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예 조경종680

매발톱꽃과 그 원예종 050509 050511 아침고요수목원 ● 매발톱꽃류 columbine / 미나리아재비과 매발톱꽃속 다년생초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매혹적인 꽃을 보기 위해 몇몇 순종과 많은 잡종들을 심고 있다. 매발톱꽃속 식물의 꽃은 5장의 꽃잎으로 이루어졌는데, 주머니처럼 생긴 거(距)가 꽃잎 뒤로 길.. 2006. 2. 3.
한겨울에 꽃을 피우는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새해를 맞이한 겨울 서귀포, 어느 골목길 민가의 담장 위에 꽃을 피운 비파나무를 만난다. 가지 끝에서 원추꽃차례로 뭉쳐 달린 하얀 꽃은 다섯 장의 꽃잎을 가졌다. 연한 갈색 털이 빽빽이 난 꽃은 작고 소박해 보이지만 향기가 난다. 비파나무는 계절을 거꾸로 사는 아열대의 늘푸른 장미과의 나무이다. 원래 중국 중동부에서 자라던 것이지만 일본으로 도입된 뒤 많은 원예품종들이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다. 늦가을에서 겨울(10~12월)에 꽃을 피우고 여름에 접어드는 6월에 살구 모양으로 노랗게 익은 열매가 달린다. 상큼한 신 맛을 내는 비파 열매는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2006. 01. 05.  제주   data-ke-size="size16">     ●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  .. 2006. 1. 10.
피라칸타 Pyracantha, 열매 피라칸타는 유럽 남쪽에서 중국 서남부에 걸쳐 6종이 자란다.  한국에서는 중국 서남부 원산인 앙구스티폴리아(P. angustifolia)를 흔히 심으며 속명인 피라칸타로 통하고 있다. 근래에는 남유럽에서 아시아 서부 원산인 콕치네아(P. coccinea)와 중국과 히말리야산인 크레눌라타(P. crenulata) 등도 함께 심고 있다.     2006. 01. 05 제주        2006. 01. 03 / 제주      ● 피라칸타 Pyracantha  /  장미목 장미과 피라칸타속 식물의 총칭앙구스티폴리아는 상록관목이지만 중부에서는 겨울에 잎이 떨어지고 가시가 달린 가지가 엉킨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다. 꽃은 5∼6월에 피고 흰색이며 산방꽃차례에 달리고 지름 4.. 2006. 1. 10.
소철 암나무 열매 Cycas revoluta 소철(蘇鐵 Sago palm)은 소철과의 상록 관목으로 중국 동남부와 일본 남부지방이 원산지인 귀화식물이다. 철분을 좋아하며 쇠약할 때 철분을 주면 회복된다는 전설이 있어 소철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암수딴그루이다. 중국명으로는 '철수(鐵樹)'·'피화초(避火蕉)'·'풍미초(風尾蕉)'라고도 한다.    2006. 01. 05  /  제주     소철 열매       ● 소철Cycas revoluta  /  겉씨식물 소철목 소철과 소철속의 상록관목높이는 1∼4m로 원줄기는 잎자루로 덮이고 가지가 없으며 끝에서 많은 잎이 사방으로 젖혀진다. 잎은 1회깃꼴겹잎이다. 꽃은 단성화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으로 8월에 핀다. 수꽃이삭은 원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 50∼60cm, 나비 10∼13cm로서 많은 열매조각으.. 2006. 1. 9.
종려나무 Trachycarpus excelsa 종려나무는 일본 규슈 원산의 야자나무이다. 일본산 종려라는 뜻으로 왜종려라고도 하고, 중국산은 당종려라고 한다. 당종려는 키가 작고 잎이 딱딱하여 밑으로 처지지 않는 점으로 구별된다. 2006. 01. 05 / 제주 ● 종려나무 Trachycarpus excelsa | windmill palm / 야자나무과의 상록교목 가지가 없.. 2006. 1. 9.
카나리아야자 Phoenix canariensis 아프리카 카나리아 제도가 원산지인 대형 야자나무로 제주도에서 가로수로 흔히 심는다. 추위에 견디는 힘이 비교적 강하다. 2006. 01. 05 / 제주 ● 카나리 야자 Phoenix canariensis / 야자나무과의 상록교목 높이 15∼20m, 지름 1m 이상까지 자란다. 잎은 길이 50cm 정도이고 진한 녹색으로 길이가 5.. 2006. 1. 9.
삼잎국화 Rudbeckia laciniata, 겹삼잎국화(키다리꽃)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루드베키아속 여러해살이풀로 잎이 삼(대마)의 잎처럼 갈래가 져 있으므로 삼잎국화라고 한다. 흔히 '키다리꽃'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던 꽃이다. 겹삼잎국화는 겹꽃이 피는 삼잎국화의 변종으로 좀더 흔하게 민가 주변에 심어 기른다.    ● 삼잎국화 Rudbeckia laciniata         ● 삼잎국화 Rudbeckia laciniata | golden glow  ↘  국화과 원추천인국속(루드베키아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윗부분에서 3∼5개의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가 1∼3m에 달하며 털이 없고 분처럼 흰색이 돈다. 잎은 어긋나고 깃 모양으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5∼7개이고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고 잎자루가 길다. 줄기 위로 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지고 .. 2005. 12. 19.
아로니아(레드초크베리) 열매 Aronia arbutifolia 아로니아는 영명이 초크베리(choke-berry)로 열매가 건강 식품으로 알려지며 '킹스베리(King's Berry)'라고도 불린다. 흰 꽃과 붉은 열매가 아름다워 관상용으로도 역시 재배된다. 종에 따라 열매가 세 가지 색깔이 있는데 붉은 열매가 달리는 것을 '레드 초크베리(Aronia arbutifolia)', 검은 열매가 달리는 것을 '블랙 초크베리(Aronia melanocarpa)', 두 종의 교잡종으로 보라색 열매가 달리는 것을 '퍼플 초크베리(Aronia prunifolia)'라 부른다. ● 아로니아 Aronia arbutifolia(이명 Photinia pyrifolia) | Red chokeberry / 장미목 장미과 아로니아속의 낙엽 관목 높이는 2~3미터이며, 잎은 가지에 어긋나고 타원.. 2005. 11. 28.
네군도단풍 열매 Acer negundo 양재천을 거닐다, 열매가 참 재미있게 달린 모습에 카메라를 '들이댔'습니다. 햇살 잘 받는 쪽에 아직 잎새가 남아 있어 잡아봤습니다. 알아보니, 이 나무는 북아메리카가 고향이라네요. 단풍나무과에 속하는 큰키나무인데, 정원수나 가로수로 많이 심는다고 합니다. 개척기에 백인들이 .. 2005. 11. 23.
깨꽃(샐비어) Salvia splendens 브라질 원산의 꿀풀과 한해살이풀(원산지에서는 여러해살이풀). 열매 겉모양이 깨와 비슷하여 깨꽃이라 하였으며 여러 가지 변종이 있다.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한다. 꽃말은 '지혜' ● 깨꽃(샐비어) Salvia splendens / 꿀풀과 줄기는 곧게 자라며 가지를 많이 치고 높이 60-90cm, 밑부분은 나무.. 2005. 11. 22.
우선국(뉴욕아스터) Aster novibelgii 북아메리카 원산의 국화과 원예종으로, 국내에서는 관상용으로 전국에 재배하였으며 그 일부가 귀화하였다. 아파트나 공원 화단에 많이 심는데, 서늘하고도 화려한 보랏빛 꽃이 아름답다.           ● 우선국 Aster novibelgii | New York Aster  /  국화과 참취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70㎝ 정도로 자라고 많은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기이고 아래는 잎자루가 있으나 그 외에는 모두 잎자루가 없다. 잎새는 피침형 또는 긴타원피침형이며 톱니가 없거나 날카로운 톱니가 살짝 나 있다. 꽃은 8~10월에 피며 두화 지름이 25㎜ 정도로 여럿이고 산방꽃차례이다. 총포는 반구형, 갈래조각은 선형으로 3~4열로 펼쳐지며 밖의 것은 뒤로 젖혀진다. 혀꽃은 15~25개 정도로 자주색 갓털은 백.. 2005. 11. 22.
한련화 Tropaeolum majus 한련화는 멕시코와 페루 등 남아메리카 원산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유럽에서는 승전화(勝戰花)라고 하며 화분과 화단에 심는다. ● 한련화(旱蓮花) Tropaeolum majus | Nasturtium / 한련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높이는 60cm 정도, 길이는 1.5m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거의 둥글며 긴 잎자루 끝에 방.. 2005. 11. 22.
천일홍 Gomphrena globosa 열대 아메리카 원산으로 비름과의 풀이라고 하는데, 비름이 잘 연상되지 않는다. 여름을 지나 가을에 피는 꽃이 보라색, 붉은색, 연한 홍색, 흰색 등으로 다양하다는데 아래처럼 보라색 꽃이 대부부분인 듯하다. 꽃색이 오랫동안 변하지 않으므로 천일홍이라고 부른다. ● 천일홍 Gomphrena .. 2005. 11. 22.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가을 기운이 느껴지는 8월부터 피우는 작은 꽃이 꼬마나팔꽃이라고나 할까? 그래서 영명은 small-red-morning-glory.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잎은 심장 모양 원형으로 둥글고 갈라지지 않기 때문에 둥근잎유홍초라고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심.. 2005. 11. 21.
빈카(일일초 또는 매일초) Vinca rosea 꽃이 매일 핀다해서 매일초라 하는데, 일일초 또는 빈카라 부르기도 한다. 마다가스카르·자바섬·브라질 등이 원산지이인데, 그곳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나 우리나라에서는 기후 조건으로 인하여 한해살이풀에 속한다. ● 매일초 Vinca rosea | Madagascar periwinkle / 협죽도과의 한해살이풀 높.. 2005.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