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038

큰뱀무 Geum aleppicum ● 큰뱀무 Geum aleppicum /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100cm이고 전체에 옆으로 퍼진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길고 2∼5쌍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밑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고, 끝이 달린 작은잎은 네모난 달걀 모양이거나 둥글며 길이.. 2006. 6. 29.
6월 11일, 대모산 언덕 2006. 06. 11 일요일 늦은 오후 대모산 언덕 큰뱀무 솔나물 갈퀴나물 꿩의다리 털중나리 김의털? 쇠채 산해박 엉겅퀴 대모산 특유의 개망초 꽃색이 연두빛이 감돌고, 잎은 톱니가 거의 없고 둥글다. 봄망초 멍석딸기 제초제 맞은 밀나물 꽤 많은 시간이 지났지만 후유증을 앓고 있다. 2 미터 정도의 덩굴이.. 2006. 6. 29.
갈풀 Phalaris arundinacea 멀리서 보면 갈풀과 산조풀의 이미지가 비슷하게 보이는데, 갈풀의 열매는 산조풀에 비해 훨씬 통통하고 산조풀의 열매는 가늘고 길어 비교된다.     2006. 06. 11.  양재천               ● 갈풀 Phalaris arundinacea  /  벼과 갈풀속의 여러해살이풀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번식하며, 줄기는 높이 70∼180cm로 곧게 자란다. 잎몸은 길이 20∼30cm, 나비 12mm 정도이고 까실까실하다. 잎집은 막질이며 3∼4mm이다. 꽃은 6월에 이삭 모양의 원추꽃차례로 가지 끝에 피며 길이는 10~17cm이고 엷은 녹색이다. 잔가지에 잔이삭이 빽빽이 달리는데, 잔이삭은 길이 4∼5mm이며 좌우로 납작하고, 가운데에 완전한 꽃이 1개 있다. 포영(苞穎)은 막질로 되었고 길이 3.. 2006. 6. 29.
세모고랭이와 송이고랭이 얼핏 보면 세모고랭이와 송이고랭이는 닮았다. 키도 50~120cm로 비슷한데다 줄기는 삼각형의 능선을 가졌고 꽃차례도 줄기를 약간 남긴 지점에 달린다. 그러나 세모고랭이의 줄기 단면이 정삼각형을 이루고꽃이삭이 산방상으로 가지를 치며 달리는 데 비하여 송이고랭이의 단면은 홀쭉한 삼각형으로 날카로운 능선을 이루고꽃이삭이 대가 없이 붙어서 달려 있다. ● 세모고랭이 Scirpus triqueter /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녹색의 원줄기가 1개씩 자라서 높이 50∼100 cm로 된다. 잎은 퇴화하고 잎집으로 되어 원줄기를 감싸며 원대는 삼각형이다. 포는 1개가 원줄기와 연속되어 원줄기같이 보인다. 꽃은 7∼10월에 핀다. 작은이삭은 타원형에서 달걀모양이고 1∼3개씩 모여 달리.. 2006. 6. 29.
개구리자리 Ranunculus sceleratus 미나리아재비속 두해살이풀로 열매가 원통형인 점에서 젓가락나물과 비슷하지만 털이 적고 광택이 나며 여러해살이가 아닌 점에서 구별된다.  논이나 개울 등 습지에서 자란다.         ●개구리자리Ranunculus sceleratus  /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속의 두해살이풀 높이 30∼60cm이다. 털이 없고 광택이 나며 가지를 많이 친다. 뿌리에 달린 잎은 길이 1.2∼4cm, 나비 1.5∼5cm로 모여나고 잎자루가 길며 3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갈라진 잎조각은 다시 2갈래로 갈라지고 둔한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며 3개로 완전히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바소꼴이다. 4∼5월에 노란색 꽃이 피는데, 지름 8mm 정도이며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밑부분에 꿀샘이 있다. 꽃잎은 .. 2006. 6. 29.
석잠풀 Stachys riederi var. japonica 양재천 ● 석잠풀 Stachys riederi var. japonica /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벋고 흰색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30∼60cm이며 횡단면이 사각형이고 모서리를 따라 밑을 향한 센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4∼8cm의 바소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 2006. 6. 29.
갈퀴나물 Vicia amoena '녹두루미라고'도 하는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 덩굴풀이다. 들에서 자란다. 벌완두와 비슷하나 잎의 측맥이 주맥과 예각을 이루는 점에서 지각에 가까운 벌완두와 구별된다. 양재천 대모산 ● 갈퀴나물 Vicia amoena /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땅속줄기를 벋으면서 자라며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80~180cm 정도로 자란다. 줄기를 따라 이어진 선이 있어 줄기는 길이 1∼2m로 능선(稜線)이 있어 네모지며 가늘고 길게 덩굴진다. 잎은 어긋나며 거의 잎자루가 없다. 작은잎은 5∼7쌍이 마주 붙거나 어긋나게 붙으며 끝은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된다. 6∼9월에 총상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서 붉은 자주색의 꽃이 나오고, 꽃자루가 길며 많이 핀다. 화관은 길이 12mm 정도로 나비 .. 2006. 6. 29.
캐나다딱총나무(엘더베리) Sambucus canadensis 캐나다 원산의 딱총나무속 관목으로 ‘미국딱총나무’라고도 한다. 딱총나무(Sambucus racemosa)에 비해 꽃이 산방꽃차례로 달리고 열매가 흑자색인 점이 특징이다. ● 캐나다딱총나무 Sambucus canadensis / 산토끼꽃목 인동과 딱총나무속 높이는 3~4m이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껍질눈이 발달하.. 2006. 6. 29.
가죽나무(가중나무) 암꽃, 수꽃 가죽나무는 암수딴그루인 나무이다. 봄에 꽃이 필 때 암꽃이 피는 나무와 수꽃이 피는 나무가 따로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꽃이 지고 난 뒤 수꽃이 피었던 나무는 잎만 무성히 달고 있는데, 암꽃이 피었던 나무는날개 달린 녹색의 열매가 주렁주렁 달린 모습을 볼 수 있다. 가죽나무 암꽃.. 2006. 6. 29.
긴산꼬리풀 Veronica longifolia ● 긴산꼬리풀 Veronica longifolia / 통화식물목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거나 또는 짧은 털이 흩어져 나고,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는 1m 이상이다. 잎은 마주나거나 3∼4개씩 돌려나기도 하고, 잎자루가 짧으며 달걀 모양의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길이 10cm, 나비 2.2cm 정도이다... 2006. 6. 29.
좁쌀풀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양재천 ● 좁쌀풀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 앵초목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자라고 원줄기는 높이 40∼80cm로서 윗부분에서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잎은 마주달리거나 3∼4개씩 돌려나고 바소꼴 또는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검은 점이 있다. 꽃은.. 2006. 6. 29.
흰말채나무 Cornus alba, 꽃과 열매 층층나무과 층층나무속Cornus의 떨기나무로 북부지방에 자생지가 제한되어 있다(지리산에서도 발견되었다고도...). 흰 꽃이 피는데 꽃이 지고나면 하얀 열매가 조랑조랑 달리므로 흰말채나무라 불린다. 줄기가 많이 발생하는데 잎이 지고난 겨울에 드러나는 붉은 줄기가 눈길을 끈다. 흰.. 2006. 6. 29.
수레국화, 독일의 국화 Centaurea cyanus 유럽 동부와 남부 원산의 국화과 한두해살이풀로 관상용으로 가꾸고 있다. 독일의 국화이며, 꽃말은 '행복감'이다. ● 수레국화 Centaurea cyanus | cornflower /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두해살이풀 높이 30∼90cm이고 가지가 다소 갈라지며 흰 솜털로 덮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밑부분의 것은 거꾸로 .. 2006. 6. 29.
술패랭이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 술패랭이꽃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 중심자목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 서고 높이 30∼100cm이며 여러 줄기가 한 포기에서 모여나는데, 자라면서 가지를 치고 털이 없으며 전체에 분백색이 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4∼10cm, 나비 2∼10mm의 줄 모양 바소꼴로 양끝이 좁으.. 2006. 6. 29.
6월 11일(일)의 양재천 2006. 06. 11 일요일 오후 양재천 술패랭이꽃 수레국화 단풍돼지풀 돼지풀과 함께 번식력과 생명력이 강해 환경 위해 식물로 지목되고 있는 풀이다. 개쇠스랑개비(개소시랑개비) 괭이사초 좁쌀풀 꼬리풀 가죽나무 엘더베리 가시상추 갈퀴나물 좀작살나무 뱀무 큰땅비싸리 개구리미나리 비비추 큰까치수.. 2006.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