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과252 개싸리 Lespedeza tomentosa 개싸리는 대부분 관목인 싸리 종류와는 달리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분류된다. ● 개싸리 Lespedeza tomentosa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1m이다. 전체에 부드러운 갈색 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3개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다. 작은잎은 길이 2∼6cm, 나비 1∼3cm이고 타원형이며 잎.. 2006. 9. 9. 칡꽃 Pueraria thunbergiana ● 칡 Pueraria thunbergiana | kuzu vine / 콩과의 덩굴식물 줄기는 길게 뻗어가면서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고 갈색 또는 흰색의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다. 작은잎은 털이 많고 마름모꼴 또는 넓은 타원 모양이며 길이와 폭이 각각 10∼15cm이고 가장.. 2006. 9. 8. 돌콩 Glycine soja ● 돌콩 Glycine soja /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 전체에 갈색 털이 있고, 줄기는 가늘며 길고 다른 물체를 감는다. 길이는 2m에 달한다.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3출복엽(三出複葉)이다. 작은잎은 달걀모양 긴 타원형 또는 바소꼴이고 길이 3∼8cm, 나비 8∼25mm이며 가장자리에 톱니.. 2006. 9. 6. 큰도둑놈의갈고리 Desmodium oldhami 운길산 ● 큰도둑놈의갈고리 Desmodium oldhami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여러 개가 무더기로 나와 포기를 이루고 높이가 1∼1.5m이며 전체에 털이 있고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5∼7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긴 타원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이.. 2006. 9. 3. 활량나물 Lathyrus davidii 대덕산 부근 ● 활량나물 Lathyrus davidii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80∼120cm이다. 윗부분에 능각이 지고 비스듬히 서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2∼4쌍의 작은잎으로 된 짝수깃꼴겹잎이며, 잎자루 끝이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된다. 작은잎은 타원형이고 뒷면에 분백색이 돌며 가장.. 2006. 8. 27. 도둑놈의갈고리 Desmodium oxyphyllum 금대봉 ● 도둑놈의 갈고리 Desmodium oxyphyllum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는 목질(木質)로서 단단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위쪽은 가지를 친다. 높이는 60∼9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기 위에 많이 붙으며 작은잎이 3장씩 나온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톱니는 없으.. 2006. 8. 26. 나비나물 Vicia unijuga 금대봉 ● 나비나물 Vicia unijuga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다. 줄기는 네모지며 조금 딱딱하고 뭉쳐나며 곧게 서거나 약간 비스듬히 자라고 높이가 30∼10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짧다. 잎몸은 작은잎이 2개인 겹잎이며,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으로 끝이 .. 2006. 8. 25. 잔개자리 Medicago lupulina 잔개자리는 유럽 원산으로 꼬투리가 작은 개자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천람목숙이라고도 한다. 한때 녹비 또는 목초로서 재배하던 것이 번져나간 것이라 한다. 주로 전국의 길가 풀숲이나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강원도 정선 어느 도로변에서 ● 잔개자리 Medicago lupulina | hop clover / .. 2006. 8. 10. 전동싸리 Melilotus suaveolens 이름에 '싸리'라는 말이 들어 있지만, 싸리와 같은 콩과일뿐 싸리처럼 관목이 아니라 두해살이풀에 지나지 않는다. 중국 북부 원산으로 초목서(草木犀)라고도 하며 저지대의 풀밭에 자란다. 개인적으로 실크로드 여행을 할 때 오아시스 마을(우루무치, 쿠차 등)의 풀밭에서 전동싸리와 흰.. 2006. 7. 17. 덩굴손이 없는 광릉갈퀴 Vicia venosa var. cuspidata 양평 ● 광릉갈퀴 Vicia venosa var. cuspidata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모가 나고 곧게 서며 높이는 80∼100cm이다. 줄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다소 짧은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깃꼴겹잎으로 덩굴손이 짧은 돌기 같은 흔적으로 남아 있다. 작은잎은 바소꼴이고.. 2006. 7. 14. 갯완두 Lathyrus japonica 태안 신두리 ● 갯완두 Lathyrus japonica /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60cm 정도이다. 땅속줄기가 발달하고 땅위줄기는 모가 나며 비스듬히 눕는 성질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깃 모양이며 끝에 덩굴손이 있다. 작은잎은 3∼6쌍이고 넓은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으로 톱니가 없으며 뽀얗.. 2006. 7. 7.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조록싸리는 가장 일찍 꽃을 피우는 싸리로 6월이면 개화를 하는데, 타원형으로 둥근 잎 모양과 퉁성하게 달리는 꽃이 매우 아름답다. 한국과 일본에 분포한다. 충남 태안 ●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 장미목 콩과의 관목 높이 2∼3m이며 목재는 연한 녹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세 장의 작.. 2006. 7. 7. 자귀나무 Albizzia julibrissin 자귀나무는 미모사처럼 수면운동으로 밤중에 잎이 접히는 모습에서 부부의 금실을 상징하는 나무로 합환수(合歡樹)·합혼수·야합수·유정수라고도 한다. 이런 연유로 산과 들에서 자라는 나무를 마당에 정원수로 많이 심었다. 자귀나무라는 이름은 자귀의 손잡이를 만드는데 사용되.. 2006. 7. 4. 고삼(도둑놈의지팡이, 너삼) Sophora flavescens 고삼(苦蔘)은 도둑놈의지팡이·너삼·뱀의정자나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리는 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볕이 잘드는 풀밭에서 잘 자라는데, 한방에서 뿌리를 말린 것을 고삼이라 하여 맛이 쓰고 인삼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신경통·간염·황달 등에 처방한다. 서울 대모산 ● 고삼(.. 2006. 7. 4. 강낭콩 Phaseolus vulgrais var. humilis 강낭콩은 중남미 원산의 콩과 농작물로 조선 후기에 우리 나라에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 강낭콩 Phaseolus vulgrais var. humilis / 콩과의 한해살이 농작물 강낭콩은 발아할 때 1개의 곧은 뿌리가 원뿌리가 되고 여러 개의 곁뿌리가 발생하는데, 주근(主根)은 짧은 편이고 세근(細根)은 비교.. 2006. 6. 30.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