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도과23

왕머루와 개머루 치악산둘레길에서 왕머루와 개머루를 만난다. 산길에서 만난 왕머루는 이미 열매가 영글어가는데 마을 앞에서 만난 개머루는 아직 꽃봉오리 상태로 꽃이 피는 시기에 차이를 보이고 있다. 왕머루 꽃은 5-6월에 피고, 개머루 꽃은 6-7월에 핀다. 꽃차례도 비교된다. 왕머루는 원뿔꽃차례인데 개머루는 취산꽃차례가 뚜렷하다. 개머루 새 줄기에는 털이 유난히 눈에 띈다. 털개머루(f. ciliata)로 보인다. 포도과의 두 종은 각각 머루속(Vitis), 개머루속(Ampelopsis)으로 속명이 다르다. 왕머루는 따서 먹기에 좋은 열매를 단다. 개머루는 보석처럼 아름다운 열매를 달지만 식용에 부적합하고, 전초는 약용으로 더 귀하게 쓰인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왕머루 Viti.. 2024. 6. 27.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열매 담쟁이덩굴들이 마른 잎사귀를 달고 포도처럼 풍성한 열매를 달았다. 동해안에는 가을이 깊었다.  포도과 담쟁이덩굴속의 덩굴나무, 한국을 비롯해서 동아시아 지역이 자생지인데도 영명은 보스턴 아이비(Boston ivy)이다.       2017. 10. 09.  동해              ●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 | Boston ivy  ↘  갈매나무목 포도과 담쟁이덩굴속 덩굴나무 줄기는 덩굴손 잎과 마주나며, 갈라지고, 끝에 둥근 흡착근이 생기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곁뿌리는 잔뿌리로 발달하여 천근성이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달걀형이고 점처두,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 4 ~ 10cm × 10 ~ 20cm로, 끝이 3개로 갈라지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2017. 10. 20.
미국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quinquefolia 북아메리카 원산(멕시코-미국 중동부-캐나다 남동부)의 포도과 덩굴나무. 잎이 3갈래로 갈라지거나 3개의 작은잎이 달리는 자생 담쟁이덩굴과는 달리 5개의 작은잎을 가진 겹잎이 달린다.    2017. 06. 18.  죽전      ● 미국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quinquefolia | Virginia creeper  ↘  갈매나무목 포도과 담쟁이덩굴속 덩굴손은 잎과 마주나며, 끝에 둥근 흡착근이 생긴다. 덩굴손이 갈라져서 끝에 둥근 흡착근이 생기고 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는다. 꽃은 암수한꽃이며 황록색으로 6~7월에 피고, 취산꽃차례는 잎겨드랑이나 짧은 가지 끝에서 자라며 많은 꽃이 달린다. 열매는 구형이며 지름 6~8mm로 검은색이고 백분으로 덮여 있으며, 8월 말 ~ 10월 중순에 성숙.. 2017. 6. 27.
새머루 Vitis flexuosa, 꽃차례 까마귀머루(Vitis ficifolia var. sinuata)에 비해서 잎은 갈라지지 않으며, 잎 뒷면은 잎맥 위와 겨드랑이에만 털이 있으므로 구분된다. 우리나라 황해도와 강원도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 타이완, 네팔, 동남아시아까지 널리 분포한다. 안면도 ● 새머루 Vitis flexuosa | Oriental Grape ↘ 갈매나무목 포도과 포도속 낙엽 활엽 덩굴나무 줄기는 길이 2~5m다. 가지는 가늘며, 능선이 있다. 잎은 홑잎, 덩굴손과 마주나고, 난상 원형 또는 삼각상 난형으로 길이 4~9cm, 폭 3~8cm, 밑이 심장형, 가장자리에 이모양톱니가 있다. 잎 뒷면은 녹색이며, 잎맥 위와 겨드랑이에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2~5cm다. 꽃은 6~7월에 잎과 마주난 길이 4~9cm의 원추.. 2017. 6. 7.
담쟁이덩굴 단풍과 열매 Parthenocissus tricuspidata 담쟁이덩굴은 줄기에 공기뿌리가 자라는데 흡착근(흡반)이 발달하여 담장이나 나무를 잘 타고 오른다. 갈매나무목 포도과에 속하는 덩굴나무이다. 정선 ●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 | Boston ivy ↘ 갈매나무목 포도과 담쟁이덩굴속 덩굴나무 길이 10m. 줄기는 덩굴손 잎과 마주나며, 갈라지고, 끝에 둥근 흡착근이 생기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곁뿌리는 잔뿌리로 발달하여 천근성이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달걀형이고 점처두, 심장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 4 ~ 10cm × 10 ~ 20cm로, 끝이 3개로 갈라지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 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어린 잎자루의 잎은 3개의 소엽으로 된 겹잎으로 잎자루가 잎보다 길다. 꽃은 암수한꽃이며 .. 2016. 10. 14.
까마귀머루 Vitis ficifolia var. sinuata 고향집 우물가 나무를 타고 오르며 무성한 덩굴 가지를 벋어 울타리를 이루었다. 창덕궁에서 보았던 대나무 울타리 '취병(翠屛)'을 떠올리게 하는데, 그보다 더 멋스런 친환경 자연 울타리 아니겠는가! 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지는 모습이 가새잎개머루와 닮았지만, 가새잎개머루에 비해 잎이 작고 갈라진 잎조각의 끝이 뾰족한 가새잎개머루와는 달리 잎조각의 끝이 대체로 둥글어 보이는 점으로 구별된다. 또한 꽃차례도 가새잎개머루가 취산꽃차례인 데 비해 까마귀머루는 포도처럼 원추꽃차례인 점으로도 구별된다. 합천 가회 원뿔꽃차례로 달린 열매 열매가 성숙하지 못한 꽃차례 ● 까마귀머루 Vitis ficifolia var. sinuata | Sinuate mulberry-leaf grapevine ↘ 갈매나무목 포도과 포도.. 2016. 9. 8.
왕머루 Vitis amurensis 이 땅에 자생하는 머루는 흔히 열매를 식용으로 따는 머루, 왕머루 외에 열매가 부실한 새머루, 까마귀머루가 있고, 식용 불가인 개머루가 있다. 보통 머루라고 부르는 나무는 머루와 왕머루인데, 잎의 뒷면에 적갈색 털이 있는 것이 머루이고, 털이 없으면 왕머루이다. 자생지에서 만나는 것은 머루는 귀하고 대부분 왕머루라고 한다. 고향의 계곡 언덕에서 만난 머루도 잎 뒷면에 털이 보이지 않는 점으로 왕머루로 보인다. 경남 합천 가회 ● 왕머루 Vitis amurensis | Amur grape ↘ 갈매나무목 포도과 포도속 덩굴나무 길이가 10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는 뚜렷하지 않은 능선이 있으며 붉은빛이 돌고 어릴 때는 면모로 덮여 있으며, 나무껍질은 암갈색으로 된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달걀모양이고 예두 심.. 2015. 9. 8.
왕머루 Vitis amurensis 왕머루는 산지에서 자라는 포도과의 덩굴 관목으로 산포도라고도 한다. 머루와 비슷한데, 잎 뒷면에 적갈색의 털이 밀생하고 어린 가지에 흰털이 있는 것을 머루(V. coignetiae), 적갈색 털이 밀생하였다가 곧 떨어지는 것으로 울릉도에 자생하는 것을 섬머루(f. glabrescens)라고 한다. 울진 금강소나무숲길 ● 왕머루 Vitis amurensis | Amur grape ↘ 갈매나무목 포도과 포도속 덩굴성 관목 길이가 10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는 뚜렷하지 않은 능선이 있으며 붉은빛이 돌고 어릴 때는 면모로 덮여 있으며, 나무껍질은 암갈색으로 된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넓은 달걀모양이고 예두 심장저이며 끝이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길이 12~2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은 털이 없거나 맥 위.. 2012. 10. 13.
개머루 Ampelopsis brevipedunculata, 열매 개머루는 돌머루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덩굴로 자라는데 높이 약 3m이다. 나무껍질은 갈색이며 마디가 굵다. 잎은 어긋나고 3∼5개로 갈라지며 덩굴손과 마주난다. 6∼7월에 녹색 꽃이 취산꽃차례로 피는데, 양성화로 잔꽃이 많이 달리며 잎과 마주난다. 5개의 꽃잎과 수술이 있고 1개의.. 2011. 12. 13.
개머루(추자도) Ampelopsis heterophylla 잎만 보면 그냥 머루나 왕머루인지 개머루인지 알아보기 쉽지 않은데, 꽃차례를 보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먹을 수 있는 머루는 포도처럼 원뿔꽃차례를 이루지만 개머루는 평평한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물론 개머루는 열매가 익으면 푸른 보랏빛을 띠어서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추자도 .. 2011. 9. 30.
'아름다운 매력', 담쟁이덩굴의 꽃과 열매 여름 동안 무성한 푸른 잎으로 담장이나 암벽을 뒤덮어 장식하던 담쟁이덩굴은가을이 되면 불타는 듯한 아름다운 단풍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그래서 일까, 담쟁이덩굴의 꽃말은 '아름다운 매력'이다. 3층 건물 정도는 예사로 타고 오를 정도로 덩굴은 길게 벋고 잎과 마주나.. 2010. 10. 15.
멕시코담쟁이 Cissus rhombifolia 'Ellen Danica' |Oak Leaf Ivy 중남미의 따뜻한 지역에 자라는 포도과의 상록 덩굴식물이다. 잎이 참나무를 닮아 Oak Leaf Ivy라 불린다. 관엽 식물로 공중걸이 등에 많이 이용한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엘렌다니카 담쟁이덩굴'이라는 품종명으로 등록되어 있다. ↓ 어린이대공원 식물원 ● 멕시코담쟁이 Cissus rhombif.. 2009. 11. 10.
왕머루 열매 Vitis amurensis / 머루속 7종, 개머루속 5종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머루랑 다래랑 먹고 청산에 살어리랏다. 고려가요 '청산별곡' 제 1장에서 나오는 머루는 다래와 더불어 야생 열매를 대표하는 목본성 덩굴식물이다. 포도에 비해서는 작은 열매이지만 포도가 널리 재배되기 이전에는 신맛이 나는 독특한 맛으로 시골 아이들이 즐겨 따먹는 과실이기도 하였다. 술을 담아 먹기도 한다. 바위 위나 다른 나무 위로 기어올라 덤불 숲을 만든다. 이 땅에 자생하는 머루의 종류도 10여 가지나 되는데, 열매를 먹는 머루로는 머루 외에도 까마귀머루· 청까마귀머루· 새머루· 털새머루· 섬머루· 왕머루 등이 있고, 열매를 먹지 않는 개머루 종류로는 개머루· 털개머루· 가새잎개머루· 자주개머루 등이 있다. ↓ 평창 진부 ● 왕머루 Vitis amurensis / .. 2009. 9. 11.
담쟁이덩굴(Parthenocissus tricuspidata | Boston ivy) 꽃 ↓ 홍릉수목원 담쟁이 Parthenocissus tricuspidata | Boston ivy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포도과(Vitaceae)의 낙엽활엽 덩굴식물 지금상춘등(地錦常春藤)이라고 한다. 돌담이나 바위 또는 나무줄기에 붙어서 자란다. 줄기는 길이 10m 이상 벋는다. 덩굴손은 잎과 마주나고 갈라지며 끝에 둥근 흡착근(吸着根)이 있어 .. 2009. 7. 27.
까마귀머루, 새머루 전남 영광 까마귀머루 잎이 3~갈래로 깊이 갈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갈라진 잎끝이 뾰족한 가새잎개머루와 달리 잎끝이 둥글다. 새머루 까마귀머루와는 달리 잎이 갈라지지 않고 심장형을 이룬다. 2009.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