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푸레나무과72 장수만리화 Forsythia velutina (Forsythia densiflora) 북한 천연기념물 제153호로 지정되어 있는 개나리속의 특산식물로 향수꽃나무라 불리기도 한다. 1930년에 황해도 장수산(745m)에서 처음 발견되어 널리 알려졌는데 장수산의 남쪽 비탈면에서 자란다. 황해남도 재령군 서림리, 봉오리 일대에 자생한다. 척박한 곳에서는 높이 1m 미만으로 자.. 2007. 4. 7. 미선나무, 분홍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 회초리 같은 가지에 잎이 마주나는 모습이나 종 모양에 4갈래로 갈라지는 꽃의 형태는 개나리와 비슷하다. 꽃이 진 다음에 달리는 열매는 둥근 날개가 달린 듯한 모습이 부채를 연상시키는데, '아름다운 부채'라는 뜻의 미선(美扇)이란 이름이 아주 자연스럽다. 개나리와 같은 물푸레나무.. 2007. 4. 1. 영춘화 Jasminum nudiflorum 이른 봄, 개나리처럼 덩굴성 줄기에 노란 꽃을 피우며 봄소식을 알리는 꽃이다. 개나리속(Forsythia) 식물들에 비해 작은 잎 3~5개로 된 겹잎이고, 꽃부리가 5~6갈래로 갈라지므로 구분된다. 영명은 winter jasmine.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속의 관목으로 중국(윈난, 쓰촨, 간쑤) 원산이며, 중부 이남에서는 관상용으로 심는다. 낙엽성이지만 상록성으로 자라기도 한다. ● 영춘화(迎春花) Jasminum nudiflorum | winter jasmine /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속 낙엽관목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옆으로 퍼지고 땅에 닿은 곳에서 뿌리가 내리며 능선이 있고 녹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3∼5개의 작은잎으로 된 깃꼴겹잎이며 작은잎은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이른 봄 잎보다 먼저 .. 2007. 4. 1. 야영춘=운남황형(雲南黃馨) / 석해초=운남월광화 중국 운남성에서 영춘화로 생각하고 만난 꽃이 많았는데, 꽃의 생김새가 다른 것이 눈에 종종 띄었다. 건수에서 만난 꽃과 호도협에서 본 꽃은 꽃과 잎의 형태가 다르다. 꽃잎 끝이 뾰족한 것이 있는가 하면, 어떤 것은 겹꽃 모양을 한 것도 있다. 상록성인 점이 영춘화(Jasminum nudiflorum)와는 다른데, '야영춘(野迎春)' 또는 '운남황형(雲南黃馨)'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운남황형의 학명은 Jasminum mesnyi, 영명은 primrose jasmine. 중국 운남성과 귀주성 그리고 사천성 등에서 자란다. 영춘화와 운남황형은 모두 재스민으로 불리는 영춘화속이다. 중국 운남성 건수(젠수이) 반겹꽃이 피는 종도 있다. ※ 재스민 Jasminum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영춘화속에 속하는 식물을.. 2007. 3. 21. 쥐똥나무 꽃과 열매 Ligustrum obtusifolium 쥐똥나무는 늘씬한 모습을 잃어 버린 대표적인 나무다. 전국의 수많은 관공서나 민가 울타리 나무가 되어 버린 쥐똥나무, 전지가위로 깍두기처럼 네모진 형태로 다듬어진 쥐똥나무가 우리가 아는 쥐똥나무다. 자연상태에서 자란 쥐똥나무는 줄기와 가지가 늘씬하게 벋어서 정말 아름답.. 2006. 6. 10.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2006. 05. 25 / 대모산 입구 어느 교정 ●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 소교목 가지는 퍼지고 털이 없으며 어릴 때는 자줏빛이 돈다. 높이는 4m 정도이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는 5∼12cm, 나비는 3∼9cm이다. 꽃은 6.. 2006. 6. 9.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a 이밥(쌀밥)처럼 하얗게 피는 꽃, 그래서 이팝나무라 불렀다. 들판이나 골짜기에서 자라는 나무로 꽃 피는 모습으로 그해 벼농사의 풍흉을 점쳤으며, 치성을 드리면 풍년이 든다고 믿어 신목으로 받들기도 한 나무이다. ● 이팝나무 Chionanthus retusa /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교목 높이 .. 2006. 5. 28. 서양수수꽃다리(라일락) Syringa vulgaris 유럽 원산의 물푸레과 떨기나무로 조경수로 흔하게 기른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수꽃다리(Syringa oblata var. dilatata)에 비해서 잎, 꽃차례, 꽃이 모두 크므로 구분된다. 수수꽃다리는 황해도 이북에 자생하는 우리나라꽃으로, 라일락과 매우 비슷하나 잎의 형태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 2006. 4. 23. 미선나무, 분홍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 미선나무는 수형과 꽃 모양이 개나리와 닮았는데, 같은 물푸레나무과의 관목으로 한국 특산종이다. 자생지는 충청북도 괴산군과 전라북도 부안군 등 제한되어 있으며 자생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2006. 03, 31 가락동 기본종, 꽃이 흰 미선나무 분홍미선나무 ● 미선나.. 2006. 4. 4. 개나리 Forsythia koreana 봄을 알리는 개나리, 서양에서는 골든 벨(golden bell)이라고 부른다. 가지마다 노랗게 달린 개나리의 노란 꽃송이가 금으로 만든 종이 연상하기 때문일 것이다. 2006. 03. 25 영암 월출산 도갑사 입구 2006. 03. 26 가락동 ● 개나리 Forsythia koreana ㅣ golden bell, Korean forsythia / 용담목 물푸레나무과 꽃.. 2006. 3. 28. 수수꽃다리, 혹은 라일락 라일락Syringa vulgaris 물푸레나무과(Oleaceae) 수수꽃다리속(Syringa)의 식물 수수꽃다리속에는 약 30종(種)이 있는데 그중 몇몇 종은 뜰에 심는 관목 또는 작은 교목들로서 봄에 향기롭고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 유럽 남동부가 원산지인 라일락(S. vulgaris)은 전세계의 온대지역에 널리 퍼져 있다. 수수꽃다리를.. 2006. 2. 4. 광나무 Ligustrum japonicum 광나무는 쥐똥나무와 같은 물푸레나무과의 늘푸른나무로, 늘 푸른 쥐똥나무라고 해도 될 정도로 잎과 꽃 열매 등 모든 점에서 닮았다. 제주도 아래는 모두 <2006. 01. 03 제주도>에서 ● 광나무 Ligustrum japonicum / 물푸레나무과 상록관목 가지는 회색이며, 잎은 마주나며 다소 두껍고 약간 .. 2006. 1. 1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