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Viola42

알록제비꽃 여름 잎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국내 제비꽃속 식물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잎을 가진 종이다. 전국의 야산이나 높은 산 임도변 등지의 산비탈 절사면에 주로 자란다. 청알록제비꽃은 잎 뒷면에 자주빛이 돌지 않는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자주알록제비꽃 Viola variegat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잎은 뿌리에서 나오고 길이와 폭이 각 2.5-5cm로서 달걀모양, 넓은 타원형 또는 심원형이며 둔두 또는 원두이고 심장저이며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지만 잎맥을 따라 백색무늬가 있고 뒷면은 자주색이다. 엽병은 길이 2-5cm이지만 긴 것은 길이 15cm 이상인 것도 있다. 5월에 높이 1-10cm인 몇 개.. 2024. 6. 27.
5월 하순의 노랑제비꽃 Viola orientalis 축령산 정상 가까운 능선길 음지에는 철 늦은 노랑제비꽃이 피어 있어서 담아 보았다. 줄기도 높아지고 잎도 넓어졌는데 대부분 씨방을 맺은 채 한 송이 작은 꽃이 홀로 피어 있는 모습이 독특한 정감을 준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 북부지역, 러시아 극동지역 등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5. 20.  남양주 축령산      ● 노랑제비꽃 Viola orientalis | Golden violet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높이 10~20cm이고 줄기는 가늘며 잎은 제외하고는 털이 거의 없거나 잔털이 약간 있다. 땅속줄기가 거의 곧추서며 근경은 밑으로 뻗는다. 근생엽은 심장형이고 폭과 길이가 각각 2.5~4cm로서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엽신보다 3~5배 .. 2024. 5. 26.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비교적 늦은 시기인데도 임도 주변에는 졸방제비꽃이 흔하게 보인다. 흰 꽃도 있지만 자부색 꽃들이 더 흔해서 시각적으로 더 아름답게 느껴진다. 줄기는 곧추서며 여러 대가 밑에서 올라오는데 지상부의 줄기가 곧추서는 점에서 줄기가 비스듬히 눕는 낚시제비꽃과 구별된다. 꽃잎 안쪽을 제외한 식물체 전체에 털이 거의 없는 것을 민졸방제비꽃 (for.glaberrima)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 저지대와 산간 지역의 낙엽성 숲 가장자리 초지의 약간 축축하며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 Long-stem Violet  ↘  제비꽃목 제비꽃과.. 2024. 5. 23.
털제비꽃 Viola phalacrocarpa 고향의 묵은 뽕밭에 들렀다 그늘진 산언덕에 무리를 이룬 털제비꽃을 만난다. 양지를 좋아하는 제비꽃인데 음지에서 자란 모습이 털이 없어진 흰털제비꽃 느낌이다. 털제비꽃은 예전 '이시도야제비꽃'이라 불리기도 했던 제비꽃이다. 왜제비꽃(V. japonica)에 비해 전체에 짧은 퍼진 털이 있고 잎은 난형이며 삼각형으로 되지 않는다. 전체에 전혀 털이 없는 것을 민둥제비꽃(for. glaberrima)이라 한다. 산지나 구릉지의 양지에 난다.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4. 13.  합천 가회   고깔제비꽃    ● 털제비꽃 Viola phalacrocarp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뿌리줄기는 짧다. 줄기는 없다. 잎은 난형, 길이 1-3cm, 폭 .. 2024. 4. 19.
흰젖제비꽃(Viola lactiflora) 유사종 / 흰들제비꽃과 근연종 검색표 집 주변 논언덕 아래 축축한 땅과 산지 가장자리 들로 이어진 땅에서 발견되는 제비꽃이다. 잎자루에 날개가 없고 이등변 삼각형인 잎 모양으로 흰젖제비꽃이 떠오르는 모양이다. 그러나 아래입술꽃잎만이 아니라 꽃잎 전체에 청보랏빛 줄무늬가 선명하고, 잎 밑쪽이 위로 말려 있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흰제비꽃'으로 오동정되고 아마추어 연구가들에 의해 '들제비꽃', '유명제비꽃' 등으로 불려지기도 하는 흰들제비꽃(Viola betonicifolia var. albescens)과도 유사하지만, 흰들제비꽃에 비해 잎이 훨씬 크고 잎자루에 날개가 없다.    2024. 04. 13-14.  합천 가회       ● 흰젖제비꽃 Viola lactiflor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뿌리는 흰색이다... 2024. 4. 17.
제비꽃 Viola mandshurica 낮은 산 등성이 볕이 잘 드는 곳에 드문드문 자라나 꽃을 피웠다. 긴 잎자루에 달린 잎이 두어 개로 잎자루 위쪽에 날개가 있고 꽃줄기따라 곧게 서며, 자주색으로 꽃을 피우고 옆으로 달리는 꽃잎에 털이 있는 점 등이 다른 제비꽃 종류와 뚜렷이 구별되는 특징이다. 중국 이름은 '동북근채(东北堇菜)'이다. 산이나 들의 양지바른 땅에서 흔히 자란다. 우리나라의 중부 이남과 제주도, 중국, 일본, 러시아 동시베리아 등에 분포한다. 2024. 04. 13. 합천 가회 ● 제비꽃 Viola mandshuric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없다. 근경은 길이 3-10mm이며 암갈색의 뿌리가 있다. 지상경이 없이 뿌리잎이 뭉쳐 난다. 뿌리에서 긴 엽병이 있는 잎이 모여난다. 잎은 피침형이며 둔두이.. 2024. 4. 17.
호제비꽃 Viola yedoensis 고향 집 마당과 주변 산에서 만난 호제비꽃이다. 제비꽃과 비슷하지만 잎은 삼각상 긴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며 전체에 털이 많고 잎자루 위쪽에 날개가 없으며, 곁꽃잎에 털이 없는 점으로 구분된다. 산야의 햇볕이 잘 드는 풀밭, 민가 주변 빈터에서 흔히 자란다.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2024. 04. 12. 합천 가회 ● 호제비꽃 Viola yedoensis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짧은 털이 밀생한다. 근경은 짧다. 잎은 삼각상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절저 예저 또는 다소 심장저이며 가장자리에 물결모양의 톱니가 있고 길이 3~6cm, 폭 1~2cm이지만 과시에는 길이 8cm, 폭 3cm에 달한다. 엽병은 잎보다 짧고 길이는 2~5cm이지만 때로는 15cm에 달하는 .. 2024. 4. 17.
고깔제비꽃 Viola rossii 등산로를 따라 조경용 산수국을 심는 바람에 땅이 뒤집혀지고 자생하는 생명들이 시련을 받고 있다. 고깔제비꽃이 무성하게 자라던 곳에 겨우 몇 개체만 자라나 가녀린 꽃을 피웠다. 꽃이 필 무렵 잎이 고깔 모양처럼 둥글게 말려 있다가 펼쳐지므로 고깔제비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중국 이름은 '요녕근채(辽宁堇菜)'. 금강제비꽃은 잎이 말린 모습이 비슷하지만 흰 꽃이 핀다. 우리나라 전역 산지 숲속 부식토가 많은 곳에 자란다. 우리나라, 일본,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 등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4. 06.  서울   고깔제비꽃 꽃받침, 뒤는 털제비꽃     ● 고깔제비꽃 Viola rossii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근경이 굵으며 마디가 많고 뿌리에서 2~5개의 잎이 나오며 꽃.. 2024. 4. 7.
왜제비꽃 Viola japonica 아파트 화단에 왜제비꽃이 무리를 지어 청보랏빛 꽃을 피우고 있다.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서울에는 화단이나 공원 등에서 종종 서식하는 것이 발견된다. 아마도 남부지방에서 가꾼 조경수를 따라 이동된 것이 아닐까 싶다. 모여나는 잎은 달걀 모양 또는 삽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길다. 털제비꽃(V. phalacrocarpa)과 유사하지만, 잎이 사방으로 땅을 향해 비스듬히 눕는 편이고 꽃받침이 녹색인 점으로 구별된다. 2024. 03. 28~ 04. 011. 서울 ● 왜제비꽃 Viola japonic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짧고,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여러 장이 모여 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 길이 2-5cm.. 2024. 4. 4.
둥근털제비꽃 Viola collina 아직 겨울 기운이 채 가시지 않은 산기슭, 3월 중순이면 따스한 봄햇살을 받으며 꽃을 피우기 시작한다. 아마도 가장 빨리 꽃을 피우는 제비꽃일 것이다. 꽃은 대개 연한 자주색이지만 흰색도 있다. 꽃이 지고 나서 달리는 열매는 작고 동그랗다. 아시아 동부에서 중앙아시아를 거쳐 서유럽까지 북반구 아열대~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제비꽃이다. 2024. 03. 16. 연천 2024. 03. 24. 가평 ● 둥근털제비꽃 Viola collina | Hill violet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잎은 모여나기하며 난상 심장형 또는 심장형이고 깊은 심장저이며 끝은 뭉뚝하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길이 2-3.5cm, 폭 2-3cm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가 6cm에 달한다. 엽병은 길이.. 2024. 3. 27.
일록제비꽃, 자주알록제비꽃 철원 숙소(두루웰숲속문화촌) 뒷산을 산책하다 보니 임도와 등산로 주변 곳곳에 알록제비꽃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 꽃이 지고 난 다음에 자라고 있는 것도 있겠고 씨앗이 떨어져 자라난 것들이 함께 옹기종기 자란 것일 게다. 알록제비꽃의 변종인 자주알록제비꽃도 가끔씩 보인다. 제비꽃속(Viola) 중에서 잎 앞면에 얼룩무늬가 있고 뒷면은 붉은 보라색인 점이 특징이다. 잎의 얼룩무늬가 뚜렷하지 않고 꽃이 옅은 자주색인 변종을 자주알록제비꽃(var. chinensis)이라 한다. 2023. 08. 25. 철원 ● 알록제비꽃 Viola variegata ● 자주알록제비꽃 Viola variegata var. chinensis 2023. 9. 1.
장백제비꽃 Viola biflora 노랑제비꽃을 연상시키지만 잎 모양이 완전히 다르다. 남동아시아, 유럽, 북미 등 분포 지역은 넓지만, 고산지대에만 자생하는 제비꽃으로 남한 내에서는 설악산 몇 곳에 극히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희귀종이다. 꽃이 두 송이씩 피는 것인지 종명이 biflora. 영명도 twoflower violet이고 중국명도 双花堇菜(쌍화근채)이다. ● 장백제비꽃 Viola biflora | Arctic yellow violet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5-20cm 정도에 이른다. 줄기는 가늘며 곧게 서거나 비스듬히 자란다. 근경은 가늘고 짧으며 옆으로 뻗고 마디가 밀접해 있으며 수염뿌리가 내린다. 잎은 3-4개이며 엽병은 길이 2-10cm이지만 윗부분의 것은 짧고 날개가 없으며 털이 없다. 탁엽은 녹.. 2022. 7. 6.
흰제비꽃 Viola patrinii 한라산 정상부 가까운 곳에서 만난 흰제비꽃. 제비꽃(Viola mandshurica)에 비해서 높은 산 양지바른 곳에 자라며, 식물체에 대개 털이 거의 없고, 꽃은 흰색으로 조금 늦게 피고 꽃줄기는 가늘고 길며, 흰젖제비꽃(V. lactiflora)과 비교하여 잎이 좁고 잎자루에 날개가 뚜렷하며 아래 꽃잎과 옆 꽃잎에 자주색 줄이 있는 점에서 구별된다. ● 흰제비꽃 Viola patrinii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없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여러 장이 모여나며, 삼각상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2.5~7.0cm, 폭 1~2cm, 밑이 쐐기 모양 또는 자른 모양,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4~10cm로서 잎몸보다 길며, 좁은 날개가 있다. 꽃.. 2022. 5. 24.
낚시제비꽃 Viola grypoceras 5월 중순, 한라산 등반길에서 흔하게 보이는 낚시제비꽃. 서해섬과 남부지방, 제주도 등에 분포한다. 졸방제비꽃에 비해서 꽃자루는 줄기의 잎겨드랑이뿐만 아니라 뿌리줄기에서 직접 나오기도 하는 점이 특징이다. ● 낚시제비꽃 Viola grypoceras | Creeping Korean violet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10~20cm, 몇 개가 비스듬히 자라며, 꽃이 필 때는 높이 30cm에 이르며, 전체에 털이 없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심장형, 길이와 폭이 각각 2~3cm,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턱잎은 피침형, 가장자리는 빗살처럼 갈라진다. 꽃은 4~5월에 뿌리줄기 또는 줄기의 잎겨드랑이에서 난 길이 6~10cm인 꽃자루에 피며, 자주색이다. 꽃받침잎은 길이 5~7mm다.. 2022. 5. 24.
장백제비꽃 Viola biflora 노랑제비꽃을 연상시키는 꽃모양이지만, 잎 모양이 완전히 다르다. 중국, 몽골, 타이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네팔, 유럽, 북미 등 분포 지역은 넓지만, 고산지대에만 자생하는 제비꽃으로 남한 내에서는 설악산 몇 곳에 극히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희귀종이다. 에서는 중국 전역의 2500-4300m의 고산 또는 아고산지대 초지 경사지대, 숲 경계나 암석지대에 분포한다고 적고 있다. 꽃이 두 송이씩 피는 것인지 종명이 biflora. 영명도 twoflower violet이고 중국명도 '双花堇菜'(쌍화근채)이다. ● 장백제비꽃 Viola biflora | Arctic yellow violet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5-20cm 정도에 이른다. 줄기는 가늘며 곧게 서거나 비스듬.. 2019.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