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038

달리아 Dahlia pinnata 달리아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멕시코가 원산지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원예 품종은 300종류가 넘는다. 꽃말은 ‘정열·불안정과 변덕’이다. ● 달리아 Dahlia pinnata /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고구마처럼 생긴 뿌리로 번식한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가지를 잘 치며 털이 없고 녹.. 2006. 7. 4.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단단하고 곧게 서며 높이는 60∼100cm이다. 줄기 끝부분에 있는 털은 짧고 뿌리는 굵다. 잎은 회색 빛이 도는 녹색으로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2∼3회 갈라지는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대개 3개로 갈라지고 톱니.. 2006. 7. 4.
검은눈천인국(루드베키아) Rudbeckia hirta 루드베키아속에 속한 비슷한 두 종, 원추천인국은 한해살이풀로 관상화가 검은색이고 잎 가장자리가 밋밋한데 비해, 검은눈천인국은 여러해살이풀로 관상화가 자갈색이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    2006. 06. 20.  서울      ● 루드베키아 Rudbeckia | cone flower  /  초롱꽃목 국화과 원추천인국속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30여 종이 있다. 대부분이 여러해살이풀이지만 한해살이풀과 두해살이풀도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홑잎 또는 겹잎이다. 꽃은 여름에 노란 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두상화를 이루며 달린다. 설상화는 노란 색이고 때때로 밑 부분이 갈색을 띠며 뒤로 젖혀지는 것도 있다. 관모(冠毛)에 긴 털과 톱니가 있는데, 없는 것도 있다. 흔히 재배하는 종은 다음과 같.. 2006. 7. 4.
풍접초 Cleome spinosa 바람에 한들한들 나부끼는 꽃잎이 나비를 연상시켜서 풍접초(風蝶草)라는 이름이 생겼을까 싶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으로 화단에 심어 기르는 한해살이풀이다. 풍접초속(Cleome) 식물은 신, 구대륙에 모두 분포하는데 아시아 아열대 지역에서도 종종 만날 수 있다. ● 풍접초 Cleome spinosa / .. 2006. 7. 4.
털중나리 Lilium amabile ● 털중나리 Lilium amabile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50∼100cm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윗부분이 약간 갈라지며 전체에 잿빛의 잔털이 난다. 비늘줄기는 길이 2∼4cm, 지름 15∼25mm로 달걀 모양 타원형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 모양이거나 바소꼴이며 길이 3∼7cm, 나비 3∼8mm이다. 둔한 녹색이.. 2006. 7. 4.
백합과의 교배종, 틈나리 Lilium elegans 틈나리는 하늘나리, 날개하늘나리, 중나리, 털중나리, 참나리, 일본의 이우도나리(L. maculatum) 등을 교배하여 얻어진 품종으로 아시아틱계통(Asiatic hybrid), 스카시백합, 엘레간스백합이라고도 한다. 꽃 색깔이 다양하고 꽃이 대부분 위를 향해 피므로 절화 및 유통에 적합하며 촉성 및 억제 .. 2006. 7. 4.
접시꽃 Althaea rosea 접시처럼 넓고 큰 꽃을 피우는 접시꽃. 아욱과의 두해살이풀로 중국 원산이며 촉규화(蜀葵花)라고도 한다. ● 접시꽃 Althaea rosea / 아욱목 아욱과의 접시꽃속 두해살이풀 원줄기는 높이 2.5m에 달하고 털이 있으며 원기둥 모양으로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며 가장자리가 5∼7개.. 2006. 7. 4.
고삼(도둑놈의지팡이, 너삼) Sophora flavescens 고삼(苦蔘)은 도둑놈의지팡이·너삼·뱀의정자나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볕이 잘드는 풀밭에서 잘 자라는데, 한방에서 뿌리를 말린 것을 고삼이라 하여 맛이 쓰고 인삼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신경통·간염·황달 등에 처방한다. 서울 대모산 ● 고삼(.. 2006. 7. 4.
광대싸리 꽃 Securinega suffruticosa ● 광대싸리 Securinega suffruticosa / 대극과의 낙엽 관목 높이 3~4m의 관목이지만 10m까지 자라는 것도 있다. 가지는 끝이 밑으로 처지고 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막질이며 타원형이다. 잎은 길이 2∼6cm, 나비 12∼25m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앞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잎자루는 .. 2006. 7. 3.
솔나물 Galium verum var. asiaticum 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잎이 솔잎을 닮아서 솔나물이라 한다. 초여름에 피는 노란 꽃에서 강한 향기가 나는 방향성 식물이다. ● 솔나물 Galium verum var. asiaticum / 용담목 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높이 70∼100cm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 2006. 7. 3.
댕댕이덩굴 Coculus trilobus 댕댕이덩굴은 황해도 이남의 들판이나 숲가에서 자라는 방기과(새모래덩굴과) 댕댕이덩굴속의 덩굴성 나무이다. '댕강덩굴'이라고도 한다. 줄기가 목질화되므로 풀이 아닌 나무로 분류된다.     2006. 06. 17.  대모산             ● 댕댕이덩굴 Coculus trilobus  /  미나리아재비목 방기과 댕댕이덩굴속 낙엽활엽 덩굴식물줄기는 3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줄기와 잎에 털이 있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길이 3∼12cm, 나비 2∼10cm로서 3∼5맥이 뚜렷하다.꽃은 양성화로 6월에 황백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원추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꽃받침조각과 꽃잎 및 수술은 각각 6개이며 암꽃은 6개의 헛수술과 3개의 심피(心皮)가 있다.. 2006. 7. 3.
마 Dioscorea polystachya 백합목 마과 마속의 여러해살이 덩굴풀이다. 마는 마속의 다른 자생종과는 달리 다육질의 곧추 뻗는 뿌리가 있고다. 참마와 함께 잎겨드랑이에 살눈(구슬눈)이 달리는 등 비슷한 모양이지만 잎자루에 자줏빛이 도는 점으로 구별된다. 우리나라 전역에 재배하거나 자라며, 인도, 중국, 일본, 타이완 등에 분포한다. 뿌리는 식용 및 약용한다.     2006. 06. 17.  대모산       ● 마 Dioscorea polystachya  /  백합목 마과 마속의 덩굴 숙근성 여러해살이풀식물체에 자줏빛이 돌고 뿌리는 육질이며 땅 속 깊이 들어간다. 품종에 따라 긴 것, 손바닥처럼 생긴 것, 덩어리 같은 것 등 여러 가지이다.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며 잎밑은 귀 모양의 심장형이며, 잎자루는 잎맥과 더불어 자줏빛이 돌고.. 2006. 7. 3.
좁쌀풀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좁쌀풀은 앵초과 까치수염속(리키마시아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까치수염류들은 흰 꽃이 피지만 참좁쌀풀과 좀가지풀은 노란 꽃이 피는 점에서 좁쌀풀과 좀 더 유사한 모습이다. 2006. 06. 17. 서울 대모산 ● 좁쌀풀 Lysimachia vulgaris var. davurica / 앵초목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 햇볕이 잘 드.. 2006. 7. 3.
큰까치수염 Lysimachia clethroides ● 큰까치수염 Lysimachia clethroides / 앵초목 앵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볕이 잘 드는 풀밭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길게 자라고,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가 50∼100cm이고 원기둥 모양이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고 밑 부분이 붉은빛을 띤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며 길이가 .. 2006. 7. 3.
쉬땅나무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 쉬땅나무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 장미과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 2m에 달하며 뿌리가 땅속줄기처럼 벋고 많은 줄기가 한 군데에서 모여나며 털이 없는 것도 있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13∼25개이고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며 겹톱니가 있고 잎자루에 털이 있다. 꽃.. 2006.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