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갈매나무과26

돌갈매나무 Rhamnus parvifolia 갈매나무(R. davurica)에 비해 높이는 2m 정도로 작고 잎 또한 길이 1-4cm로서 작으며 열매는 구형이고 씨는 아래쪽에 둥근 구멍이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 강원도 이북, 평북, 함경도의 개울둑 및 산기슭의 암석지에 자생한다. 나무껍질은 염료로 쓰며, 열매는 약용한다. 2022. 07. 09. 삼척 ● 돌갈매나무 Rhamnus parvifolia | Littleleaf buckthorn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갈매나무속 관목 높이가 2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에는 털이 거의 없고, 가시가 있다. 잎은 마주나기 또는 아마주나기하며 타원상 거꿀달걀모양 도는 타원형이고 첨두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잔 톱니가 있고 길이 1.5~3.5cm, 폭1.5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흔히 털이 있고 뒷면.. 2022. 7. 12.
좀갈매나무 Rhamnus taquetii 마침 영실의 좀갈매나무가 꽃을 갓 피우고 있다. 좀갈매나무는 갈매나무과 갈매나무속의 관목으로 제주도 한라산에 분포하는 한국 고유종이다. 암수딴그루인 갈매나무, 워낙 작은 4수성 꽃을 피우는데 나빠진 시력으로 암꽃과 수꽃이 피는 나무를 구별해 담지 못하는 점이 아쉬울 뿐이다. 좀갈매나무는 털갈매나무나 짝자래나무처럼 잎이 어긋나고, 잎몸의 길이가 1~3cm 정도로 작은 점에서 돌갈매나무 및 털갈매나무와 구별한다. 자생지가 1~2곳으로 개체수가 매우 적다.     2022. 05. 19.  한라산        ● 좀갈매나무 Rhamnus taquetii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갈매나무속 관목 높이가 1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늙은 가지는 나무껍질이 벚나무와 비슷하고 가지 끝이 .. 2022. 6. 5.
상동나무 열매 Sageretia theezans 상동나무는 남해안 바닷가 산기슭에 자라는 갈매나무과의 반상록 떨기나무이다. 꽃은 늦가을(10~11월)에 피며 열매는 이듬해 4~5월에 익는다. 이삭꽃차례에 꽃자루가 없는 점이 특징이다. 제주 ● 상동나무 Sageretia theezans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상동나무속 줄기는 비스듬히 눕거나 다른 물체를 타고 올라가며, 길이 2-4m, 가지 끝이 가시로 된다. 가죽질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 길이 1-3cm, 폭 1-1.5cm로 윤이 나고 밑이 둥글다. 잎 가장자리는 잔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2-7mm로 털이 난다. 꽃은 10-11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이삭꽃차례로 달리고, 지름 3-4mm이며 노란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차례는 털이 많다. 꽃자루는 없다. 꽃잎과 꽃받침잎은 5장씩.. 2016. 12. 20.
상동나무 꽃 Sageretia theezans 남해안 바닷가 산기슭에 자라는 갈매나무과의 낙엽 또는 반상록 떨기나무이다. 꽃은 늦가을(10-11월)에 피며 열매는 이듬해 4-5월에 익는다. 이삭꽃차례에 꽃자루가 없는 점이 특징이다. 해남 ● 상동나무 Sageretia theezans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상동나무속 줄기는 비스듬히 눕거나 다른 .. 2016. 12. 5.
갈매나무 Rhamnus davurica, 잎 진 뒤 수형과 열매 갈매나무속의 나무는 관목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갈매나무는 높이 5m에 이를 정도로 갈매나무속 다른 나무에 비해 커서 관목이라기보다는 소교목이라 하는 것이 맞는 게 아닌가 싶다.(국생정에는 관목으로 분류되어 있다.) 태백 지역에서 만난 이 나무는 가지를 벋은 수형이 워낙 튼튼하고 커 보여서 야광나무인가 했는데, 가까이에서 살펴본 줄기와 열매를 확인하고서야 갈매나무임을 알게 되었다. 백석의 시 에서 노래한 "그 드물다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라는 표현에 어울리는 모습이다. 갈매나무는 강원도 이북 백두대간에 분포하는 북방계 나무이다. 밑에서 몇 개의 줄기가 올라와 포기를 만들며 맹아력이 왕성한 관목이다. 2016. 10. 16. 태백 ● 갈매나무 Rhamnus davurica | Davurian Buckthor.. 2016. 10. 30.
갈매나무 Rhamnus davurica 갈매나무는 국생정에서 관목으로 분류되고 있지만 높이 5m에 이르고 수형이 당당하여 관목이라기보다는 소교목이라 하는 것이 맞는 게 아닌가 싶다.(털갈매나무는 높이 2m 정도로 관목상이다) 갈매나무는 강원도 이북 백두대간에 분포하는 북방계 나무이다. 태백 ● 갈매나무 Rhamnus davuric.. 2016. 7. 4.
짝자래나무 Rhamnus yoshinoi 수꽃 잎이 어긋나는 점에서 털갈매나무와 비슷하나 털갈매나무에 비해 잎이 좁고 뒷면에 털이 없다. 암수딴그루로 잎자루에 비해 꽃자루가 길다. 북부지방과 강원도, 지리산까지 백두대간에 분포한다. 설악산 ● 짝자래나무 Rhamnus yoshinoi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갈매나무속 낙엽 활엽 관목.. 2016. 6. 11.
짝자래나무 열매와 수피 Rhamnus yoshinoi 짝자래나무는 충청도 이남의 산 중턱 양지바른 곳에 주로 서식하며 다른 나무 사이에 드문드문 자란다. 갈매나무를 쥐오얏이라 부르는데 이는 중국에서 서리(鼠李)라 부르는 것을 직역한 말이다. 그리고 짝자래나무는 수서리(藪鼠李)라 부른다. 열매가 성기게 달리고 열매 자루가 긴 것.. 2015. 11. 14.
좀갈매나무 Rhamnus taquetii 좀갈매나무는 한라산 고도 1,000m 이상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지표식물로 잎과 가지가 매우 작고 가시가 발달했다. 이는 북부지방과 몽골 등지에 분포하는 돌갈매나무와 비슷한 특징으로, 돌갈매나무는 잎이 마주나지만 좀갈매나무는 잎이 어긋난다. 잎이 어긋나고 뒷면에 털이 나는 점.. 2015. 7. 14.
청사조와 먹넌출 청사조(Berchemia racemosa)는 갈매나무과의 나무로 군산에, 그 변종으로 잎이 큰 먹넌출(var. magna)은 안면도 솔밭에 자라고 있다. 청사조의 잎맥이 7-8쌍인 데 비하여 먹넌출의 잎맥은 10쌍이 넘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 청사조 Berchemia racemosa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망개나무속 여러해살.. 2012. 9. 8.
망개나무(Berchemia berchemiaefolia) 붉은 열매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는 갈매나무과의 나무이다.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수종으로 그 수가 줄어들고 있어서 멸종 위기에 있는 수종이다.  관상가치가 높고 재질도 우수한 나무이며 잘 자라고 열매를 잘 맺으나 자연 상태에서 발생하는 유묘가 거의 없어 번식력이 매우 약한나무로 알려져 있다.      ↓ 2009. 08. 11.  주왕산             ● 망개나무 Berchemia berchemiifolia | Korean Berchemia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망개나무속의 낙엽활엽 소교목높이 15m, 직경 40cm까지 자란다. 가지는 붉은갈색이고 작은 껍질눈(피목)이 흩어져 있으며 원줄기는 곧게 자라지만 가지는 늘어지고 나무껍질은 세로로 잘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7~12cm, 나.. 2009. 9. 7.
헛개나무(Hovenia dulcis) 어린나무 ↓ 강원 횡성 어느 민가 헛개나무 Hovenia dulcis | Japanese Raisin Tree Rhamnaceae(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 높이가 10m, 직경 30~40cm에 달하고 동아는 2개의 아린으로 싸여 있으며 털이 있다. 수피는 보통 검은 갈색이다.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점첨두이고 이그러진 아심장저 또는 원저이며 .. 2009. 7. 29.
까마귀베개(Rhamnella frangulioides) 꽃과 열매 까마귀베개는 갈매나무과의 소교목이다. 같은 갈매나무과인 대추나무보다 작은 열매가 달리는데 푸대추나무라 불리기도 하고, 헛갈매나무라고 불리기도 한다. 전남과 전북 등 남도애서 자라고 일본과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홍릉수목원 ※ 까마귀베개 열매 → http://blog.daum.net/kheenn/15.. 2009. 7. 6.
아름다운 까마귀베개 열매 Rhamnella frangulioides 갈매나무과의 소교목 또는 관목으로 열매 또한 망개나무 열매를 연상시킨다. 갈매나무과 나무들이 다 그러하듯 꽃은 보잘 것 없이 작지만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이다. 까마귀가 베개를 삼기에도 작은 열매인데, 노랑에서 빨강, 그리고 까망으로 색깔이 변하며 익는 열매의 모습이 보석처럼 아름답다. 영명도 'Crow's pillow'이다. '푸대추나무', '헛갈매나무'라고도 불리며 따뜻한 남도, 제주 지역에 분포한다. 전남 영광 ● 까마귀베개 Rhamnella frangulioides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까마귀베게속의 낙엽 소교목 높이 약 7m이다. 가지는 갈색을 띠며, 어린가지와 잎자루 및 꽃이삭에 약간의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 길이 6∼12cm, 나비 2.5∼4cm이며 끝이 매우.. 2009. 1. 31.
묏대추나무 Zizyphus jujuba 경남 합천 ● 묏대추나무 Zizyphus jujuba | Common Jujube / 갈매나무과 낙엽활엽소교목 잎은 호생하고 난형(卵形)이며 윤채가 있고 예두 또는 둔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2~6cm, 나비 1-2.5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기부에서 3개의 큰 맥이 발달한다. 엽병은 길이 1-5mm이고 탁엽은 흔히 길.. 2008. 1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