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과252 개싸리 열매 Lespedeza tomentosa 콩과식물 개싸리의 열매는 흔히 떠올리게 되는 콩꼬투리와는 전혀 다른 이미지를 보여준다. 꼭 밀알이 빠져 나가 버린 밀이삭 같은 모습이랄까... ● 개싸리 Lespedeza tomentosa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1m이다. 전체에 부드러운 갈색 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3개의 작은잎으로 .. 2006. 10. 22. 자귀풀 Aeschynomene indica, 꽃과 열매 밤에는 자귀나무처럼 잎이 접히므로 자귀풀이라고 한다. 차풀(Cassia nomame)에 비해 키가 크고 꽃잎이 나비 모양으로 크고 줄기는 속이 비었으며 열매는 뚜렷한 마디가 6-8개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 습지에서 자라며 종자와 풀 전체를 차 대용으로 마신다. 2006. 09. 24. 양재천 자귀풀 꽃 자귀풀 열매 ● 자귀풀 Aeschynomene indica | Indian jointvetch / 장미목 콩과 자귀풀속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서 높이 50∼80cm까지 자란다. 가지가 갈라지며 윗부분에서는 속이 비어 있다. 잎은 어긋나고 1회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20∼30쌍으로 줄 모양 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꽃은 7월에 피고 노란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2006. 10. 15. 풀싸리 Lespedeza thunbergii subsp. formosa 콩과 싸리속의 관목으로 풀처럼 생겼다 하여 풀싸리라 한다. 높이 1~2m이며 겨울 동안 지상부가 대부분 말라죽는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로, 함경남도 및 황해도 이남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 풀싸리 Lespedeza thunbergii var. intermedia 콩과의 낙엽활엽 관목 산기슭 이하에서 자란다. 높이 1∼2m로 자라지만 겨울 동안 대부분 말라죽는다. 가지에 잔 털이 있다. 잎은 3개의 작은잎으로 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홍색이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반 이상 깊게 4개로 갈라지고 뒤쪽의 것은 다시 2개로 갈라지며 밑의 갈래조각이 가장 길다. 열매는 10월에 익고 타원형으로 .. 2006. 10. 15. 비수리, 자주비수리 양재천에서 만난 비수리는 꽃색이 분홍에 가까운 화려한 붉은색이다. 붉은색 꽃이 피는 비수리는 꽃비수리와 자주비수리가 있는데 자주비수리는 외래종이다. 꽃비수리의 자생지는 강원도 태백산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은 양재천변 산책로에 자라는 것으로 보아 자생 비수리는 아닌.. 2006. 10. 15. 새팥 Phaseolus nipponensis 여우팥 꼬투리가 납작한데 비해, 새팥은 좀 통통하다. 일반적으로 여우팥 잎사귀가 마름모꼴에 가까운 데 비해, 새팥 잎사귀는 버들잎처럼 길쭉하며 둥근 경우도 있다. 꽃으로 구분하기는 힘들다고 한다. ● 새팥 Phaseolus nipponensis / 콩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줄기는 가늘고 길며 길이가 2.. 2006. 10. 15.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꽃과 열매 황기 Astragalus membranaceus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0∼70cm이며 전체에 흰색의 부드러운 잔털이 있다. 줄기는 총생(叢生)하며 잎은 6∼11쌍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진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길이 약 1∼2 cm로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턱잎은 바소꼴로써 끝이 길게.. 2006. 10. 2. 좀싸리 꽃, 폐쇄화 열매 Lespedeza virgata 콩과 싸리속의 반관목으로 높이 50cm의 가느다란 줄기에 가지를 치며 세잎나기 잎을 달고 긴 화경 끝에 2개의 흰 꽃이 달린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기슭 숲 속에 난다. 일본과 대만에도 분포한다. 좀싸리 꽃 좀싸리는 긴 화경 끝에 2개의 흰 꽃이 달린다. 그런데 잎겨드랑이에 화경이 없이 포들도 모여 달린 모습도 보이는데 폐쇄화 아닐까 추정된다. 뒤에 나오는 열매 사진을 보면 여기서도 열매가 달리는 듯하다. 좀싸리 열매. 위와는 다른 그루에서는 열매를 달았는데, 이상하게도 긴 화경 끝에 달리는 꽃과는 달리 잎겨드랑이에 화경이 없는 열매를 달고 있다. 긴 화경에서도 열매를 달긴 하지만 잎겨드랑이에서 폐쇄화 열매가 달리는 것이 아닐까 의심된다. ● 좀싸리 Lespede.. 2006. 9. 30. 까치콩, 또는 편두 Dolichos lablab 까치콩은 나물콩·제비콩·편두라고도 하는 콩과의 작물이다. 검은 줄 사이에 흰 줄무늬가 있어서 까치와 비슷하다는 의미에서 작두(鵲豆)라고도 한다. 남아메리카 열대 원산의 여러해살이풀이지만 한국에서는 한해살이풀로 재배된다. ● 편두 Dolichos lablab / 콩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 2006. 9. 30. 동부(돈부) Vigna sinensis 동부는 꼬투리나 그 안에 든 종자가 팥과 아주 닮아서, 어린 시절 종종 혼동하곤 했던 곡식이었다. 팥과 비슷하나 종자가 약간 길고 종자의 눈도 길어서 구별된다. 어릴 적 '돔비', 또는 '돈부'라고 불렀던 기억이 있는데, 표준어가 동부라는 걸 안 지는 얼마 안 된다. 꽃 피는 시기에 별 찾.. 2006. 9. 30. 나비나물 Vicia unijuga 대모산 ● 나비나물 Vicia unijuga /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네모지며 조금 딱딱하고 뭉쳐나며 곧게 서거나 약간 비스듬히 자라고 높이가 30∼10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짧다. 잎몸은 작은잎이 2개인 겹잎이며,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 2006. 9. 27. 큰낭아초 Indigofera amblyantha 큰낭아초는 중국 쓰촨 산시 허난 등 중남부가 원산지인 귀화식물로 절개지 녹화용으로 심은 것이 널리 퍼졌다. 하지만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아직 등재되지 않은 상태이다. 큰낭아초는 사람 키를 넘을 정도로 높게 자라고 관목상이 뚜렷하지만, 토종 낭아초는 큰낭아초에 비해 아주 작.. 2006. 9. 21. 매듭풀 Kummerowia striata 2006. 09. 14 / 태릉 ● 매듭풀 Kummerowia striata /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10∼30cm이다.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는 가늘고 갈라져 옆으로 자라는데 아래쪽을 향해 잔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3개의 작은잎이 모여 있다. 작은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 10∼15mm, 나비 5∼8mm이며 끝이 둥글며 .. 2006. 9. 20. 결명자(긴강남차) Senna tora 결명자는 북아메리카가 원산의 콩과 식물로 약용으로 재배하며, 긴강남차 또는 결명차(決明茶)라고도 한다. 결명(決明)이라는 이름은 눈을 밝게 해준다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 긴강남차 Senna tora / 콩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가지를 치면서 1m 안팎의 높이로 자란다. 잎은 어줄기에 .. 2006. 9. 18. 새콩 Amphicarpaea edgeworthii var. trisperma 새콩은 대개 산이나 숲가장자리에서 자라며 돌콩은 주로 들판 주변, 강가 등에서 자란다. ※ 새콩과 돌콩 구분하기 <꽃> 돌콩은 잎겨드랑이에 붙어 점처럼 작은 보랏빛 꽃이 피는 데, 새콩은 꽃부리가 훨씬 길쭉하고 꽃이 흰빛이 감도는 보랏빛이다. <잎> 돌콩는 잎이 길쭉하다.(.. 2006. 9. 9. 참싸리와 개싸리 Lespedeza cyrtobotrya, 싸리류 중에서 건조에 가장 강하고 줄기가 굵게 자라므로 참싸리라고 하며, 삼태기나 바지게 바구니 등을 만드는 재료로 많이 이용되었다. 참싸리는 잎겨드랑이에 달리는 꽃차례가 꽃줄기가 거의 없이 다닥다닥 달리는 모습으로 꽃줄기가 길게 늘어지는 싸리와 구별되된다. ● 참싸리 Le.. 2006. 9. 9.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