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나물과74 섬기린초 Sedum takesimense, 꽃 피기 전 울릉도·설악산 등지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종, 섬기린초. 아직 꽃이 피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한 섬기린초의 모습을 담아 보았다. 울릉도 도동 ● 섬기린초 Sedum takesimense /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모여서 나고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서 길이 50 cm 내외이고 밑부분의 30 cm 내외가 남.. 2011. 5. 18. 다육식물, 흑괴리(Graptoveria fredives) 겨울 온실 속 흑괴리가 길고 굵은 꽃대에 노란 꽃을 피웠습니다. 흑괴리(Graptoveria fredives)는 멕시코 원산의 돌나물과 석연화속 다육식물입니다. 용월(朧月, Graptopetalum paraguayensis)과 기비플로라(Echeveria gibbiflora)의 오래된 교배종이라고 하는데, 비슷하게 생긴 에케베리아로 오인되기도 합니다. 두툼하고 .. 2011. 3. 1. 바위솔 Orostachys japonica 바위솔은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둥근바위솔(O. malacophylla)에 비해서 잎은 피침형으로서 더욱 가늘고 끝이 가시처럼 되며, 꽃잎도 피침형이므로 구분된다.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면 죽어 한해살이풀로 생각하기 쉬운데, 싹이 터서 여러 해를 자라야 꽃을 피운다. 햇볕이 잘 드는 산지의 건조한 땅이나 바위 겉에 붙어서 자란다. 때로는 기와지붕에도 자라는데 그래서 '지붕지기'라고도 하고 '와송(瓦松)'이라 부르기도 한다. 2010. 10. 24. 굴업도 ● 바위솔 Orostachys japonica | Rock pine ↘ 장미목 돌나물과 바위솔속 여러해살이풀잘 자란 것은 높이 30cm에 이른다. 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납작하게 퍼져 자라며 끝이 굳어져 가시처럼 .. 2010. 12. 14. 큰꿩의비름(Hylotelephium spectabile), 꿩의비름과 특징 비교 큰꿩의비름은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과 들의 암석이 있는 지형에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기하는 꿩의비름과는 달리 마주나거나 돌려난다. 잎이 두꺼우며 잎자루는 없다. 꽃은 8∼9월에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산방꽃차례를 이루며 빽빽이 달린다. 꽃잎과 암술은 5개이며, 수술은 10개이고 꽃밥은 자주색이다. ↓ 남한산성 ● 큰꿩의비름 Hylotelephium spectabile ↘ 장미목 돌나물과 꿩의비름속 여러해살이풀 녹백색이고 굵은 뿌리에서 몇 개의 줄기가 나온다. 잎은 마주나기 또는 돌려나기하며 육질이고 달걀모양, 거꿀달걀모양 또는 주걱모양으로 길이 4~10cm, 나비 2~5cm이며 엽병이 없고 가장 자리는 밋밋하거나 다소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8∼9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줄기 .. 2010. 10. 17. 낙지다리 Penthorum chinense 물가 및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산림청 선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1997)이다. 줄기 윗부분에 가지를 치고 달리는 꽃차례(또는 열매)가 마치 빨판을 단 낙지 다리를 닮았다. 돌나물과이지만 다육질이지 않은 얇은 잎을 가졌다. 세계에 2종, 우리 나라에는 1종이 분포한다. ↓ 홍릉수목원 ● 낙지다리 Penthorum chinense / 돌나물과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원기둥 모양으로 곧게 서며, 높이는 30∼80cm이고, 분홍빛이 돈다. 땅속으로 기는 가지가 길게 뻗는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거의 없으며 좁은 바소꼴이고, 길이가 2.5∼10cm, 폭은 4∼10cm이고,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있으며 끝이 예리하게 뾰족하다. 꽃은 7∼8월에 황백색으로 피고, .. 2009. 9. 27. 속리기린초 Sedum zokuriense 줄기가 붉은빛이 도는 갈색인 것이 눈에 띄는 기린초인데, 하회마을을 돌아보다가 만났다. 그 주변 지역에 자생하는 것을 옮겨 심었는지는 알 수 없는 일인데, 그날 오후 늦게 빗발이 스치는 날씨에 주왕산을 올랐다가 다시 같은 종의 자생 기린초를 만났다. 이미 어두워지는 하늘 아래 .. 2009. 9. 4. 바위채송화 Sedum polytrichoides ↓ 천마산 ● 바위채송화 Sedum polytrichoides /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밑부분이 옆으로 뻗고 윗부분이 가지와 더불어 곧추서서 높이가 10cm에 달하며 밑부분에 갈색이 돌고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에는 잎이 밀생한다.잎은 어긋나며 바소꼴 줄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6~15mm, .. 2009. 8. 31. 땅채송화 Sedum oryzifolium 땅채송화는 갯채송화 또는 각시기린초라고도 불리는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바닷가의 바위 틈에서 자란다. ↓ 백령도 ● 땅채송화 Sedum oryzifolium /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0cm 정도이며 모여산다. 줄기는 옆으로 뻗어 많은 가지를 내며 원줄기 윗부분과 가지가 모여 .. 2009. 8. 15. 땅채송화 Sedum oryzifolium 땅채송화는 갯채송화 또는 각시기린초라고도 불리는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바닷가 바위 틈에서 자란다. ↓ 백령도 ● 땅채송화 Sedum oryzifolium /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0cm 정도이며 모여산다. 줄기는 옆으로 뻗어 많은 가지를 내며 원줄기 윗부분과 가지가 모여 .. 2009. 8. 15. 가지기린초 Sedum aizoon var. ramosum 기린초는 보통 가지를 벌지 않고 줄기 끝에 꽃차례를 만드는데, 백령도에서 가지를 버는 기린초를 만난다. 국가표준식물목록과 국생정에는 기린초의 변종으로 가지기린초(var. ramosum)라는 국명을 올려 놓았는데 기재문은 "줄기는 가지가 많다."라는 한 구절뿐이다. ↓ 백령도 2009. 8. 15. 바위솔 Orostachys japonicus, 뿌리잎 고향의 산 가장자리 바위와 잡초들이 어울린 언덕에서 자란 바위솔의 한여름 모습이다.아직 꽃이 피기 전의 모습으로 잎은 줄 모양에 가까운 피침형으로 가늘고 끝은 뾰족하여 가시 모양이다. 다른 종류의 바위솔과는 잎 모양에서 부터 아주 다른 모습이다. 돌나물과 바위솔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몇 해를 살다 꽃대가 자라나 꽃이 피면 씨앗을 맺은 뒤에 생명을 마감한다. ↓ 2009. 07. 19. 경남 합천 가회 ● 바위솔 Orostachys japonicus / 장미목 돌나물과 바위솔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 30cm 정도이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방석처럼 퍼지고 끝이 굳어져서 가시같이 된다. 원줄기에 달린 잎과 여름에 뿌리에서 나온 잎은 끝이 굳어지지 않으며 잎자루가 없고 바소꼴로 자주색 또는 .. 2009. 8. 1. 말똥비름 Sedum bulbiferum 돌나물속(Sedum)의 다른 자생종들에 비해 잎겨드랑이에 살눈이 있는 점으로 구분된다. 잎이 돌려나는 돌나물(S. sarmentosum)에 비해 잎이 어긋나는 점으로 구별된다. ↓ 용문산 ● 말똥비름 Sedum bulbiferum / 장미목 돌나물과 돌나물속 한두해살이풀 높이 7∼22cm이다. 줄기의 밑부분이 옆으로 벋.. 2009. 6. 29. 바위솔 Orostachys japonica 바위솔은 돌나물과의 다육성 여러해살이풀로 꽃이 피고 열매를 맺으면 죽어 버린다. 기와지붕 위에 널리 자생하였으므로 와송(瓦松)이라 불리기도 한다. 2008. 10. 31. 경남 합천 가회 ● 바위솔 Orostachys japonica / 장미목 돌나물과 바위솔속 여러해살이풀근생엽은 로제트형으로 납작하게 퍼져 자라며 끝이 굳어져 가시처럼 된다. 원줄기에 잎이 다닥다닥 달리며 엽병이 없고 여름철에 나오는 근생엽과 더불어 끝이 굳어지지 않고 다만 뾰족해질 뿐이며 피침형으로서 주로 녹색이지만 때로 자주색 또는 흰분을 바른 듯한 백색을 띤다. 꽃은 9월에 피고 백색이며 총상꽃차례는 길이 6-15cm로서 꽃자루가 없는 꽃이 밀착하고 포는 피침형이며 예두이다. 꽃받침조각은 5개.. 2009. 1. 10. 새끼꿩의비름 Hylotelephium viviparum 새끼꿩의비름은 세잎꿩의비름(H. verticillatum)과 비슷하지만, 잎겨드랑이와 꽃차례에 살눈(肉芽)이 달리는 점이 다르다. 꿩의비름과 비슷한 모양이지만 전체적으로 작가서 새끼꿩의비름이라고 한다. 천마산 꽃이 진 자리에 맺은 열매는 골돌로서 5개임을 볼 수 있다 . 열매 아래에 까만 색깔의 작은 살눈(肉芽)이 보이는데 이로도 번식한다. 잎겨드랑이에 생긴 살눈(肉芽) ● 새끼꿩의비름 Hylotelephium viviparum | Bulbil stonecrop / 장미목 돌나물과 꿩의비름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60cm에 달한다. 잎은 대생 또는 3장씩 윤생하며 엽병이 짧고 넓은 피침형이며 톱니가 없거나 약간 있고 길이 3~6cm, 폭1-2cm이다. 뿌리는 비대하다.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1cm정.. 2008. 12. 25. 큰꿩의비름 ※ 남한산 큰꿩의비름 Hylotelephium spectabile 쌍떡잎식물 장미목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에서 자란다. 굵은 뿌리에서 줄기가 몇 개 나온다. 줄기는 높이가 30∼70cm이고 녹색을 띤 흰색이다.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고 육질이며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주걱 모양이고 길이.. 2008. 11. 28.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