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미과390

앵두나무 열매 Prunus tomentosa ●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 korean cherry / 장미과의 낙엽관목 높이는 3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나무 껍질이 검은빛을 띤 갈색이고, 어린 가지에 털이 빽빽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7cm의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둥글며 가장자.. 2006. 6. 27.
곰딸기 Rubus phoenicolasius 붉은가시딸기라고도 하는 곰딸기, 붉은 갈색의 샘털이 가득한 꽃봉오리가 곰을 연상시켜서 붙은 이름일까...? 나무 밑이나 그늘진 습지에서 자란다. ● 곰딸기 Rubus phoenicolasius / 장미과의 낙엽 관목 높이 약 2~3m이다. 줄기 윗부분이 밑으로 처지며, 가시가 드문드문 있고 붉은 선모가 빽빽.. 2006. 6. 19.
눈개승마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암꽃과 수꽃, 새순 승마라는 국명을 가진 자생종들이 다 범의귀과에 속하는데, 눈개승마는 장미과에 속한다. 울릉도에서는 ‘삼나물’이라 하여 이른 봄 새순을 나물무침이나 볶음으로 식용한다. 종명 dioicus는 암수딴그루를 의미한다. 기본종(Aruncus dioicus)은 '참눈개승마'라 하는데 유럽 아시아 북미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재배한다. 눈개승마 수꽃 수꽃 접사 눈개승마 암꽃과 열매 시든 수꽃차례(왼쪽), 열매를 단 암꽃차례 눈개승마 새순 ● 눈개승마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 장미목 장미과 눈개승마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100cm이다. 뿌리줄기는 나무처럼 단단하고 굵다.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가 있으며 2∼3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2006. 6. 19.
터리풀 Filipendula glaberrima 남한산 서울대공원 천마산 ● 터리풀 Filipendula glaberrima / 장미목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1m이다. 전체에 거의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늘고 길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손바닥 모양으로서 3∼7개로 날카롭게 갈라진다. 갈래조각은 바소꼴로서 끝이 날카로우며, 깊이.. 2006. 6. 19.
공조팝나무 Spiraea cantoniensis 일원동 민가 ● 공조팝나무 Spiraea cantoniensis /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 관목 높이 1∼2m로 가지 끝이 약간 처진다. 잎은 바소꼴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깊이 패인 톱니가 있으며 줄기에 어긋나게 붙는다. 잎 길이 2∼5cm, 나비 6∼20mm이고 뒷면은 흰빛을 띤다. 잎자루는 길이 2∼10mm이다. 4월에 지.. 2006. 6. 10.
개소시랑개비 Potentilla paradoxa 꽃잎과 곷받침이 6개인 것도 있다. ● 개소시랑개비 Potentilla paradoxa /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50cm이다. 줄기는 빽빽이 모여나고 밑쪽이 비스듬하게 옆으로 자라다가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홀수깃꼴겹잎으로 2∼4쌍이 있다. 작은잎은 타원형 또.. 2006. 6. 10.
덩굴장미 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찔레(Rosa multiflora)의 변종으로 중국에 야생하는 것을 원예화한 것이다. ● 덩굴장미 Rosa multiflora var. platyphylla /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 덩굴관목 줄기는 길이 5m에 달하고 전체에 밑을 향하는 가시가 드문드문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 잎 5-7개가 모인 깃꼴겹잎이며, 작은 잎은 난형 또는 도.. 2006. 6. 9.
홍자단(코토네아스터) Cotoneaster horizontalis 홍자단은 중국 서부지방이 원산지이며 cotoneaster에 속하고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자생하고 있는 상록 반낙엽성 식물이다. 5월의 광택나는 푸른 잎과 6월에 피는 연분홍색의 작은 꽃, 가을에 붉게 물드는 잎과 보석 같은 붉은 열매가 아름다움의 극치를 이룬다. ● 홍.. 2006. 6. 6.
가락지나물 Potentilla kleiniana 남한산 2007. 06. 09 가락동 2006. 05. 21 양재천 2006. 05. 20 ●가락지나물 Potentilla kleiniana /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 들의 습기 있는 곳에서 자란다. 높이는 20∼60cm로 하반부가 비스듬히 누워 자란다. 뿌리잎은 긴 잎자루를 가진 손바닥 모양 겹잎이고 줄기에는 잎이 3개씩 달리며 위로 올라갈수록.. 2006. 6. 3.
찔레꽃 하얀 잎은 맛도 좋다지... 늦봄, 연하디연한 줄기를 꺾어 먹던 찔레나무 파랗게 일렁이는 보리밭 언덕에 꿈처럼 피어나던, 유년 시절의 추억을 일깨워 주는 전래 동요 속의 꽃, 찔레꽃... 엄마 일 가는 길에 하얀 찔레꽃 찔레꽃 하얀 잎은 맛도 좋다지 배 고픈 날 가만히 따 먹었다오 엄마 엄마 부르며 따 먹었다오. .. 2006. 6. 2.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2007. 05. 20 청계산 2006. 5월 대모산 ●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 장미과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는 1∼2m이고 가지 끝이 밑으로 처지며, 잔가지는 둥글고 잔털 또는 선모가 있다. 턱잎은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이다. 잎은 길이 2∼5cm로 어긋나고 세모진 넓은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2006. 5. 28.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멍석딸기는 산기슭 아래 쪽 산지 주변 낮은 지대에 덩굴을 벋으며 자라는 딸기이다. ●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 장미과의 덩굴성 낙엽관목 짧은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작은잎이 3개씩이지만 맹아(萌芽)에서는 5개인 것도 있다. 작은잎은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달걀모양 원.. 2006. 5. 28.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나무딸기·산딸기나무·흰딸·참딸이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흔히 자란다. 꽃봉오리 ●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 장미과의 낙엽관목 높이 약 2m이다. 뿌리가 길게 옆으로 뻗고, 밑에서 싹이 돋아 커다란 군집으로 발달하며, 줄기 전체에 가시가 드문드문 난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 2006. 5. 18.
산사나무(아가위나무) Crataegus pinnatifida 열매가 '산사춘'이라는 전통주의 재료로 사용된 나무가 바로 산사나무다. 아가위나무라고도 하는데 줄기에는 길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4~5월 경에 눈처럼 하얀 꽃이 피고 가을에는 붉은 열매가 조랑조랑 열매가 달린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는데 경기도 산지에서 많이 자생하고 있다. 뿌.. 2006. 5. 18.
이스라지 Prunus japonica var. nakaii 06. 05. 05 어린이날, 그리고 여름의 문턱, 입하를 하루 앞둔 날. 이제서야 이스라지가 겨우 꽃봉오리를 터뜨린다. 일찍 핀 곳에 비하면 한 달이나 늦다. 천마산 정상에 가까운 곳이어서 기온이 많이 낮은 탓일 것이다. 정상을 넘어 내려가는 능선 중턱에는 꽃이 활짝 피었다. 꽃자루가 유난.. 2006. 5.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