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롱꽃과62 만삼 Codonopsis pilosula 만삼은 더덕이나 소경불알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그 뿌리는 당삼(黨蔘) 또는 삼이라고 하며 거담제로 사용하거나 식용한다. 지리산 천왕봉 근처나 강원도 이북의 깊은 산에 자생한다. 서울대공원 식물원 인제산촌박물관 ● 만삼 蔓蔘 Codonopsis pilosula / 초롱꽃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자.. 2008. 6. 3. 만삼 새순(어린풀) Codonopsis pilosula 강원도 이북의 심산지역에서 주로 자라며 남쪽에서는 지리산 덕유산 등 고산지대의 그늘지고 습하고 서늘한 골짜기에 자생하는 초롱꽃과의 식물이다. 강원 북부 깊은 산골짜기 잎자루 상처 부위에서 하얀 유액이 나온다. ● 만삼 Codonopsis pilosula / 초롱꽃목 초롱꽃과 더덕속의 덩굴성 여.. 2008. 5. 25. 만삼 Codonopsis pilosula 지리산 천왕봉 산정 근처나 강원도 깊은 산에서 자라는 초롱꽃과의 덩굴풀로·뿌리를 당삼(黨蔘)이라고 하며 거담제로 사용하거나 식용한다. 강원도 인제 ● 만삼 蔓蔘 Codonopsis pilosula / 초롱꽃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자르면 즙이 나온다. 뿌리는 도라지 모양이며 길이 약 30cm이다. 잎.. 2007. 12. 30. 영아자 Phyteuma japonicum 초롱꽃과 영아자속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미나지'라는 이름의 나물로 식용한다. ● 영아자 Phyteuma japonicum /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산골짜기 낮은 지대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 50∼100cm이고 능선과 더불어 다소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밑에서는 자루가 있으며 .. 2007. 12. 30. 도라지모시대 Adenophora grandiflora ● 도라지모시대 Adenophora grandiflora /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70cm 정도이다. 밑동에 달린 잎은 길이 1~2cm이지만 위로 올라가면서 짧아져 없어진다. 모양은 달걀 모양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8월에 하늘색으로 피는데 총상꽃차례에 밑을 향하여 달린.. 2007. 12. 24. 더덕 Codonopis lanceolata 울릉도에는 나리분지를 제외하고는 들판이라고 할 만한 곳이 별로 없다. 화산 폭발로 만들어진 섬이라 워낙 가파른 지형인 탓인데, 경사가 비교적 느린 산비탈에는 더덕밭들이 꽤 많이 보인다. 삼나물)눈개승마)이나 부지깽이(섬쑥부쟁이), 취(울릉미역취) 밭도 많지만 울릉도가 가장 자.. 2007. 12. 6. 섬초롱 '섬'이란 말이 들어가면 대부분 울릉도에서 자라는 특별한 야생화로 보면 된다. 섬초롱꽃도 초롱꽃과는 분위기가 다른 울릉도 특산의 초롱꽃이다. 꽃이 8월에 핀다고 되어 있으나 우리가 찾은 7월말에 꽃이 지고 있는 모습이 많았다. 주로 숲길 주변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섬초롱꽃 Campanula takesimana 쌍.. 2007. 12. 5. 자주꽃방망이 자주꽃방망이 Campanula glomerata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40∼100cm이다. 포기 전체에 잔털이 빽빽이 나고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에 달린 잎은 달걀 모양 바소꼴이고 잎자루가 길다.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나고 넓은 바소꼴이거나 좁은 달걀 모양이며 길.. 2007. 12. 3.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홍릉수목원에서 소경불알이란 팻말을 달고 있는 덩굴식물, 꽃이나 잎이 더덕과 비슷한 모양인데 꽃의 크기가 작다. 꽃이 더덕에 비해 작은 점은 만삼도 비슷하지만 꽃부리에 붉은 무늬가 없다. 제주도 한라산에 자생하는 애기더덕도 비슷한 모양이지만 소경불알보다도 꽃이 더 작아 '애기소경불알'이라 불려지기도 한다. 산지의 낮은 곳 습지에서 자라는 소경불알은 더덕이나 만삼처럼 뿌리가 길어지지 않고 둥글게 자란다. ↓ 2007. 09. 09. 홍릉수목원 ●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 초롱꽃목 초롱꽃과 더덕속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잎은 어긋나나 곁가지에서는 4개의 잎이 마주난 것 같이 보이며 달걀형 또는 달걀모양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짧은 잎자루와 더불어 길이 2~4.5cm, 나비 1.2~2.. 2007. 9. 14.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화단에 심은 초롱꽃 야생의 초롱꽃(매봉산) 꽃이 지고 난 뒤의 씨방(대덕산) ●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40∼100cm이고 전체에 퍼진털이 있으며 옆으로 뻗어가는 가지가 있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달걀꼴의 심장 모양이다. 줄기잎은 세모꼴의 달걀 .. 2007. 8. 4. 캄파눌라 Campanula portenschlagiana 캄파눌라는 크로아티아의 달마시안 산맥이 원산지인 초롱꽃의의 여러해살이풀이다. ● 캄파눌라 Campanula portenschlagiana / Dalmatian Bellflower, Adria Bellflower /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The plant forms a mat of foliage about 10 cm (4 in) high and 50 cm (20 in) or more wide, with many heart- or kidney-shaped leaves. Deep purple o.. 2007. 7. 28. 층층잔대 Adenophora radiatifolia 층층잔대는 이름처럼 돌려나는 잎이 층층을 이루고 꽃차례도 층층이 생기는 잔대로 꽃은 종 모양이며 꽃의 아랫부분이 살ㅇ짝 오무려지고 암술대가 길게 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잔대속에 속하는 여러 종들 가운데 특히 농가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종이며, 한방에서 뿌리는 사삼(沙蔘).. 2006. 10. 31. 영아자 Phyteuma japonicum 백두대간에 깃들어 사는 사람들은 봄에 자라난 영아자를 '미나지'라고 하여 나물로 즐겨 먹는다. 곤드레나물, 곰취, 취 등과 함께 그야말로 산나물 모듬으로 무쳐 나물밥을 해 먹으면 맛이 정말 그만이다. 태백 안흥 제천 나물로 기르는 영아자. 이곳 사람들은 '미나지'라 부른다. ● 영아.. 2006. 8. 10. 섬초롱꽃 Campanula takesimana 섬초롱꽃은 울릉도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종 초롱꽃으로 꽃이 아름답고 번식력이 좋아 원예종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흰 꽃이 피는 초롱꽃에 비해 털이 적고 꽃색이 분홍빛인 점으로 구별된다. 2006. 06. 06. ● 섬초롱꽃 Campanula takesimana / 초롱꽃목 초롱꽃과 초롱꽃속의 여러해살이풀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30∼90cm이다. 흔히 자줏빛이 돌고 능선이 있으며 비교적 털이 적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달걀모양의 심장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형이며 잎자루가 점점 짧아지다가 없어진다. 꽃은 8월에 피고 연한 자줏빛 바탕에 짙은 점이 있으며 길이 3∼5 cm로서 가지와 원줄기 끝에서 밑을 향하여 총상으로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2006. 6. 26.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섬초롱꽃(C. takesimana)에 비해 꽃이 희거나 노랑빛이 도는 흰색이고 꽃부리 안쪽에 털이 많이 나 있다. 평북에는 꽃이 홍자색으로 피고 약간 짙은 반점이 있는 자주초롱꽃(var. rubriflora)이라는 변종이 있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산지의 풀밭에서 자란다. 2006. 06. 04. 천마산 2007. 07. 14. 매봉산 ●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 초롱꽃목 초롱꽃과 초롱꽃속의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40∼100cm이고 전체에 퍼진털이 있으며 옆으로 뻗어가는 가지가 있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달걀꼴의 심장 모양이다. 줄기잎은 세모꼴의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흰색 .. 2006. 6. 19.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