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매나무과26 털갈매나무 Rhamnus koraiensis 남한산성에서 만난 털갈매나무는 잎이 대부분 어긋나기여서 짝짜래나무가 아닐까 싶었다. 갈매나무의 잎이 대개 마주나기하고 짝짜래나무의 잎은 어긋나기한다는 속설이 그리 신뢰할 만한 것은 아닌 듯하다. 갈매나무 열매가 조랑조랑 많이 달리는 데 비해 짝짜래나무는 성기게 달리고.. 2008. 8. 3. 털갈매나무 Rhamnus koraiensis 털갈매나무는 갈매나무과의 한국 특산 관목이다. 잎이 어긋나는 모습이 일반적이어서서 짝자래나무가 아닐까 생각되기도 했다. 남한산 낮은 골짜기 바닥에 떨어진 꽃 ▶ 남한산 9부 능선 ● 털갈매나무 Rhamnus koraiensis| Korean Buckthorn /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관목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 2008. 6. 16. 곰버들(熊柳), 청사조 Berchemia racemosa '곰버들'이란 이름표가 있어서, 버들처럼 생기지도 않았는데 웬 버들일까 해서 찾아보니 '왕곰버들'이란 이름이 검색되어 확인하니 바로 먹넌출이다. 그러고보니 안면도 자생의 먹넌출과 그리 다름없지 않은가... 알아 보니 이 녀석은 '곰버들(熊柳 : くまやなぎ)'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는 원예종이라 한다. 잎이 작고 잎맥이 7쌍 정도인 것을 보면 먹넌출이 아닌, 기본종 청사조(Berchemia racemosa)로 보인다. 서울대공원 ● 청사조 Berchemia racemosa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망개나무속 낙엽 활엽 덩굴 관목 길이 10m. 나무껍질은 검은 녹자색이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상 달걀모양이고 길이와 폭이 각 8 ~ 13cm × 4.5 ~ 7cm로, 끝이 다소 뾰족하며 밑부분.. 2008. 6. 3. 갈매나무 Rhamnus davurica 어둠이 깃드는 남한산 골짜기 입구에서 만난 갈매나무 한 달 뒤의 모습인데, 잎이 훨씬 광택이 나고 길어 보이는 모습으로 변했다. 잎이 주로 마주나는 모습으로 보아 털갈매나무는 아니며 갈매나무이거나 참갈매나무로 보인다. ● 갈매나무 Rhamnus davurica /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 .. 2008. 5. 30. 상동나무 열매 Sageretia theezans 상동나무는 갈매나무과의 반상록 관목으로 남쪽 바닷가 산지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꽃은 양성화로 늦가을인 10∼11월에 5개의 황색 꽃잎으로 피며 가지 끝이나 부근의 잎겨드랑이에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열매는 이듬해 봄에 자줏빛이 도는 검은 색으로 익는다. 2008. 01. 03. 청산도 꽃받침 흔적 ● 상동나무 Sageretia theezans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상동나무속의 반상록 관목 높이는 2m에 달하고 작은 가지에 8개의 모가 난 줄이 있으며 갈색 털이 있고 흔히 끝이 가시로 변한다. 잎은 어긋나고 일부가 겨울을 나며 길이 1∼3cm의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밑 부분이 둥글고 가장자리에는 잔 톱니가 있다. 잎 표면에 광택이 있고 뒷면.. 2008. 2. 1. 청사조 Berchemia racemosa, 꽃과 열매 '먹넌출'이라는 이름표를 단 홍릉수목원의 덩굴나무, 많은 분들이 먹넌출이 아니라 청사조라고 한다 안면도에 자생하는 먹넌출(var. magna)은 청사조의 변종으로 잎맥의 수가 청사조는 7~8쌍, 먹넌출은 13~15쌍으로 구별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청사조로 보는 게 바른 듯하다. 청사조는 갈매나무과 망개나무속의 덩굴나무로 군산 수원지에서 자생하며 희귀종이어서 천연기념물로 보호하고 있다. 지난해의 붉은 열매를 단 채 꽃이 피기 시작한 모습을 담았다. 청사조 꽃 꽃의 가운데에 암술이 하나 있고, 꽃잎처럼 둘러 선 하얀 수술이 5개 보인다. 꽃밥은 갈색에 가까워 보인다. 청사조 열매 ● 청사조 Berchemia racemosa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망개나무속의 낙엽 덩굴식물 길이 10m. 나무껍질은 검은 녹.. 2007. 7. 28. 까마귀베개의 꽃, 열매 Rhamnella frangulioides 까마귀베개는 갈매나무과 까마귀베개속의 소교목으로 '푸대추나무' '헛갈매나무'라고도 한다. 황록색으로 피는 꽃은 아주 작고 볼품 없지만 가을에 익는 열매는 노랑과 빨강의 아름다운 색감을 보이며 까망으로 익는다. 충청도 이남 들에서 나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2007. 07. 08. 홍릉수목원 까마귀베개 꽃 까마귀베개 열매 (2007. 09. 09) 가지와 잎 ● 까마귀베개 Rhamnella frangulioides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까마귀베개속의 낙엽 소교목 또는 관목 높이 약 7m이다. 가지는 갈색을 띠며, 어린가지와 잎자루 및 꽃이삭에 약간의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으로 길이 6∼12cm, 나비 2.5∼4cm이며 끝이 매우 뾰족.. 2007. 7. 20. 대추나무 꽃 Zizyphus jujuba var. inermis 대추나무는 갈매나무과의 소교목으로 유럽 동남부와 아시아 동남부가 원산지이며 대추 열매를 얻기 위해 마을 부근에서 재배한다. 서울 일원동 ● 대추나무 Zizyphus jujuba var. inermis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 대추나무속의 낙엽활엽 교목 나무에 가시가 있고 마디 위에 작은 가시가 다발로 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며 3개의 잎맥이 뚜렷이 보인다. 잎의 윗면은 연한 초록색으로 약간 광택이 나며 잎 가장자리에 잔 톱니들이 있다. 잎자루에 가시로 된 턱잎이 있다. 6월에 연한 황록색 꽃이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짧은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조각·꽃잎·수술은 각각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타원형이고 표면은 적갈색이며 윤이 난다. 외과피(外果皮)는 얇.. 2007. 6. 27. 망개나무 Berchemia berchemiaefolia 조정래의 에선 빨치산들이 연기를 내지 않고 불을 피우는 땔감으로 '맹감나무'가 종종 등장한다. 이 맹감나무는 청미래덩굴의 전라도 사투리로 경상도에선 망개, 또는 망개넝쿨이라고 부른다. 계통상으로는 부추, 파, 선밀나물, 청가시덩굴과 같은 백합과 식물이다. 그런데 '망개나무'라는 이름의 나무가 따로 존재한다. 높이 15m 정도로 자라는 갈매나무과의 큰키나무로 주로 충청북도 산악지대에 분포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보기 힘든 나무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있다. ● 망개나무 Berchemia berchemiaefolia /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의 낙엽교목 높이 약 15m이다. 가지는 붉은빛을 띤 갈색이며 피목이 흩어져 있다. 잎 앞면은 초록색이나 잎 뒷면은 하얀 분을 칠해놓은 것처럼 보인다.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 2007. 1. 9. 대추나무 대추나무 Zizyphus jujuba var. inermis 쌍떡잎식물 이판화군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 대추나무는 유럽 동남부와 아시아 동남부가 원산지이다. 대추나무는 마을 부근에서 재배한다. 나무에 가시가 있고 마디 위에 작은 가시가 다발로 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며 3개.. 2006. 7. 9. 상동나무, 모람, 왕모람(애기모람) ● 상동나무 Sageretia theezans / 갈매나무과의 반상록 관목 높이는 2m에 달하고 작은 가지에 8개의 모가 난 줄이 있으며 갈색 털이 있고 흔히 끝이 가시로 변한다. 잎은 어긋나고 일부가 겨울을 나며 길이 1∼3cm의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밑 부분이 둥글고 가장자리에.. 2006. 1. 1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