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두릅나무과27

가시오갈피 열매 Eleutherococcus senticosus 줄기 등 전체에 가는 가시가 밀생하는 점으로 가시가 거의 없는 오갈피나무와 구별된다. 자생지가 비교적 넓게 분포하였으나, 인삼보다 약효가 더 좋다는 약용식물로 알려지면서 자생지가 급격히 파괴되었다. 전국적으로 30여 곳의 자생지가 있으나, 개체수는 많지 않다. 두릅나무과의 .. 2016. 10. 30.
팔손이나무 Fatsia japonica 두릅나무과의 늘푸른 관목으로 늦은 가을에 꽃을 피운다. 잎이 여덟 개의 손가락 모양이므로 팔손이나무라고 하는데 팔각금반(八角金盤)이라고도 한다. 민간에서 잎을 목욕탕에 넣으면 류머티즘에 좋다고 하며, 식물체에 들어 있는 파친은 거담작용이 있어서 거담제로 쓰기도 한다. 2013... 2014. 11. 26.
가시오갈피 Eleutherococcus senticosus, 암꽃과 수꽃 가시오갈피에 꽃이 피었다. 두릅나무과의 특징대로 공 모양의 동그란 꽃차례가 아름답다. 가시오갈피는 암수딴그루이기도 하고 암수한그루이기도 하다. 국내 자생 오갈피나무 중에서 오갈피나무와 지리산오갈피 그리고 섬오갈피는 암수한그루이고, 오가나무는 암수딴그루이다. 가시오가피 암그루의 수술은 짧고 꽃밥이 노란색인데 꽃이 피자마자 떨어지며 수그루의 수술은 길고 꽃밥이 흰색이다. 암술은 수그루에서는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않는다. 가시오가피 수꽃 가시오가피 암꽃 가시오갈피 줄기 ● 가시오갈피 Eleutherococcus senticosus | Siberian ginseng ↘ 산형화목 두릅나무과 오갈피나무속 관목 높이 2∼3m이다. 전체에 가늘고 긴 가시가 빽빽하게 나고 회갈색이다. 특히 잎자루 밑부분에 많은 가시가 있.. 2012. 7. 16.
새발잎 아이비, 에버그린아이비 추자항의 어느 관공서 외벽은 아이비로 뒤덮여 있다. 처음 보았을 때는 촘촘히 융단처럼 덮고 있는 잎에 덩굴이 보이지않아 마치 석위 종류가 빼곡하게 자라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게다가 보통의 아이비와는 달리 잎은 길게 갈래져 마치 새발처럼 보인다. 이런 아이비는 처음보는데, 아마도 눈에 새겨진 새의 발자국처럼 좁게 갈라진 잎을 가진 새발잎아이비(Bird’s Foot Ivies)가 아닌가 싶다. 영국 아이비의 한 품종 Hedera helix "Evergreen". ※ 아비비(Ivy)에 대하여 두릅나무과의 속으로 포복성 상록 만경 목본인 Hedera 속은 약 10종이 유라시아에 걸쳐 대서양 도서지방, 유럽, 북아프리카와 한국, 중국, 일본을 포함한 아시아의 온대와 난대지역에 분포한다. Hedera는 아이비(I.. 2011. 9. 30.
노란색 도료로 이용되었던 황칠나무(黃漆木) Dendropanax morbiferus 황칠나무는 한국 특산종으로 남해안 섬에서만 자라는 두릅나무과의 상록수이다. 꽃이 피는 모습을 보면 두릅나무나 오갈피나무를 연상하게 한다. 황칠나무 표피에 상처를 내면 노란 액체(진액)가 나오는데 이것을 모아 칠하는 것을 '황칠'이라고 하며 전통 가구의 도료로 사용하였다. 중국에 보내는 조공품으로 지역 백성들이 시달림을 당하게 되자 황칠나무가 자라면 베어 버렸다고 한다. 완도수목원 ● 황칠나무(黃漆木) Dendropanax morbiferus | Korean Dendropanax ↘ 산형화목 두릅나무과 황칠나무속 상록 교목 높이 15m에 달하고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또한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어린 나무에서는 3∼5개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꽃은 .. 2011. 9. 7.
오가나무 Eleutherococcus sieboldianus 오가나무는 '당오갈피나무'라 불리기도 하는 중국 원산의 오갈피나무로 민가에서 울타리 나무로 심는다. '오가(五加)'는 오갈피의 한자명을 그대로 쓴 것이다.  기재문에는 암수딴그루를 뜻하는 꽃이 '이가화(二家花)'라고 적고 있지만 암술과 수술이 한 꽃에 다 보이고 있으니 양성화(兩性花)이다. 기재문이 틀렸음을 알 수 있다.     2011. 05. 22.    갈래진 암술과 갈색 꽃밥을 단 수술이 함께 자리잡고 있다. => 양성화 암술의 갈래 수와 수술 수는 대체로 꽃잎의 갈래 수와 같아 보인다.      ● 오가나무 Eleutherococcus sieboldianus ↘  산형화목 두릅나무과 오갈피나무속 낙엽관목 높이가 2m에 달하고 모여나기하며 맹아가 돋고 재배하기도 하며 가지는 길거나 짧고 회백색이.. 2011. 6. 14.
고창 (5) 선운사 입구, 고창 삼인리 송악(천연기념물 제367호) 고창읍성을 돌아보고 난 다음날 선운사로 향한다. 오늘은 선운사를 돌아보고 난 다음에 선운사 골짜기를 따라서 도솔암과 마애불, 그리고 낙조대와 투구바위까지 돌아볼 계획이다. 선운산 정상이 336m라니 그리 힘들지는 않을 거다. 고창 버스터미널에서 선운사 가는 버스는 거의 매 시간 단위로 있어 불편함이 없다. 잠시 기다리는 시간이 있지만, 그것은 낭비의 시간이 아니라 설렘의 시간이다. 버스를 타고 다니는 여행은 느긋해서 좋다. 차창으로 명랑하게 비쳐드는 아침 햇살을 즐기며 20~30분쯤 달렸을까. 어느 새 버스는 선운사 물이 흘러내리는 도솔계곡을 들어서고 있다. 5년만에 찾은 선운사, 그리 달라진 풍경은 없다. 관자노리가 얼얼할 정도로 계곡 바람은 싸늘한데, 먼저 바로 개울 건너편으로 보이는 천연기념물 송악.. 2011. 3. 8.
아랄리아(디지고데카) Dizygotheca elegantissima 온실 관엽식물로 기르며 두릅나무과의 관목 또는 작은 교목이지만 가시는 없다. 긴 잎자루 끝에 작은잎 5-10개가 손바닥 모양 또는 단풍잎 모양으로 붙어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남태평양의 섬 등 원산지에서는 7~8m 정도 자라며 화분에서는 150cm 정도 자라는데 생장이 더디다. ↓ 어린이대공원 식물원 ● 아랄리아 Dizygotheca elegantissima(Plerandra elegantissima) | False aralia, Finger Aralia / 두릅나무과의 상록 관목 원산지는 오스트레일리아, 남양 제도, 뉴헤브리데즈, 뉴칼레도니아, 폴리네시아 등이다. 원산지에서는 7~8m 정도 자라며 줄기는 강직하다. 잎자루는 길게 나오며 그 끝에 긴 톱 모양의 잎이 7~10개가 부채살처럼 펼쳐 달린다. .. 2009. 11. 10.
독활(땅두릅) Aralia contientalis 흔히 땅두릅으로 불리는 독활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초본 식물이다. 바람에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독활이라고 부른다. 유사한 발음 때문에 땃두릅이라 불리기도 하나 땃두릅나무(Oplopanax elatus)와는 같은 두릅나무과에 속하지만 속이 다른 종이다. ↓ 홍릉수목원 ● 독활 獨活 Ar.. 2009. 9. 28.
오갈피나무(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꽃과 씨앗 예로부터 불로장생의 나무로 알려져 온 오갈피나무, 지금도 뛰어난 자양 강장 강정의 약효를 인정받고 있는 나무이다. 잎이 5개로 손가락 모양으로 갈라져 있어 오갈피나무라 부른다. 줄기에 가시가 보이지 않아 서울오가피로 보인다. 그러나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서울오가피는 현재 .. 2009. 9. 11.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Kalopanax pictus) 두릅나무과의 교목으로, 줄기에 가시가 달려 있고 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얕게 갈라지는 특징이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개두릅나무라고 부르기도 한다. 홍릉수목원 ▶ 인제군 단목령 ● 음나무 Kalopanax pictus / 산형화목 두릅나무과 음나무속의 낙엽교목 높이 25m에 달하며, 가지는 굵으며 .. 2008. 7. 26.
우산나무, 쉐프렐라 = 홍콩야자 Schefflera 쉐프렐라는 남동 아시아와 태평양의 아열대와 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두릅나뭇과의 상록 나무를 통칭하는 이름이다. 손바닥 모양의 광택이 있는 가죽질 잎을 가지고 있다. 잎은 잎자루가 있는 작은잎이 우산형으로 달려 영명은 '우산나무'라는 뜻의 umbrella tree이다. 흔히 '홍콩야자'라는 이름으로 유통되고 있다. ● 쉐프렐라 Schefflera | umbrella tree /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상록 관목 또는 교목 열대와 아열대가 원산지이며 전세계적으로 약 150종이 분포한다. 높이 2∼3m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며 진한 녹색빛을 띠고 단엽(홑잎)이거나 손바닥 모양의 복엽(겹잎)이다. 복엽의 경우 작은잎이 7∼8개가 모여 송이를 이룬다. 잎이 크고 두꺼우며 윤기가 있어 실내 관엽식물>로서 인기가 있다.. 2008. 6. 12.
가시오갈피 Eleutherococcus senticosus (Acanthopanax senticosus) 파꽃처럼 구형으로 가시오갈피가 꽃을 피웠다. 줄기에 빽빽한 가시가 날카롭게 자라는 두릅나무과의 관목으로, 속이 다르지만 산삼(Panax ginseng)과 잎 형태가 비슷할 뿐만 아니라 약효 또한 뛰어나서 '시베리아 인삼(Siberian ginseng)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경기 북부와 강원도 이북에 분포한.. 2008. 6. 3.
두릅나무의 꽃 Aralia elata 봄에 돋아나는 새순이 미각을 돋우는 봄나물이자 건강 식품인 두릅나무! 두릅나무과 두릅나무속의 관목으로 깃꼴 겹잎으로 된 잎의 잎자루와 잎축에 가시가 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비슷한 독활(Aralia cordata)은 초본으로 가시가 없는 점으로 두릅나무와 구별된다. 합천 악견산 ● 두릅나무 Aralia elata | Exalted angelica tree ↘ 미나리목 두릅나무과 두릅나무속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는 3∼4m이다. 줄기는 그리 갈라지지 않으며 억센 가시가 많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40∼100cm로 홀수 2회 깃꼴겹잎이며 잎자루와 작은잎에 가시가 있다. 작은잎은 넓은 달걀모양 또는 타원상 달걀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다. 잎 길이는 5∼12cm, 나비 2∼7cm로 큰 톱니가 있고 앞면은.. 2008. 2. 9.
황칠나무 Dendropanax morbifera 황칠나무는 두릅나무과의 늘푸른 큰키나무이다. 남해안 지역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종으로, 옻나무처럼 나무껍질에 상처를 내면 노란 액체가 나오는데 이것을 황칠이라고 하며 가구의 도료로 사용하였다. ● 황칠나무 Dendropanax morbifera 黃漆木 / 두릅나무과의 교목 높이 15m에 달하고 어린 가지는 녹색이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또한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어린 나무에서는 3∼5개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 연한 황록색으로 피고 양성화이며 산형꽃차례에 달린다. 꽃줄기는 길이 3∼5cm이고 작은꽃줄기는 길이 5∼10mm이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꽃잎과 수술은 5개씩이며 화반(花盤)에 꿀샘이 있다.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지고 핵과(核果)는 타원형이며 .. 2008.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