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롱꽃과62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 금강초롱꽃과 하나부사 공사 금강초롱꽃은 높은 산에 자생하는 초롱꽃과 금강초롱꽃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강원도 이북에 분포하는 북방계 풀꽃이며, 한국 에만 분포하는 고유종으로 보호되고 있는 종이다. 남한 내에서는 강원도와 경기도 북부 지역에 자생하며 자생지에 따라 색깔의 변이가 심하다. 높은 산 반그늘 바위틈이나 정상부, 계곡의 물이 많고 습도가 높은 곳에서 자란다. 2024. 09. 05. 홍천 ●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 diamond bluebell ↘ 목련강 국화아강 초롱꽃목 초롱꽃과 금강초롱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6.3~59.3cm이다. 뿌리는 주근으로 염주상 신장형이며 진한 갈색이다. 줄기는 직립하고 자색을 띠며 털은 없고 분지하지 않는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뿌리잎은 .. 2024. 9. 24.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울릉도에 나고 분홍색인 섬초롱꽃(C. takesimana)에 비해서 잔체적으로 털이 많고 윤기가 나지 않으며, 꽃은 희거나 노란빛이 도는 흰색인 점으로 구분된다. 평북에서 나는 변종 자주초롱꽃(var. rubriflora)은 꽃이 홍자색으로 피고 약간 짙은 반점이 있다. 산지의 풀밭이나 계곡 가까운 사면에서 자란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 나며, 일본, 중국 동북 지역, 러시아 극동 지역 등에 분포한다.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2024. 06. 15. 치악산둘레길 ●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 spotted bellflower ↘ 목련강 국화아강 초롱꽃목 초롱꽃과 초롱꽃속 여러해살이풀식물 전체에 거친 털이 많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 2024. 6. 25.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초롱꽃과 더덕속의 여러해살이 덩굴풀이다. 뿌리는 도라지처럼 굵고 식물체를 자르면 흰색의 즙액(汁液)이 나오는데, 쌉쌀하면서도 단맛이 나고 식물체에서 독특한 향기가 난다. 한방에서 뿌리를 '남사삼(南沙參)'이라 하여 약용한다. 기관지 질환을 완화하고 동맥경화를 예방하며 혈당 조절 등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어 약용 식물로 건강 식품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다. 2023. 08. 26. 영양 2023. 08. 28. 봉화 ● 더덕 Codonopsis lanceolata | deodeok, lance Asiabell ↘ 초롱꽃목 초롱꽃과 더덕속 여러해살이숙근성 덩굴풀 덩굴은 길이 2m로서 보통 털이 없고 자르면 유액(乳液)이 나온다. 덩굴 줄기는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덩이뿌리는 비대하며 방추형이다.. 2023. 9. 5. 층층잔대 Adenophora verticillata 제주에서 건너온 억세밭 속에 딱 한 개체의 층층잔대를 만난다. 워낙 억센 생명력으로 밀생하는 억새밭 속이라 잔대 줄기가 연약하고 잎과 꽃차례도 기를 펴지 못한 모습이다. 잎 모양으로 가는층층잔대(피침형)와 구별하는데, 층층잔대(긴타원형)인지 가는층층잔대인지 모호한 모습이.. 2017. 9. 25. 자주꽃방망이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제주도 및 남해안을 제외한 전역에 분포하는 고산식물로 주로 지리산과 중북부 지방의 표고 500m 이상 되는 지역에서 자란다. 20곳 이상의 자생지가 있으나 개체수는 많지 않다. 연변에서 '보솜나물'이라고 하여 어린순을 식용한다고 한다. 태백 ● 자주꽃방망이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 Dahurian clustered bellflower ↘ 초롱꽃목 초롱꽃과 초롱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40-100cm이며 전체에 털이 많다. 짧은 근경이 옆으로 자라며 퍼지고 다소 밑으로 굽은 털이 있다. 근생엽은 긴 엽병을 갖는데 달걀모양 또는 난상 피침형이다.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밑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엽병이 있으며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고 넓은 타원형 또는 좁은 달걀모양이며 .. 2017. 8. 25. 가야산잔대 Adenophora kayasanensis 가야산에 분포하는 한국 특산종이다. 줄기는 단생하고 털이 없다. 날카로운 톱니가 있는 피침형 줄기잎은 항상 돌려나고, 총상꽃차례로 달리는 꽃부리는 깔때기 모양의 종형이고 암술대는 꽃부리 밖으로 길게 나온다. 꽃부리가 깔때기 모양의 종형인 점에서 항아리 모양의 외대잔대(A. racemosa)와 구별된다. 가야산 ● 가야산잔대 Adenophora kayasanensis | Gayasan ladybel ↘ 초롱꽃목 초롱꽃과 잔대속 다년초 높이는 20~35cm 정도 자라며, 줄기는 단생하고 털이 없다. 줄기잎은 항상 돌려나고, 선상 피침형으로 길이 7~9cm이다. 잎 가장자리는 날카로운 톱니가 있으며, 잎끝은 매우 뾰족하고, 밑은 둔하다. 꽃은 8~9월에 연한 자색으로 피고 줄기와 가지 끝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2016. 8. 4.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 금강초롱꽃과 하나부사 금강초롱꽃은 높은 산에 자생하는 초롱꽃과 금강초롱꽃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명지산 이북에 분포하는 북방계 풀꽃이며, 한국 특산종으로 보호종이다. 남한 내에서는 강원도와 경기도 북부 지역에 자생하며 자생지에 따라 색깔의 변이가 심하다. 높은 산 깊은 숲의 반그늘 바위틈이나 계곡의 물이 많고 습도가 높은 곳에서 자란다. 2015. 08. 22. 설악산 ●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 diamond bluebell ↘ 초롱꽃목 초롱꽃과 금강초롱꽃속의 여러해살이풀키는 30~90㎝이고, 잎은 길이 5.5~15㎝, 폭 2.5~7㎝로 긴 타원형이며 윗부분에는 털이 조금 있고 가장자리는 안으로 굽은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뿌리는 굵게 괴근을 형성하고 옆으로 뻗고 갈라.. 2015. 9. 21. 외대잔대 Adenophora racemosa 함백산에서 만난 잔대는 잎이 돌려나고 화반이 길며(화반이 원반형으로 납작하면 넓은잔대나 꽃잔대이다) 꽃받침갈래조각이 피침형인데 톱니가 없이 밋밋하다. (톱니가 있으면 잔대나 금강잔대인데 잔대는 암술이 돌출하고 금강잔대는 암술이 돌출하지 않는다.) 이런 조건을 가진 잔대.. 2015. 9. 5. 도라지모시대 Adenophora grandiflora 모시대에 비해 꽃이 훨씬 커서 화관이 도라지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도라지모시대라 부른다. 모시대에 비해 고산지대인 설악산과 금강산 등지에 분포한다. 대암산 ● 도라지모시대 Adenophora grandiflora /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70cm 정도이다. 밑동에 달린 잎은 길이 1~2cm.. 2015. 8. 7. 만삼 Codonopsis pilosula, 꽃봉오리 달릴 무렵 만삼은 더덕이나 소경불알과 비슷하게 생겼으나 더덕보다 꽃이 작고 꽃부리에 붉은 무늬가 있는 더덕이나 소경불알과 달리 무늬가 없다. 잎자루가 없는 더덕과는 달리 잎자루가 길다. 그 뿌리는 '당삼(黨蔘)' 또는 '삼'이라고 하며 거담제로 사용하거나 식용한다. 지리산 천왕봉 근처나 강원도 이북의 깊은 산에 자생한다. 2015. 07. 26. 대암산 ● 만삼 蔓蔘 Codonopsis pilosula / 초롱꽃과 더덕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자르면 즙이 나온다. 뿌리는 도라지 모양이며 길이 약 30cm이다. 잎은 어긋나지만 짧은가지에서는 마주나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양면에 잔털이 나고 뒷면은 흰색이다. 잎 길이 1∼5cm, 나비 1∼3.5cm이고 잎자루는 길이 2∼3cm로 털이 난다. 꽃은 7∼.. 2015. 8. 7. 아기별꽃(애기별꽃) Pratia pedunculata 아기별꽃은 초롱꽃과의 내한성 여러해살이풀이다. (네이버백과사전에는 석죽과로 잘못 기록되어 있어 수정 의견을 올렸음.) 원산지는 오스트레일리아이지만 전국 각지에서 귀화한 모습도 보인다. 줄기와 잎과 꽃 모양이 수염가래꽃과 비슷한데, 수염가래에 비해 잎이 좀더 둥글고 꽃잎이 별 모양으로 고르게 갈라진 점이 다르다. 아기별꽃의 이명이 Lobelia fluviatilis인데 수염가래꽃 Lobelia chinensis와 같은 로벨리아속(숫잔대속)으로 분류하기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햇볕이 잘 드는 모래질 토양에서 잘 자라고, 군락을 이룬다. 봄에 줄기를 잘라 꺾꽂이를 하면 된다. 양재동 ● 애기별꽃 Pratia pedunculata | blue star creeper, matted pratia ↘ 초롱꽃과 숫.. 2015. 7. 26. 초롱꽃 어린풀 Campanula punctata 대덕산 ● 초롱꽃 Campanula punctata /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 40∼100cm이고 전체에 퍼진털이 있으며 옆으로 뻗어가는 가지가 있다.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달걀꼴의 심장 모양이다. 줄기잎은 세모꼴의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 2015. 5. 24. 자주꽃방망이 Campanula glomerata 자주꽃방망이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북방계 식물이나 우리 나라에서는 제주도와 남해안을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며 지리산과 중북부 지방의 표고 500m 이상 되는 아고산 지역에서 자생한다. 평강식물원 / 2014. 10. 18 ● 자주꽃방망이 Campanula glomerata /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높.. 2014. 11. 17. 진퍼리잔대 Adenophora palustris '선모시나물'이라고도 한다. 강원 양양, 전라북도 남원, 무주, 진안 지역 깊은 산지 햇볕이 잘 드는 고산 습지나 물가에서 자란다. 자생지 및 개체 수가 매우 적다. 신구대식물원 2013. 06. 02 ● 진퍼리잔대 Adenophora palustris ↘ 초롱꽃목 초롱꽃과 잔대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70cm에 달하고 곧게 서며 능선 위에 털이 다소 있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굵은 뿌리가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엽병이 없으며 다소 얇고 긴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밑부분이 둔하거나 둥글며 길이 2-5㎝,폭 1-2㎝로서 뒷면 맥 위에만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희미하거나 뚜렷하다. 꽃은 8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 수상으로 달리고 밑으로 처지며 작은포는 넓은 달걀모양 또는.. 2014. 6. 12. 진퍼리잔대 Adenophora palustris 진퍼리잔대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진안, 무주, 지리산 등 강원도 이남 햇볕이 잘 드는 고산지역의 습지, 물가에서 자란다. 중국 동북부와 일본에도 분포한다고 한다. 넓은 종 모양으로 피는 꽃이 다른 잔대와는 구별되는 특징이다. ↓ 신구대식물원 ● 진퍼리잔대 Adenophora palustris .. 2012. 10. 17.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