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잔나비버섯과27

흰주름구멍버섯 Antrodia albida 자실체는 일년생으로 흰색에서 크림색을 띠는 배착성 버섯으로 반전하여 선반 모양의 갓을 이루기도 한다. 자실층 표면은 관공상, 미로상 등 변화가 있다.  북한명은 '흰색조개버섯'이다. 침엽수와 활엽수의 죽은 나무 등에 무리를 지어 나는 갈색부후균으로 비교적 흔한 종이다.     2023. 11. 09.  서울          ● 흰주름구멍버섯 Antrodia albida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주름구멍버섯속 자실체는 일반적으로 반배착생. 균모는 반원형-조개껍질형 또는 서로 연결되어 선반(띠) 모양을 이루거나 다수 중첩해서 층생이 하기도 한다. 기질에 부착된 관공은 자루에 대하여 내린 주름살형. 개개의 균모는 폭 1~3cm, 표면은 거의 밋밋하며 선명한 테 무늬가 있다. 색깔은 유백색-회백색. 살.. 2024. 12. 19.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아름드리로 자란 리기다소나무 옆 땅에서 발생한 버섯이다. 갓 표면 고리무늬는 뚜렷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갈색빛을 띠는 황색에서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하며 살은 마르면 해면질로 되어 쉽게 부서진다. 버섯대는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여름~가을 침엽수 그루터기, 생목의 줄기나 뿌리에 난다. 전 세계 온대 지역 침엽수림대에 분포한다. 성숙한 버섯은 거칠고 질겨 식용으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어린 버섯도 독성 가능성이 있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2023. 10. 28.  서울         ●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 velvet-top fungus, dyer's polypore, dyer's mazegill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해.. 2024. 12. 14.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작년 가을에 났던 리기다소나무 옆 땅에서 올해도 해면버섯 두 개체가 쌍둥이처럼 발생하였다. 갓 표면 고리무늬는 뚜렷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갈색빛을 띠는 황색에서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하며 살은 마르면 해면질로 되어 쉽게 부서진다. 버섯대는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여름~가을 침엽수 그루터기, 생목의 줄기나 뿌리에 난다. 전 세계 온대 지역 침엽수림대에 분포한다. 성숙한 버섯은 거칠고 질겨 식용으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어린 버섯도 독성 가능성이 있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2024. 10. 20 - 27.  서울       노균     ●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 velvet-top fungus, dyer's polypore, dyer's .. 2024. 11. 10.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성장 과정 등산로 옆 낙엽송(일본잎갈나무) 그루터기에 털이 보송보송한 작고 어린 해면버섯이 자라났다. 예쁜 꽃이 피어난 듯하다. 5일 뒤에 다시 살폈더니 보송보송한 털은 드러누운 채 제법 넓은 갓이 만들어져 성체의 모습을 갖추었다. 주변에 보이는 시커먼 노균과 비교하면 아직은 예쁜 모습이다. 커다란 꽃이 핀 느낌이다. 여름~가을 침엽수 그루터기, 생목의 줄기나 뿌리에 난다. 전 세계 온대 지역 침엽수림대에 분포한다. 성숙한 버섯은 거칠고 질겨 식용으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어린 버섯도 독성 가능성이 있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2024. 09. 26.  서울    2024. 10. 01.  5일 후, 위 버섯이 성장한 모습    2024. 10. 01.  다시 7일 후, 변화한 모습   2024. 09. .. 2024. 10. 24.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비가 내리는 계곡 옆 잣나무 숲에 커다란 해면버섯이 자라나 있다. 갈색 갓 가장자리는 연한 홍색으로 물들어 예쁜 꽃잎이 피어난 듯하다. 갓 표면 고리무늬는 뚜렷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갈색빛을 띠는 황색에서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하며 살은 마르면 해면질로 되어 쉽게 부서진다. 버섯대는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여름~가을 침엽수 그루터기, 생목의 줄기나 뿌리에 난다. 전 세계 온대 지역 침엽수림대에 분포한다. 성숙한 버섯은 거칠고 질겨 식용으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어린 버섯도 독성 가능성이 있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2024. 09. 05.  홍천 미약골      ●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 velvet-top fungus, dyer's p.. 2024. 9. 24.
등갈색미로버섯(띠미로버섯) Daedalea dickinsii 걷기 모임 동료들의 초대로 도봉산을 오르다 흔치 않는 형태의 등갈색미로버섯을 만난다. 선반형 갓 아래로 길게 관공을 드러낸 채 배착성으로 성장한 모습이다.  형태을 보이는 갓이 크고 넓어 큰 것은 20cm가 넘는다. 종유석 베이컨 시트처럼 펼쳐진 관공이 퍽이나 아름답다. 잔나비버섯과 미로버섯속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아주 흔한 종이지만 동북아시아 지역에 한정된 분포를 보인다. 활엽수 껍질이 벗겨진 부분에 겹쳐서 발생한다.    2024. 08. 17.  서울 도봉산      ● 등갈색미로버섯 Daedalea dickinsii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미로버섯속자실체는 일년생-다년생. 균모는 편평하거나 반원형, 약간 말발굽형. 기물에 직접 부착하며 흔히 여러 층으로 난다. 부착된 부분 쪽으로 두꺼워져.. 2024. 9. 2.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백운산 데크 계단길에는 거미줄이 쳐져 있다. 일찌기 없었던 무더위에 등산 발길조차 끊어진 모양이다. 능선으로 올라선 지점에서 해면버섯을 만난다. 아름드리 소나무 줄기 허리 높이에 커다란 갓이 선반처럼 달려 있는데, 그 반대쪽 땅에는 겹겹의 해면버섯이 또하나 발생하였다. 나무에 발생한 것은 처음으로 만난다.  해면버섯 갓 표면은 고리무늬가 뚜렷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갈색빛을 띠는 황색에서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하며 살은 마르면 해면질로 되어 쉽게 부서진다. 버섯대는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여름~가을 침엽수 그루터기, 생목의 줄기나 뿌리에 난다. 전 세계 온대 지역 침엽수림대에 분포한다. 성숙한 버섯은 거칠고 질겨 식용으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어린 버섯도 독성 가능성이 있어 .. 2024. 8. 28.
시루버섯(물렁시루버섯, 물렁개떡버섯) Climacocystis borealis 오도산 기슭의 산길, 소나무 가지와 계단 재목에 부착하여 발생한 버섯이다. 개떡버섯과 아주 유사하나 갓 표면이 울퉁불퉁한 편이고 갓에 환문이 나타나며 침엽수에서 발생하는 점으로 구별된다.  여름~가을 소나무, 전나무 등 죽은 침엽수나 그루터기나 줄기, 드물게는 활엽수에서 홀로 또는 층으로 난다. 유럽, 러시아 전역, 한반도, 북미, 호주 동남부 등에 분포한다.    2024. 08. 07.  합천 오도산          ● 물렁시루버섯 Climacocystis borealis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시루버섯속 자실체는 반원형-부채꼴 또는 주걱 모양으로 기질에 직접 부착된다. 때로는 균모가 좁게 연장되어 짧은 자루 모양이 되기도 한다. 전후 3~12cm, 좌우 5~20cm, 두께 1.5~3cm의.. 2024. 8. 22.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유균과 노균 일부 남아 있는 소나무 그루터기 곁에 뽀송뽀송한 해면버섯 유균이 꽃처럼 예쁘게 발생하고 있다.  해면버섯 갓 표면은 고리무늬가 뚜렷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갈색빛을 띠는 황색에서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하며 살은 마르면 해면질로 되어 쉽게 부서진다. 버섯대는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여름~가을 침엽수 그루터기, 생목의 줄기나 뿌리에 난다. 전 세계 온대 지역 침엽수림대에 분포한다. 성숙한 버섯은 거칠고 질겨 식용으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어린 버섯도 독성 가능성이 있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2024. 07. 31.  경기 구리     2024. 07. 10.  서울 해면버섯 노균      ●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 velvet-top fung.. 2024. 8. 19.
고랑손등버섯(고랑귓등버섯) Postia ptychogaster(Ptychogaster albus) 앞산 고갯길로 내려서는데 리기다소나무 재목 더미에 솜털 뭉치와 같은 독특한 모양의 균류를 만난다. 작년에도 두 번 만난 적이 있는 고랑손등버섯과 유사해 보이는데 솜털 모양이 유난하게 큰데, 외국 자료에서 이런 모습을 담은 사진도 확인된다. (gbif.org/4438778200) 국내에서는 조덕현 도감에서만 기록이 보이는데 '고랑귓등버섯'이라는 국명을 쓰고 있다. 속명이 '손등버섯'으로 바뀜에 따라 '고랑손등버섯'으로 표기한다. 침엽수 그루터기와 재목에 달리는 모양이 가루 쿠션과 비슷해 영명은 powderpuff bracket이다. 이명은 Ptychogaster albus. 성장 주기에서 이 모습은 후막포자(chlamydospore) 덩어리이다.  연중 죽은 침엽수에서 발생하는 갈색부후균이다.    202.. 2024. 8. 13.
등갈색미로버섯(띠미로버섯) Daedalea dickinsii 잔나비버섯과 미로버섯속 부착 버섯으로 갓이 크고 넓어 큰 것은 20cm가 넘는다. 반원형으로 껍질이 없는 목재에 측생으로 부착하고 표면은 담갈색으로 안쪽으로 사마귀 모양의 혹이 있고 가장자리는 얇으며, 육질은 코르크질로 매우 질기다. 자실층은 구멍형에서 미로형으로 담갈색을 띤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주 흔한 종이지만 세계적으로는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 한정된 분포를 보인다. 참나무류 등 활엽수의 그루터기나 쓰러진 나무 껍질이 벗겨진 부분에 겹쳐서 발생하는 갈색부후균이다.    2024. 07. 26.  여주 영릉    2024. 08. 08.  합천 오도산     ● 등갈색미로버섯 Daedalea dickinsii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미로버섯속자실체는 일년생-다년생. 균모는 편평하.. 2024. 8. 12.
유황주름구멍버섯 Antrodia xantha(Daedalea xantha) 자실체는 배착성으로 계단 모양으로 형성하며 수직의 기주에서는 갓을 형성하기도 한다. 갓의 표면은 매끄러우며 자실층은 관공형이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여름~가을 물기가 많은 곳의 침엽수, 활엽수 목재에 난다. 주름구멍버섯속(Antrodia)에서 미로버섯속(Daedalea)으로 바뀌었다.     2024. 07. 13.  서울      ● 유황주름구멍버섯 Antrodia xantha | yellow porecrust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주름구멍버섯속 자실체는 전체가 배착생. 자실체는 기질에 단단히 붙어 있다. 두꺼운 곳은 10mm로 수~수십 센티미터까지 퍼진다. 표면은 유백색, 크림색, 연한 황색 또는 황색. 기질에 수직 방향으로 작은 말발굽 모양의 작은 균모가 생긴다. 어떤 것은 .. 2024. 7. 27.
명아주자작나무버섯(흰자작나무버섯) Piptoporellus soloniensis 장마비로 흰자작나무버섯이 크고 화려한 갓을 펼쳤다. 지금까지 '명아주개떡버섯'이란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왔던 버섯이다. 2018년 분자계통학적 분석에 의해 오동정된 학명(Tyromyces sambuceus)으로 밝혀지며 국명을 넘기고 '한반도의 버섯_가야산국립공원'에서 명아주자작나무버섯(조덕현은 '흰자작나무버섯')이란 새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주로 활엽수 고사목 줄기나 그루터기에서 발생한다. 중국, 일본, 타이완, 프랑스, 미국 남부, 멕시코 등에 분포한다.    2024. 07. 05.  서울    2024. 08. 25.  서울    자작나무버섯 노균 (2024. 08. 25. 서울)     ● 명아주자작나무버섯 Piptoporellus soloniensis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자.. 2024. 7. 13.
미로버섯 Daedalea quercina 간벌한 재목 단면에서 발생하였다. 흔한 등갈색미로버섯에 비해 드문 편이다. 반원형으로 단단하고 코르크질이며 겹쳐 나고, 표면은 크림색 또는 회황토색으로 마르면 청색이 나고 흑갈색이다. 관공은 황토크림색이고, 구멍은 불규칙형 또는 미로형, 주름살모양이다.  북한명은 '참나무주름버섯'이다. 연중 참나무류나 밤나무 등 활엽수의 그루터기에 난다. 유럽, 북미에 흔하게 발생한다.    2023. 09. 29.  구리        ● 미로버섯 Daedalea quercina | oak mazegill, thick-walled maze polypore, maze-gill fungus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미로버섯속자실체의 균모는 불규칙한 반원형. 갓은 전후 10~20cm, 좌우 10~20(30)cm, .. 2024. 1. 20.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영양에서 주먹 모양의 특이한 해면버섯을 만났는데 바로 다음날 백두대간수목원 산책길에서 뜻밖에 층층이 겹쳐진 전형적인 형태의 해면버섯을 만난다. 가장자리가 꽃처럼 붉어 갓이 꽃잎처럼 아름다운 싱싱한 유균이다. 기주가 침엽수라는데 특이하게도 참나무속으로 보아는 나무 아래 사초를 껴안고 자라고 있다. 잔나비버섯과의 버섯으로 여름~가을에 침엽수 그루터기나 살아있는 나무의 뿌리에 무리지어 자라는 갈색부후균이다. 2023. 08. 27. 봉화 백두대간수목원 ●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 velvet-top fungus, dyer's polypore, dyer's mazegill ↘ 구멍장이버섯목 덕다리버섯과 해면버섯속 균모는 지름 20~30cm, 두께 0.5~1cm, 반원형-부채꼴이며 큰 .. 2023. 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