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iola42

겨울에 핀 왜제비꽃 Viola japonica 1월 중순 월동하는 잎을 단 채 꽃을 피운 왜제비꽃이다. 추자도 ● 왜제비꽃 Viola japonica | Japanese violet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근경이 짧다. 잎은 모여나기하며 달걀모양, 삼각상 좁은 달걀모양 또는 넓은 달걀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이 심장저 또는 얕은 심장저이고 길이 2-5cm, 폭 1.5-3.5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과 엽병 윗부분에 털이 있거나 없다. 여름철의 잎은 길이 8cm이고 엽병은 길이 2-8cm로서 윗부분에 날개가 있다. 화경은 높이 6-12cm이며 보통 털이 없고 꽃은 4월에 피며 연한 자주색 또는 자주색이고 꽃받침조각은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5-7mm로서 끝이 뾰족하고 부속체는 타원형으로서 때로는 둔한 톱니가 있다... 2017. 3. 13.
뫼제비꽃 Viola selkirkii 보통 높은 산 깊은 숲 속에 자라며, 잎은 잎밑이 항아리형에 가까운 심장형으로 꽃이 필 때 잎은 작은 편이고, 잎 양면에 털이 드문드문 나 있다. 꽃은 흰색에 가까운 연보라~ 보라색이다. 곰배령 ● 뫼제비꽃 Viola selkirkii | Great-spurred Viol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없다. 기는줄기는 가늘고 길다. 잎은 뿌리에서 2-3장이 모여 나며, 달걀모양 심장형으로 길이와 폭이 각각 2-3cm이지만 꽃이 핀 후 조금 더 커진다. 잎 양면에 털이 조금 난다. 잎자루는 길이 3-10cm이다. 꽃은 4-5월에 피며 길이 5-8cm의 꽃줄기 끝에 1개씩 피며, 연한 자주색, 또는 보라색이다. 꽃잎은 5장이며, 길이 1.5-1.7cm, 입술꽃잎에 자주색 줄이 있고,.. 2016. 4. 26.
민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f. glaberrima 졸방제비꽃(Viola acuminata)과 같으나 꽃잎 안쪽을 제외한 전체에 털이 없는 품종(f. glaberrima)이 민졸방제비꽃이다. 남한산성 ● 민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f. glaberrima | Glabrous-acuminate violet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다년초 높이는 20∼40cm이다. 전체에 털이 약간 있고 여러 대가 한 곳에서 나온다. 잎은 어긋나며 삼각형꼴의 심장 모양이다.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턱잎에 빗살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원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꽃줄기가 나와 백색 또는 연한 자줏빛이 도는 꽃이 옆을 향해 달린다. 꽃잎 안쪽에만 털이 있다. 포(苞)는 꽃줄기 위쪽에 달리고 줄 모양이다. 2015. 5. 27.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졸방제비꽃은 줄기가 곧게 서서 자라나는 제비꽃으로 산기슭 양지에서 자란다. 콩제비꽃과 비슷한 모양이지만 꽃과 잎 줄기 등이 훨씬 크다.  털이 꽃잎 안쪽에만 있는 것을 민졸방제비꽃(for.glaberrima)이라 한다.    2015. 05. 16      ●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의 여러해살이풀 무더기로 자라서 높이 20∼4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털이 다소 있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상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턱잎에 빗살 같은 톱니가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연한 자줏빛이 돈다. 포는 꽃줄기 윗부분에 달리고 선형이다.부속체는 반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끝이 오목하다. 꽃잎은 측편 안쪽에 털이 있다. 꿀주머니는 둥근.. 2015. 5. 21.
금강제비꽃 Viola diamantiaca 고깔제비꽃 비슷하지만 잎 양쪽이 말리고 꽃이 희며 땅속줄기가 있는 것이 다르다. 금강제비꽃이란 국명은 금강산에서 처음 알려진 데서 유래한다. 강원도와 경기도 이북 고산지대에 자생하며 자생지 및 개체수가 풍부한 편이다 천마산 ● 금강제비꽃 Viola diamantiaca | Geumgang violet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는 굵고 옆으로 길게 뻗으며 꾸불꾸불하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뭉쳐나며 원줄기가 없고 심장형으로 잎자루와 더불어 길이 6.5∼10cm, 나비 6∼11cm로 끝이 점점 뾰족해진다.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하고 털이 있다. 잎자루에 털이 있고 길이 8∼21cm로 위쪽에 자줏빛의 반점이 있다. 꽃은 폐쇄화이고 6월에 자줏빛으로 피며, 꽃대는 가운데에 .. 2015. 5. 8.
잔털제비꽃 Viola keiskei 둥근털제비꽃(Viola collina)에 비해 꽃이 희고 열매는 난상 타원형으로 꽃받침과 함께 털이 전혀 없지만 잎자루와 꽃대에 잔털이 많다. (둥근털제비꽃은 꽃이 자주색이고, 열매는 둥글며 겉에 털이 매우 많다.) 중부 이남과 일본에 분포한다. 천마산 ● 잔털제비꽃 Viola keiskei | Short-hair violet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원줄기가 없고 전체에 털이 있다. 뿌리에서 잎이 돋는다. 잎은 밑동에 밀생하며 난상 원형이고 끝이 둥글거나 둔두이며 깊은 심장저이고 길이와 폭이 각 5-6cm로서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20cm 정도이고 짧은 털이 밀생하며 탁엽은 피침형으로 엽병 밑동에 붙는다. 4월에 잎 사이에서 길이 5-10cm의 화경이 나와 그 끝에 옆으.. 2015. 5. 8.
흰젖제비꽃 Viola lactiflora 아래입술꽃잎에만 자주색 줄이 있을 뿐전체가 흰젖처럼 하얀 꽃잎, 이등변 삼각형을 연상시키는 잎, 날개 없는 잎자루... 흰젖제비꽃을 설명하는 세 가지 특징이다. 국생정에는 "왜제비꽃과 흰제비꽃의 중간형"으로 특징을 기재했는데 두 종과의 연관성은 그다지 있어 보이지 않는다. 흰젖제비꽃의 분포지와 왜제비꽃의 분포지의 상관성이 별로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그 외에도 옆꽃잎 안쪽에 털이 있고, 꿀주머니가 짧지만 이는 흰젖제비꽃의 특징만은 아니다.    2015. 04. 26.        ● 흰젖제비꽃 Viola lactiflor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없다. 뿌리는 흰색이다. 잎은 모여 나며, 삼각상 긴 타원형, 길이 6-12cm, 폭 2-3cm,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2015. 4. 30.
민둥뫼제비꽃, 태백제비꽃, 잔털제비꽃, 고깔제비꽃, 알록제비꽃, 털제비꽃 천마산에서 만나는 제비꽃 6종 민둥뫼제비꽃 Viola tokubuchiana var. takedana 태백제비꽃 Viola albida 잔털제비꽃 Viola keiskei 고깔제비꽃 Viola rossii 털제비꽃 Viola phalacrocarpa 알록제비꽃 Viola variegata 2015. 4. 13.
털제비꽃(대관령) Viola phalacrocarpa 털제비꽃은 전체에 잔털이 촘촘히 나는 제비꽃으로 꽃색은 붉은 빛이 도는 자줏빛이며 잎과 꽃줄기에도 붉은빛이 감돈다. 주로 양지쪽 산언덕에서 자란다. 왜제비꽃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데, 왜제비꽃은 잎자루가 길고 꿀주머니가 훨씬 가늘다. 전체에 털이 거의 없는 것을 민둥뫼제비꽃(for. glaberrima)이라고 한다. 2013. 05. 17. 대관령 ● 털제비꽃 Viola phalacrocarp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난형 또는 좁은 난형이고 길이 1-3cm, 폭 0.8-2.5cm로서 얕은 심장저이며 과시(果時)에는 길이가 8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엽병은 길이3-10cm이지만 과시에는 길이 20cm이고 위쪽에 좁은 날개가 있다. 줄기는 없으며 근경이 짧고 다소 총생하.. 2014. 5. 19.
금강제비꽃 Viola diamantiaca 금강제비꽃은 잎밑이 위로 말리는 특징이 있어 고깔제비꽃을 연상시키기도 하지만 고깔제비꽃처럼 도르르 말리기보다는 살짝 접히는 수준이다.  금강산·오대산 등 백두대간을 따라 분포하는 금강제비꽃이 천마산에 자생하는 것은 처음 발견한다.     2014.  천마산          ● 금강제비꽃 Viola diamantiac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땅속줄기는 굵고 옆으로 길게 뻗으며 꾸불꾸불하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뭉쳐나며 원줄기가 없고 심장형으로 잎자루와 더불어 길이 6.5∼10cm, 나비 6∼11cm로 끝이 점점 뾰족해진다.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하고 털이 있다. 잎자루에 털이 있고 길이 8∼21cm로 위쪽에 자줏빛의 반점이 있다. 꽃은 폐쇄화이고 6월에 자줏빛으로 피며.. 2014. 5. 11.
민둥산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졸방제비꽃은 가장 늦게까지 꽃을 피우는 제비꽃에 속한다. 6월에 접어든 민둥산 정상 가까운 능선에는 졸방제비꽃이 제철을 맞은 듯 환하게 꽃을 피우고 있다. 볕이 잘 드는 곳에는 흰 꽃이, 그늘이 짙은 숲에는 연한 자줏빛이 도는 꽃이 또렷한 색감 대비를 이루며 피고 있다.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털이 꽃잎 안쪽에만 있는 것을 민졸방제비꽃(for. glaberrima)이라 한다.     2012. 06. 02.  민둥산          ●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무더기로 자라서 높이 20∼40cm이고 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털이 다소 있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상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턱잎에 빗살 같은 톱니가 있다. .. 2012. 7. 6.
천마산의 태백제비꽃 Viola albida 천마산에서 만난 태백제비꽃. 태백제비꽃은 남산제비꽃의 기본종이다. 말하자면 남산제비꽃(var. chaerophylloides)은 태백제비꽃의 잎이 잘게 갈라지면서 만들어진 변종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지에서 자생한다. 2012. 04. 28. 천마산 ● 태백제비꽃 Viola albid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25cm이다. 뿌리는 여러 갈래로 갈라진다. 뿌리에서 잎이 뭉쳐나며 잎자루가 길다. 잎은 달걀꼴 삼각 모양이거나 긴 달걀 모양이며 길이 4.5∼12cm, 나비 2.5∼10.5cm에 끝이 뾰족하고 밑은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안으로 휜 톱니가 있다. 날개 모양의 턱잎이 나며 잎자루는 길다. 꽃은 4∼5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향기가 있고 잎 사이에서 나온.. 2012. 5. 11.
둥근털제비꽃, 이른봄 가장 먼저 피는 제비꽃 둥근털제비꽃(Viola collina)은 가장 이른봄에 꽃을 피우는 제비꽃이다. 봄햇살이 따스하게 느껴지는 산 등성이에서 3월 중하순이면 벌써 연한 하늘색의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잎이 둥글고 전체에 잔털이 가득 나 있어 둥근털제비꽃이라 부른다. '둥근털오랑캐꽃', '근채'라고도 한다. 영명은 Hill violet. 산지의 양지나 반음지의 물 빠짐이 좋은 곳에 잘 자란다.' 꽃대가 짧아 잎보다 아주 낮은 모습으로 꽃을 피우지만, 더러 잎이 자라지 않고 꽃을 피우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잎은 전부 뿌리줄기에서 돋고 심장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이 필 때까지는 키가 낮지만 꽃이 지고나면 잎이 훌쩍 자란다. 꽃이 필 때의 잎은 길이 2∼3.5cm, 잎자루는 길이 3∼10cm이지만 열매를 맺을.. 2012. 4. 30.
털제비꽃 Viola phalacrocarpa 털제비꽃은 전체에 잔털이 촘촘히 나는 제비꽃으로 꽃색은 붉은 빛이 도는 자줏빛이며 잎과 꽃줄기에도 붉은빛이 감돈다. 주로 양지쪽 산언덕에서 자란다. 왜제비꽃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데, 왜제비꽃은 잎자루가 길고 꿀주머니가 훨씬 가늘다. 전체에 털이 거의 없는 품종을 민둥제비꽃(for. glaberrima) 이라고 한다. 청계산 유명산 ● 털제비꽃 Viola phalacrocarpa ↘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전체에 잔털이 난다. 잎은 무더기로 나고 퍼진 털이 나며 긴 달걀 모양으로서 길이 1∼3cm, 나비 0.8∼2.5cm이다. 잎 밑은 심장 모양이며 잎자루는 길이 3∼10cm이다. 열매가 익을 무렵에 자라는 잎은 길이 약 8cm이며 잎자루는 길이 약 20cm이다. 꽃은 4∼.. 2012. 4. 28.
잔털제비꽃(Viola keiskei) 씨앗, 잎 표면의 잔털 ↓ 2011. 09. 04.  천마산 2011. 10.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