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1038 통보리사초 Carex kobomugi 큰보리대가리라고도 하는 사초과의여러해살이풀로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신두리 ● 통보리사초 Carex kobomugi / 벼목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10∼20cm이다. 나무처럼 단단한 땅속줄기는 갈색 섬유로 덮인다. 줄기는 단면이 삼각 모양이고 거칠거칠하다. 잎은 뿌리에서 돋으며 혁질.. 2006. 7. 7. 좀보리사초 Carex pumila 신두리 사구 ● 좀보리사초 Carex pumila / 벼목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높이 10∼25cm이며 뿌리줄기가 길게 옆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에서 줄기가 나온다. 밑부분의 잎집은 짙은 갈색이며 다소 그물같이 갈라진다. 잎은 나비 2∼4mm이고 줄기보다 길다. 꽃은 5∼6월.. 2006. 7. 7. 남천 Nandina domestica 남천촉(南天燭) ·남천죽(南天竹)이라고도 한다. 중국 원산으로 정원수로 심거나 화분용으로 기르고 있다. ● 남천 Nandina domestica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의 상록관목 높이 3m 정도 자란다. 밑에서 여러 대가 자라지만 가지는 치지 않고 목질(木質)은 황색이다. 잎은 딱딱하고 톱니가 .. 2006. 7. 7. 수리딸기 열매 Rubus corchorifolius ● 수리딸기 Rubus corchorifolius / 장미과의 낙엽관목 높이 1m 내외로 자란다. 뿌리에서 싹이 나와 무리를 형성하며 가시가 있고 어린 가지에 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이며 3개의 커다란 맥이 있고 때로는 3개로 갈라진다. 또한 뒷면에 털이 빽빽이 나.. 2006. 7. 7.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조록싸리는 가장 일찍 꽃을 피우는 싸리로 6월이면 개화를 하는데, 타원형으로 둥근 잎 모양과 퉁성하게 달리는 꽃이 매우 아름답다. 한국과 일본에 분포한다. 충남 태안 ●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 장미목 콩과의 관목 높이 2∼3m이며 목재는 연한 녹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세 장의 작.. 2006. 7. 7. 6월 24일, 신두리 사구를 찾아서 6월 23일 금요일 저녁, 전주 홍도주막을 찾아서 토요 휴업일을 앞두고 일행 다섯이 서울을 탈출하여 서해안 고속도로를 타다. 저녁에는 전주에서 막걸리 마시고 다음날은 신두리 사구를 찾는 여행을 나선 것. 막걸리와 푸짐한 안주가 그렇게 '쥑여준다'고 하는 전주 효자동 <홍도주막>을 찾다. 막걸.. 2006. 7. 5. 샤피니아 Petunia hybrida 샤피니아(Surpinia)는 피튜니아(흔히 페튜니아라고 표기하는)의 원예 개량종이다. 남아메리카 원산의 가지과 여러해살이풀로 한국에서는 한해살이풀로 취급된다. 피튜니아는 '담배'를 뜻하는 브라질어인 Petum에서 온 것으로 잎 모양이 담배잎을 닮아서 붙여졌다. 가을까지 오랜동안 꽃이 .. 2006. 7. 5. 펠라르고늄랜디 Pelargonium crispum 'Randy' 펠라르고늄랜디는 엔젤아이랜디(Angeleyes Randy)로 불리기도 하는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 펠라르고늄 Pelargonium / 쥐손이풀과 양아욱속 펠라르고늄의 총칭 그 전에 쥐손이풀속 제라늄으로 취급하였기 때문에 지금도 많은 원예식물이 구(舊)학명인 제라늄으로 불린다. 그러나 제.. 2006. 7. 5. 호랑이발톱바위솔 Sempervivum fimbriatnm 영명은 Hen and Chicks. 속명 Sempervivum은 라틴어 semper(항상)과 vivo 또는 vivus(살아 있다)에서 유래하고 이 식물의 튼튼한 성질에서 비롯된다. 2006. 7. 5. 꽃치자나무 Gardenia jasminoides var. radicans 치자나무는 꼭두서니과의 관목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다. 기본종은 꽃의 지름이 5cm 내외로 크며 홑꽃이지만 원예 품종은 겹꽃으로 개발되어 향기가 강하다. 치자나무와 비슷하나 잎과 꽃이 작으며, 기본 변종은 꽃잎이 만첩으로 천엽치자라고 하지만 모두 같은 변종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2006. 7. 5. 쿠페아 Cuphea hyssopifolia 아메리카 원산의 부처꽃과 관목으로 꽃받침은 긴 통 모양이며 대개 꽃잎 모양이다. ● 쿠페아 Cuphea hyssopifolia / 도금양목 부처꽃과의 관목 반 내한성 관목으로 높이는 60㎝ 정도 자라고 가지가 많이 분지하며 잎은 소형으로 길이는 1.5㎝ 이하로 좁고 길쭉하다. 줄기는 붉은 계통의 갈색이.. 2006. 7. 4. 낮달맞이꽃 Mexican evening primrose 달맞이꽃이 저녁에 피는데 비해서, 낮에 피었다 저녁이면 꽃잎을 닫으므로 낮달맞이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미국 중남부, 멕시코 원산으로 pinkladies, pink evening primrose, Mexican evening primrose 등으로 불린다. ● 낮달맞이꽃 Oenothera speciosa | Mexican evening primrose / 도금양목 바늘꽃과의 여러해살.. 2006. 7. 4. 자귀나무 Albizzia julibrissin 자귀나무는 미모사처럼 수면운동으로 밤중에 잎이 접히는 모습에서 부부의 금실을 상징하는 나무로 합환수(合歡樹)·합혼수·야합수·유정수라고도 한다. 이런 연유로 산과 들에서 자라는 나무를 마당에 정원수로 많이 심었다. 자귀나무라는 이름은 자귀의 손잡이를 만드는데 사용되.. 2006. 7. 4. 연지의 재료, 잇꽃(홍화) Carthamus tinctorius 잇꽃은 국화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로 흔히 홍화(紅花)라고 한다. 엉겅퀴처럼 생긴 꽃은 노란 꽃으로 피었다가 차츰 주황색으로 변하고 마지막에 붉은 꽃으로 변화하는 아름다운 꽃이다. 붉은 꽃에서 천연염료를 얻으므로 홍람(紅藍)이라 부르기도 한다. ● 잇꽃 Carthamus tinctorius .. 2006. 7. 4. 한련화 Tropaeolum majus ● 한련화(旱蓮花) Tropaeolum majus | Nasturtium / 한련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높이는 60cm 정도, 길이는 1.5m로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거의 둥글며 긴 잎자루 끝에 방패같이 달린다. 9개 내외의 맥이 사방으로 퍼지고 잎맥 끝이 다소 파진다. 꽃은 6~7월에 홍색, 주황색, 황색 등으로 잎겨드랑이에.. 2006. 7. 4. 이전 1 ··· 682 683 684 685 686 687 688 ··· 7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