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편초과60 좀작살나무 Callicarpa dichotoma, 꽃과 열매 영롱한 구슬 같은 열매가 보랏빛으로 물들어가는 한편에서 보랏빛 꽃도 피고 있다. 꽃은 아름답지만 작아서 눈에 잘 띄지 않는 편이다. 하지만 보랏빛으로 풍성하게 달리는 열매가 아름다워 조경수로 인기가 많다. 작살나무가 잎 전체에 톱니가 있고 잎끝이 꼬리 모양으로 길게 뾰족해지고 꽃차례가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데 비해, 좀작살나무는 잎 아래쪽에 톱니가 없고 잎 윗부분이 급히 뾰족해지며 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1-4mm 위쪽에 달리는 점에서 작살나무와 구별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나며, 타이완, 일본, 중국 중남부 등에 분포한다. 2024. 08. 25. 서울 2024. 08. 28. 서울 ● 좀작살나무 Callicarpa dichotoma | purple beautyberry,.. 2024. 9. 9. 버들마편초 Verbena bonariensis 가지가 거의 없는 줄기는 큰 키로 곧게 자라며 꽃대 위에 수많은 별처럼 작은 꽃들이 핀다. 정원의 배경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식물로 잘 어울린다. 우리나라에서 노지월동이 가능한 여러해살이풀로 번식력이 강하고 개화기간이 길어 정원용으로 사랑받는 꽃이다. '숙근버베나'라고도 한다. 남아메리카 원산으로 경남 마산에 귀화하여 자라는 것이 기록되었다. 2024. 08. 08. 산청 2023. 08. 27. 단양 ● 버들마편초 Verbena bonariensis | purpletop vervain, clustertop vervain, Argentinian vervain, tall verbena or pretty verbena ↘ 목련강 국화아강 꿀풀목 마편초과 마편초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2024. 8. 26. 좀작살나무 Callicarpa dichotoma 꽃은 아름답지만 작아서 눈에 잘 띄지 않는 편이다. 하지만 보랏빛으로 풍성하게 달리는 열매가 보석처럼 영롱하고 아름다워 조경수로 인기가 많다. 작살나무가 잎 전체에 톱니가 있고 잎끝이 꼬리 모양으로 길게 뾰족해지고 꽃차례가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데 비해, 좀작살나무는 잎 아래쪽에 톱니가 없고 잎 윗부분이 급히 뾰족해지며 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1-4mm 위쪽에 달리는 점에서 작살나무와 구별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나며, 타이완, 일본, 중국 중남부 등에 분포한다. 2024. 07. 07. 고양 서삼릉 2024. 07. 29. 서울 좀작살나무 열매 ● 좀작살나무 Callicarpa dichotoma | purple beautyberry, early amethyst ↘ 목.. 2024. 7. 19. 층꽃나무 Caryopteris incana '층꽃풀'이라 불리다 '층꽃나무'로 이름이 바뀐 것처럼 다년초로 보기도 관목으로 보기도 하는 풀과 나무의 경계에 있는, 마편초과의 식물이다. 흰 꽃이 피는 품종을 흰층꽃나무(f. candida)라 한다. 경상도, 전라도 및 남쪽 섬 지역에서 자란다. 햇볕이 잘 드는 척박하고 건조한 해안 사면이나 바위지대에 주로 자생하며, 비옥한 토양에서는 급속하게 성장하여 당년에 개화하고 죽어버린다고 한다. 주작산 ● 층꽃나무 Caryopteris incana | bluebeard ↘ 꿀풀목 마편초과 층꽃나무속 낙엽 활엽 관목 높이 30 ~ 60cm. 줄기 윗부분이 겨울동안 죽으며 일년생가지에 털이 밀생한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형이고 첨두이며 길이와 폭이 각 2 ~ 5cm × 1.5 ~ 3cm로, 표면에 털이 있으며.. 2017. 12. 18. 좀목형 Vitex negundo var. incisa 마편초과 순비기나무속의 관목으로 줄기와 잎에 방향유가 있다. 높이 2~3m로 밑에서부터 많은 줄기가 올라와 하나의 수형을 이루며 목형과 변종 관계에 있다. 목형(var. cannabifolia)은 중국 원산으로 소엽이 대부분 3개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는 편이다. 순비기나무(V. rotundifolia)와 달리 작은잎 4-5장으로 된 겹잎이므로 구분된다. 영남과 경기도 산기슭 바위 지대에 자란다고 하는데 자생지가 흔치 않은 듯하다. 대구 달성 동촌 유원지 주변, 서울 은평 봉산, 서대문 안산 등. 2017. 07. 11. 수서동 좀목형 잎, 햇줄기 좀목형 수피 ● 좀목형 Vitex negundo var. incisa | Chinese Chaste-Tree ↘ 통화식물목 마편초과 순비기나무속 낙엽 활엽 .. 2017. 7. 12. 한겨울에 핀 층꽃나무 꽃 Caryopteris incana 한겨울, 추자도 산 정상에서 층꽃나무가 보랏빛 꽃을 피우고 있다. 층꽃나무는 남부지방 남서해안과 섬, 제주도 등에 자생하는 마편초과의 반목본성 식물이다. 지상부의 밑부분은 목질화하여 월동하지만 윗부분은 말라 죽는데, 거의 풀과 같은 모습이다. 햇볕이 잘 드는 척박하고 건조한.. 2017. 3. 13. 누린내풀 열매 Coryopteris divaricata 4쪽으로 되어 있는 누린내풀 열매의 모양은 참 특이하다. 열매를 단 누린내풀을 처음 만났을 때는 현삼 종류의 열매가 이런 모양으로 결실하는 줄 알았다. 그런데 나중 개차즈기 꽃과 열매를 들여다보다, 크기는 아주 작지만 꽃도 열매도 그 형태가 누린내풀과 아주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 2015. 11. 6. 미국마편초(블루버베나) Verbena hastata 여러 개의 촛대처럼 하늘을 향해 펼쳐진 꽃차례가 눈길을 끈다. 미국인들 눈에는 여러 개의 창이 하늘을 향해 찌르는 듯한 모습이었던지 '창 모양의'라는 뜻의 'hastata'라는 종소명을 붙여 놓았다. 브라질마편초나 버들마편초애 비해 꽃색이 푸른빛이 강해 'blue vervain'이라는 영명으로 불린다. 미국과 캐나다 남부에 분포한다. 2015. 07. 28. 신구대식물원 ● 미국마편초 Verbena hastata | American vervain, blue vervain, simpler's joy,swamp verbena ↘ 꿀풀목 마편초과 마편초속 여러해살이풀 줄기 높이 1.5m로 곧게 자라며 때로 위쪽에서 가지를 치며, 네 개의 각이 있고 털이 많으며 녹색에서 붉은색을 띤다. 잎은 .. 2015. 8. 12. 흰좀작살나무 Callicarpa dichotoma f. albifructus 좀작살나무의 변종으로 좀작살나무와 특성이 같지만 꽃과 열매가 모두 흰 점이 다르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재배종으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작살나무의 변종인 흰작살나무는 등록되어 있지만 좀작살나무의 변종인 흰좀작살나무(var. albi-fructus)에 대한 기록은 없다. 2015. 07. 07. 양재동 ● 흰좀작살나무 Callicarpa dichotoma f. albifructus ↘ 통화식물목 마편초과 작살나무속의 낙엽관목 높이 1.5m 내외이고 작은가지는 사각형이며 성모(星毛:여러 갈래로 갈라져 별 모양의 털)가 있다. 잎은 마주달리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의 긴 타원형이며, 가장자리는 중앙 이상에 톱니가 있고 뒷면에는 성.. 2015. 7. 26. 베트남의 식물(18) 개마편초 = 자마이카버베나 Stachytarpheta jamaicensis 하이반 패스의 고개에서 만난 스타키타르페타 야마이첸시스 Stachytarpheta jamaicensis. 중국명으로는 개마편초라는 뜻의 '가마편(假马鞭)', 영명은 '자마이카버베나'이다. 파리풀을 연상시키는 꽃차례인데 꽃 모양은 좀 다르다. 마편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카리브해 지역이다. 번식력이 워낙 강한 듯 동남아 일대에도 널리 퍼져 있다. 영 명 : 블루포터위드(Blue porterweed), 자마이카버베나(Jamaica vervain) 중 국 명 : 가마편(假马鞭) 베트남명 : 하이띠엔(Hải tiên :'두 요정'이라는 뜻), 두오이쭈엇(Đuôi chuột :'쥐꼬리'라는 뜻) 잎은 차로 마시는데, 천식과 위궤양을 다스리는 약효가 있다고 한다. 베트남 다낭 하이반 고개 2015. 2. 20. 흰좀작살나무 열매 Callicarpa dichotoma var. albi-fructus 작살나무가 산 속에 자생하는 것과는 달리 좀작살나무는 공원 등의 조경수로 흔히 심는다. 좀작살나무(Callicarpa dichotoma)는 작살나무의 한 종으로 잎의 윗부분에만 톱니가 있고 잎 윗부분이 급하게 흘러 작살나무의 잎처럼 긴 첨두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열매가 잎겨드랑이에서 달.. 2014. 11. 21. 누린내풀 Caryopteris divaricata, 역한 냄새를 풍기는 청초한 꽃 누린내풀은 층꽃나무와 함께 마편초과 층꽃나무속에 속하는 자생 2종으로 경기, 강원 이남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에서는 누린내풀속 Tripora으로 따로 분리하고 있다.) 잎과 꽃에서 역한 누린내를 풍기는 풀이라 하여 누린내풀이라 한다. 꽃이 필 때 냄새는 더욱 심해진다. 같은 마편초과로 '누린내나무'라고 불리는 누리장나무와 가히 쌍벽을 이룰 만한 역한 냄새의 강자이다. 하지만 맑은 보랏빛의 꽃은 곱기만하다. 역한 체취를 감추고 있는 미인의 모습이라고나 할까... ↓ 신구대식물원 ● 누린내풀 Caryopteris divaricata | Odor bluebeard ↘ 꿀풀목 마편초과 층꽃나무속 여러해살이풀 줄기가 모여 나는데 1m 정도의 높이로 자란다. 원줄기는 네모지.. 2012. 10. 15. 누린내풀 Caryopteris divaricata 중부 이남에서 자라는 마편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고약한 냄새를 풍겨 노린재풀이라고도 한다. 향기는 역하지만 보랏빛 꽃잎은 매우 아름답다. 특히 꽃잎 속 암술과 수술이 꽃부리 밖으로 길게 뻗어 나와 활처럼 휘어져 있는 모습이 나비의 더듬이 같아서 꽃송이가 보랏빛 나비가 하늘.. 2012. 10. 13. 꽃도 예뻐요, 작살나무 Callicarpa japonica 작살나무는 마편초과의 관목이다. 하지가 지날 무렵 마주난 잎겨드랑이에서 꽃대를 올려 좁살보다 작은 꽃망울을 달고 붉은 보라색의 꽃을 피운다. 눈여겨 보지 않으면 푸른 잎사귀에 묻혀 있는 꽃을 놓치기 십상인데, 일단 꽃을 발견하고 살펴본다면 붉은 꽃잎 속에 노란 꽃밥과 흰 암술이 조화를 이룬 아름다움에 절로 탄성을 지르게 된다. ↓ 남한산성 사람들은 작살나무의 아름다움을 꽃보다 열매에서 찾는다. 작살나무는 꽃이 지고 난 자리에 둥근 열매가 조랑조랑 달리는데 가을이 되면 꽃의 색깔과 비슷한 영롱한 보라색으로 익는다. 특히 낙엽이 져 버린 늦가을과 겨울에는 열매의 아름다움은 더욱 빛을 발한다. 보석보다 아름다운 이 열매를 보고 서양인들이 작살나무를 'beauty berry'라 부르며 중국에서는 '보랏빛 구슬'.. 2012. 7. 17. 밀원식물의 으뜸, 목형과 좀목형 목형이나 좀목형은 마편초과의 관목으로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와 같은 속의 밀원식물이다. 그래서 목형을 '애기순비기나무', 좀목형을 '좀순비기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목형이나 좀목형은 모두 5개 또는 3개의 작은 잎이 달려 있다. 목형은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거나 있어도 부드럽지만, 좀목형은 잎의 가장자리에는 큰 톱니가 또렷하거나 깊게 패인 모습이어서 구별된다. ↓ 함평 자연생태공원 ■ 좀목형 Vitex negundo var. heterophylla 높이 2m. 밑에서부터 많은 줄기가 올라온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5개 때로는 3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손바닥모양의 겹잎이다. 소엽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고 첨두 예형이며 길이 2 ~ 8cm로, 뒷면에 잔털과 샘이 발달하였고, 가.. 2011. 8. 26.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