 더 둥글다. 키 큰 광나무는 대부분 당광나무이다. 광나무나 당광나무 열매를 '여정실(女貞實)', 뿌리는 '여정근(女貞根)', 나무껍질은 '여정피(女貞皮)', 잎은 '여정엽(女貞葉)'이라 하여 약용한다. 열매는 간과 신장 기능을 좋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목포 ● 당광나무(제주광나무) Ligustrum lucidum | Glossy privet ↘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쥐똥나무속 상록 활엽 소교목 높이 5-10m이고 가지가 퍼지며 나무껍질은 회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가죽질이며 달걀모양,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첨두 또는 점첨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5-12cm,.. 2017. 1. 22.
관목상으로 자라는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대덕산 정상 부근의 개회나무는 사람 키 높이와 비슷하거나 조금 높고 밑에서부터 여러 개의 줄기가 많은 가지를 벌어 관목상을 보인다. 이는 10m 넘게 교목상으로 높이 자라는 지리산 백무동 계곡의 개회나무와는 선명한 대조를 이룬다.     2016. 06. 25.  대덕산    ※ 교목상으로 자라는 지리산의 개회나무 => http://blog.daum.net/kheenn/15858100   ●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소교목 줄기는 높이 4-6m이다. 지난해 가지는 회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난형 또는 난형, 길이 5-12cm, 폭 3-8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양면은 털이 없다. 잎자루는 1-2cm이다. 꽃은 6.. 2016. 7. 5.
교목상으로 자라는 지리산 개회나무 / 수수꽃다리속 자생종 개회나무는 물푸레나무과의 소교목으로 눈처럼 새하얀 꽃이 핀다. 꽃대롱이 아주 짧고 수술이 화관 밖으로 나오는 점으로 털개회나무 등 수수꽃다리속의 다른 나무들과 쉽게 구별된다.  개회나무는 관목상으로 자라기도 하지만 지리산의 깊은 골짜기에서 자라는 이 나무들은 높이가 10m 내외로 교목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6. 06. 19.  지리산      떨어진 개회나무 꽃의 모양 : 꽃대롱이 아주 짧다.  줄기와 수피    개회나무의 형태를 국생정에서는 '소교목 또는 관목' 크기를 '높이 4~6m'로 기록하고 있으나 지리산의 개회나무는 10m가 넘는 것이 흔하게 보인다.     ※ 관목상으로 자라는 대덕산 개회나무 => http://blog.daum.net/kheenn/15858116    ● 개회나무.. 2016. 6. 28.
꽃개회나무인가, 털개회나무인가? 꽃개회나무는 잎이 나는 새가지에 꽃을 피우는 점에서 묵은가지에 꽃을 피우는 털개회나무와 구별된다. 아고산대의 정상 부근에서만 자생하는데 설악산 서북능선은 꽃개회나무의 최대 자생지이고 함백산, 화악산, 치악산, 소백산 등에도 분포하고 있다. 그런데지리산에도 꽃개회나무가 분포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야생화 동호인들이 올려놓은 수많은 지리산 '꽃개회나무'를 확인해보니 모두 털개회나무들이다. 세석에서부터 천왕봉까지 등산로 주변에서는 꽃개회나무가 발견되지 않는다.  딱 한 그루, 촛대봉에서 멀지 않은 능선에서 만난 녀석은 가지마다 새 가지에 잎이 나고 그 끝에 꽃차례가 달려 있다. 이것이 과연 꽃개회나무일까? 유난히 짙은 꽃색도 꽃개회나무를 떠올리게 하지만 꽃의 모양과 크기는 꽃개회나무보다는 털개회나무에 가까워 .. 2016. 6. 27.
지리산 털개회나무 Syringa patula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달다리속 관목으로 백두대간을 따라 지리산에서부터 북부지방까지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이다.  본 종에 비해 잎이 거의 원형인 종류를 정향나무(var. kamibayashii), 가지와 잎자루, 화관에 털이 없는 종류를 섬개회나무(var. venosa)라 한다.    2016. 06. 19.  지리산                  ● 털개회나무 Syringa patula  ↘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낙엽 관목 높이 3m. 작은 가지는 가늘며 털이 있고 회색으로 껍질눈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타원형이고 달걀형 또는 거꿀달걀형이며 점첨두, 넓은 예저이고 길이와 폭이 각 (3)6 ~ 8(10)cm× 1.5 ~ 3cm로, 톱니가 없고 뒷면에 .. 2016. 6. 27.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개회나무는 눈처럼 새하얀 꽃이 피는데, 꽃대롱이 아주 짧은 점으로 털개회나무 등 수수꽃다리속의 다른 나무들과 쉽게 구별된다. 관목상으로 자라기도 하지만 산골짜기에서 자라는 나무는 높이가 10m 내외로 교목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2016. 06. 18.  지리산            ●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 Manchuian Lilac ↘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의 소교목 줄기는 높이 4-6m이다. 지난해 가지는 회색이다. 잎은 마주나며, 넓은 난형 또는 난형, 길이 5-12cm, 폭 3-8cm,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 양면은 털이 없다. 잎자루는 1-2cm이다.꽃은 6~7월에 지난해 가지 끝에서 길이 10-25cm의 원추꽃차례로 달리며, .. 2016. 6. 26.
꽃개회나무 Syringa wolfi 꽃개회나무의 원산지는 한국과 만주이고 해발 700~1800m의 산 중턱 이상에서 자라는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의 관목으로 남한 내에서는 설악산, 함백산, 화악산, 치악산, 소백산 등 일부 고산지역으로 분포지가 제한되어 있다.   2016. 06. 04.  설악산     ● 꽃개회나무 Syringa wolfi  ↘  용담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낙엽 관목식물체는 높이 3~4m이나 줄기는 구부러지기 때문에 실제로 줄기의 길이는 4~5m까지 되는 것이 있다. 나무껍질은 누런 회색이며 피목(皮目)이 점점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잎 양끝이 뾰족하다. 길이 10∼16cm이고 뒷면 전체 또는 맥 위에 털이 난다.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어 밋밋하다. 6∼7월에 연한 자홍색 꽃이 새가지 .. 2016. 6. 10.
털개회나무 Syringa patula 한계령에서 서북 능선을 오르는 가파른 등산로변에서부터 활짝 핀 털개회나무꽃이 종종 보이기 시작한다. 코 끝을 스치는 꽃 향기가 너무 아름답다. 귀때기청으로 오르면 꽃개회나무도 더불어 나타나는데 털개회나무와 달리 꽃차례가 새가지에서 자라고 하늘을 향해 곧게 서는 점이 다르다.꽃 모양을 옆에서 보면 고무래 정자 모양인데 향기가 좋으니 '정향나무'라는 이름이 생겼다. 털개회나무라는 다소 메마른 이름이 정명인데, 학자들은 이 두 종을 따로 구별해 놓았다. 차이가 다소 애매해서 통합해야 한다는 의견도 적잖은데 정향나무라는 이름이 정명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2016. 06. 04.  설악산 한계령      ● 털개회나무 Syringa patula | Velvety Lilac  ↘  물푸레나무과.. 2016. 6. 10.
꽃개회나무 Syringa wolfi 꽃차례는 새로 난 가지에서 달리고 푸른 하늘을 향해 곧게 서 있다. 꽃은 붉은 빛이 강하다. 묵은 가지 끝에 달린 꽃차례가 아래로 드리워지며 꽃이 분홍빛이 감도는 흰색인 털개회나무와 다른 꽃개회나무의 특징이다.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인 꽃개회나무는 우리나라 외에도 중국 만주에도 분포한다. 남한 내에서는 설악산, 함백산, 화악산, 치악산, 소백산 등 해발 1000m 이상의 고산지역으로 분포지가 제한되어 있다.      2016. 06. 04.  설악산            ● 꽃개회나무 Syringa wolfi | Beautiful Wolf's lilac  ↘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의 낙엽 관목 식물체는 높이 3~4m이나 줄기는 구부러지기 때문에 실제로 줄기의 길이는 4~5m까지 되는 것이.. 2016. 6. 9.
쇠물푸레나무 Fraxinus sieboldiana 내장산, 백암산 ● 쇠물푸레나무 Fraxinus sieboldiana /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물푸레나무속 낙엽 활엽 소교목 높이 10m. 일년생가지는 회갈색이고 어릴 때는 흔히 잔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홀수깃모양겹잎이고, 소엽은 5 ~ 9개이며 달걀형이고 길이와 폭이 각 5 ~ 10cm × 1.5 ~ 3.5cm로,.. 2016. 5.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