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녹나무과41

털조장나무 꽃과 열매 Lindera sericea 털조장나무는 생강나무 등과 같은 속의 녹나무과 관목으로 전남의 조계산 및 무등산의 계곡에서 자란다. 홍릉수목원 털조장나무 열매 ● 털조장나무 Lindera sericea / 녹나무과의 관목 높이가 3m에 달하고 수피는 연한 녹색이며 직립성이고 어린 가지는 황록색이며 털이 있으나 차차 없어지.. 2008. 12. 7.
참식나무 수피, 열매 Neolitsea sericea ● 참식나무 Neolitsea sericea /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의 상록교목 높이 10m에 달하고 작은가지는 녹색이며 처음에 털이 있으나 없어진다. 새잎은 4월에 밑으로 처지고 황갈색 털이 밀생하지만 곧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두꺼우며 긴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3개의 맥이 뚜렷하게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다. 꽃은 10∼11월에 잎 겨드랑이에 피고 황백색이며 단성화이고 산형꽃차례를 이루어 밀생한다. 꽃이삭에 갈색 털이 밀생한다. 화피는 얕은 종 모양이고 4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8개이다. 꽃밥은 들창문처럼 터진다.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다음해 가을에 붉게 익는다. 2008. 2. 3.
생강나무 암꽃과 수꽃, 그리고 열매 이른봄 마을과 들판을 물들이는 산수유나무와 산기슭을 물들이는 생강나무는 그 샛노란 꽃의 색감으로 봄의 전령사라 할 만한 나무이다. 그 샛노란 꽃이 주는 이미지가 비슷해 혼동을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 그런데 암꽃과 수꽃이 한 나무에 피는 산수유나무와 달리 생강나무는 암꽃이 .. 2007. 4. 13.
생강나무와 닮은, 꽃이 작은 기름나무 Parabenzoin praecox 생강나무와 꽃이 닮은 것으로는 털조장나무와 기름나무가 있다.모두 녹나무과의 관목으로 이른봄에 샛노란 꽃을 피운다.  털조장나무는 우리 나라 남부 산지에 자생하고 기름나무는 일본 규수와 시코쿠 산지에 자생한다. 기름나무 꽃은 생강나무 꽃에 비해 작고 연두빛이 강하다.     2007. 03. 25. 홍릉수목원    나무 줄기 모습   줄기와 대비한 꽃의 크기. 미미할 정도로 꽃이 작음을 알 수 있다.     ● 기름나무 일본명 アブラチャン(油瀝) Parabenzoin praecox  ↘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의 낙엽관목 원산지는 일본으로 혼슈, 시코쿠, 큐슈의 산야에 자생한다. 높이 3m 정도로 자라고 줄기는 여러 갈래로 갈라져 자란다. 나뭇가지에 기름 성분(유지)를 포함하고 있어 불타기 쉬우며 목질은 .. 2007. 4. 1.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암꽃과 수꽃 이른 봄 숲속에서 가장 먼저 꽃을 피우는 나무가 바로 생강나무이다. 새로 잘라 낸 가지에서 생강 냄새가 나므로 생강나무라고 한다. 생강나무는 녹나무과로 3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노란 색의 작은 꽃들이 여러 개 뭉쳐 꽃자루 없이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잎은 5갈래로 갈라지며 숲속을 알싸한 향기로 가득 채운다. 생강나무는 암수딴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다른 나무에 달린다. 탐스럽게 달린 꽃은 수꽃으로 쉽게 눈에 띄지만, 꽃이 빈약한 암꽃은 눈에 잘 띄지 않는 편이다. 암꽃과 수꽃은 형태가 비슷하여 언뜻 보아 잘 구별되지 않는다. 암꽃은 화피 조각 6개와 1개의 암술, 그리고 형식적으로 달려 있는 헛수술 9개가 있다. 수꽃에는 없는 암꽃이 가운데 자리잡고 있는 것이 다르다. 생강나무 수꽃 생강나무 암꽃 꽃.. 2007. 3. 25.
생강나무와 산수유나무 구별하기 ●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의 낙엽관목 잎이나 꽃을 비비면 생강 냄새가 나며 강원도에서는 산동백 혹은 동박나무 등으로 부른다. 산기슭에 자생한다, 꽃자루가 거의 없이 가지에 꽃이 바로 다닥다닥 붙어 뭉쳐진 모습이다. 줄기의 수피가 매끄럽다. 꽃잎이 다.. 2006. 3. 13.
일본, 녹나무 Cinnamomum camphora 오사카 시텐노지(四天王寺)에는 대형 녹나무들이 눈에 띄는데, 까만 열매를 달고 있다. 녹나무는 녹나무과의 대표종인 상록 교목으로 향장목(香樟木)·장뇌목(樟腦木)·장수(樟樹)라고도 한다. 녹나무 잎과 열매 녹나무 수피 녹나무 수형 ● 녹나무 Cinnamomum camphora | Camphor Tree / 녹나무과.. 2006. 1. 24.
생달나무 Cinnamomum japonicum 05. 01. 12 보길도 06. 01. 03 제주도 비자림 ● 생달나무 Cinnamomum japonicum /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의 상록 활엽 교목 높이는 15m에 달하고, 나무 껍질은 검은 색이며 작은 가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6∼15cm의 긴 타원 모양이며 양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3개.. 2006. 1. 16.
후박나무 Machilus thunbergii 일본에서는 일본목련(Magnolia obvata)을 '후박'으로 부르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일본 목련을 '후박'이라 부르지만, 후박나무는 녹나무과의 나무로 목련과의 일본후박과는 엄연히 다른 종이다. ● 후박나무 Machilus thunbergii | Red machilus /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Lauraceae)의 상록교목 높이 20m, 지.. 2006. 1. 15.
까마귀쪽나무, 아왜나무 까마귀쪽나무와 아왜나무의 어린 나무는 얼핏 보면 비슷해 혼동되기 쉽다. 그러나 두 나무는 계통상으로 아주 다른 나무이다. 까마귀쪽나무가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에 속하는데 아왜나무는 꼭두서니목 인동과에 속한다. ● 까마귀쪽나무 Litsea japonica / 미나리아재비목 녹나무과 까마.. 2006. 1. 15.
인도공주와의 사랑이 담긴 참식나무 열매 참식나무는 녹나무과의 늘푸른 큰키나무로 제주도, 울릉도와 남해안 부근에 자생하고 있다. 영광 불갑사의 참식나무 숲은 최북단의 자생지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참식나무는 늦가을인 10∼11월에 꽃을 피우고 이듬해 가을에 붉은 열매를 단다. ※ 참식나무 꽃 => http://blog.daum.net/k.. 2006.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