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롱꽃과62 숫잔대 Lobelia sessilifolia 잔대와 같은 초롱꽃과로 전초의 모양이나 보랏빛 꽃이 잔대를 연상시키기는 하지만 잔대와는 거리가 먼 풀이다. 흔히 만날 수 있는 수염가래꽃과 같은 로벨리아속으로 남부 도서 지방과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진들도라지', '잔대아재비' 등으로 불리고 '산경채(山梗菜)'라고도 한다. 습지에서 자란다. 신구대식물원 ● 숫잔대 Lobelia sessilifolia ↘ 초롱꽃목 초롱꽃과 숫잔대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 서서 높이 50∼100cm이다. 줄기는 잎과 더불어 털이 없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뿌리줄기가 짧고 굵다.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있다. 잎자루가 없고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져서 포가 된다. 꽃은 8∼9월에 피고 밝은 자주빛이며 총상으로 달린다. 화.. 2012. 10. 17. 섬잔대 Adenophora taquetii 한국 특산종으로 한라산 정상부에서 자라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저지대에서 자라는 당잔대와 비슷한 모양이지만 키가 20cm 내외로 훨씬 작다. ↓ 신구대식물원 ● 섬잔대 Adenophora taquetii / 초롱꽃과 뿌리는 굵으며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20 cm 내외로 잎이 달린 자리에서 능선이 .. 2012. 10. 16.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더덕보다 꽃이나 식물체가 작고 꽃부리 갈래조각에 붉은 무늬가 있는 것이 소경불알의 특징이다. 만삼도 꽃이 더덕에 비해 작은 점이 비슷하지만 꽃부리에 붉은 무늬가 없다. 제주도 한라산에 자생하는 애기더덕도 비슷한 모양이지만 소경불알보다도 꽃이 더 작아 애기소경불알이라고 .. 2012. 10. 16.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된 청사초롱을 닮은 꽃, 그래서 금강초롱꽃이라 부른다.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만 자생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명지산 이북에 분포하는 북방계 풀꽃이다. 대암산 ● 금강초롱 Hanabusaya asiatica /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90cm이며 뿌리는 굵고 .. 2012. 10. 15. 소백산의 도라지모시대 Adenophora grandiflora 소백산에서 만난 모시대는 도라지처럼 화관이 크고 넓으며 총상꽃차례를 보이고 있어 도라지모시대로 보인다. 강원도 일부 고산지대에 국지적으로 보인다고 하는 도라지모시대의 분포지는 소백산에까지 이르는 것으로 볼 수 있겠다. ● 도라지모시대 Adenophora grandiflora / 초롱꽃과의 여.. 2012. 9. 25. 층층잔대 Adenophora radiatifolia 잎과 꽃차례가 층층으로 돌려나고 잔대와는 달리 꽃부리 끝이 좁아지며 암술이 꽃부리 바깥으로 길게 나오고 꽃받침잎이 선형인 점 등이 층층잔대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다만 소백산 정상 부근 고산지대이어선지 꽃차례가 풍성하게 발달하지는 못했다. 소백산 ● 층층잔대 Adenophora radiat.. 2012. 9. 17. 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잔대는 층층잔대와 어떤 점이 다를까...? 잔대는 층층잔대처럼 잎이나 꽃차례가 대체로 돌려나지만 때로 어긋나기도 하며, 꽃부리의 끝이 오무려드는 층층잔대와 달리 바깥으로 벌어지며 암술대가 길게 밖으로 나오는 층층잔대와 달리 약간 나오며, 꽃받침 갈래조각이 선형이 층층잔대.. 2012. 9. 17. 잔대와 층층잔대 구별하기 잔대는 층층잔대와 어떤 점이 다를까...? 잔대는 층층잔대처럼 잎이나 꽃차례가 대체로 돌려나지만 때로 어긋나기도 하며, 꽃부리의 끝이 오무려드는 층층잔대와 달리 바깥으로 벌어지며 암술대가 화관 밖으로 길게 나오는 층층잔대와 달리 살짝 나오며, 꽃받침 갈래조각이 선형인 층층잔대와 달리 피침형이라는 점... 등으로 구별된다. ● 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 층층잔대 Adenophora verticillata 2012. 9. 17. 소경불알 Codonopsis ussuriensis 소경불알이라니, 참 망측스런 이름이다. 한눈에 봐도 더덕 꽃처럼 보이는데, 꽃의 크기가 작다. 만삼과도 비슷하지만 만삼은 꽃부리에 붉은 무늬가 없다. 제주도 한라산에 자생한다는 애기더덕(섬더덕)도 비슷한 모양이지만 소경불알보다도 꽃이 더 작아 애기소경불알이라 불려지기도 .. 2012. 9. 8. 도라지모시대 Adenophora grandiflora 모시대에 비해 꽃이 훨씬 커서 화관이 도라지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는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 도라지모시대는 설악산과 금강산 등 모시대에 비해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금대봉 ● 도라지모시대 Adenophora grandiflora /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70cm 정도이다. 밑동에 달린 잎은 길이 1.. 2012. 8. 2.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산지에 자생하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양지 혹은 반그늘의 기름진 땅에서 자란다. 변종인 섬초롱꽃(var. takesimana)에 비해서 윤기가 나지 않으며, 꽃은 흰색 또는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다. 다른 변종으로 평북에서 자라며 꽃이 홍자색으로 피고 약간 짙은 반점이 있는 자주초롱꽃(var. rubriflora)이 있다. 2011. 07. 07. 태백산 ●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 spotted bellflower ↘ 초롱꽃목 초롱꽃과 초롱꽃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40∼100cm이고 전체에 퍼진털이 있으며 옆으로 뻗어가는 가지가 있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달걀꼴의 심장 모양이다. 줄기잎은 세모꼴의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이고 .. 2012. 7. 31. 천마산의 모시대 Adenophora remotiflora 천마산의 모시대는 총상꽃차례를 보인다. 모시대는 엉성한 원뿔꽃차례, 도라지모시대는 총상꽃차례를 보인다고 하지만 사실이 아닌 듯하다. 도라지모시대는 꽃의 크기가 도라지(길이 4cm의 넓은 종형 꽃부리)처럼 이 큰 데 비해, 모시대는 잔대에 가까울 정도(길이 2~3cm)로 작다. 도라지모.. 2011. 10. 30. 종모양의 꽃에 전하는 '감사의 마음'. 캄파눌라(bellflower)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또는 한두해살이풀인 캄파눌라(Campanula)는 꽃 모양을 따라 영어 이름도 종꽃(bellflower)이다. 캄파눌라는 북반구 온대 지방에 약 250종이 분포하여 큰 식구를 이룬다. 이 땅에 자생하는 초롱꽃· 섬초롱꽃· 금강초롱·자주꽃방망이·도라지 잔대 등도 같은 식구이.. 2011. 6. 7. 히포브로마 롱기플로라 Hippobroma longiflora(Star of Bethlehem) 히포브로마 롱기플로라(Hippobroma longiflora)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서인도이며, 영명은 Star of Bethlehem, Madam Fate, Star Flower 등으로 불린다. 속명 Hippobroma 는 말의 광증(horse madness)을 뜻하는데, 이는 식물체에 독이 있는 흰 유액이 있어 이를 먹은 말이 미친 증상을 보이는 데서 .. 2011. 2. 10. 애기도라지 Wahlenbergia marginata 애기도라지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이름 그대로 애기처럼 작은 도라지이다. 영명은 Marginate Rock-bell이다. 꽃은 6∼8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1개씩 위를 향해 달리는데, 꽃은 길이 5~8mm 크기의 깔때기 모양에 5갈래로 갈라진다. 제주도와 남쪽 지방 바닷가 풀밭에서 자란다. 2010. 07. 22. 청산도 애기도라지 줄기와 잎 ● 애기도라지 Wahlenbergia marginata ↘ 초롱꽃목 초롱꽃과 애가도라지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20~40cm, 가늘다. 잎은 어긋나며, 도란형 또는 주걱 모양, 길이 2~4cm, 폭 0.3~0.8cm, 조금 두껍고,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이거나 둔한 톱니가 있.. 2010. 8. 26.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