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나비버섯과27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영양 흥림산에서 만난 해면버섯은 흔치 않은 주먹 모양이다. 일반적으로 층층이 겹쳐진 형태인데, 인터넷을 검색해 봐도 이런 모양은 한둘 찾기도 어려울 정도. 해면버섯 갓 표면은 고리무늬가 뚜렷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갈색빛을 띠는 황색에서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하며 한다. 살은 마르면 해면질로 되어 쉽게 부서진다. 버섯대는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북반구 온대 이북 침엽수림대에 분포하는 잔나비버섯과의 버섯으로 여름~가을에 침엽수 그루터기나 살아있는 나무의 뿌리에 무리지어 자란다. 갈색부후균으로 나무를 부패시키며 목재는 네모 모양으로 부서진다. 2023. 08. 26. 영양 일월 ●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 velvet-top fungu.. 2023. 9. 3. 등갈색미로버섯(띠미로버섯) Daedalea dickinsii 잔나비버섯과 미로버섯속 버섯으로 부착 버섯으로는 갓이 크고 넓어 큰 것은 20cm가 넘는다. 반원형으로 목재에 측생으로 부착하고 표면은 담갈색으로 안쪽으로 사마귀 모양의 혹이 있고 가장자리는 얇으며, 육질은 코르크질로 매우 질기다. 자실층은 구멍형에서 미로형으로 담갈색을 띤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주 흔한 종이지만 세계적으로는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 지역에 한정된 분포를 보인다. 참나무류 등 활엽수의 그루터기나 쓰러진 나무 껍질이 벗겨진 부분에 겹쳐서 발생하는 갈색부후균이다. 2023. 08. 18. 서울 2023. 09. 07. 서울 ● 등갈색미로버섯 Daedalea dickinsii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미로버섯속자실체는 일년생-다년생. 균모는 편평하거나 반원형,.. 2023. 8. 23. 흰주름구멍버섯 Antrodia albida 자실체는 일년생으로 흰색에서 크림색을 띠는 배착성 버섯으로 반전하여 선반 모양의 갓을 이루기도 한다. 자실층 표면은 관공상, 미로상 등 변화가 있다. 북한명은 '흰색조개버섯'이다. 침엽수와 활엽수의 죽은 나무 등에 무리를 지어 나는 갈색부후균으로 비교적 흔한 종이다. 2023. 08. 17. 서울 ● 흰주름구멍버섯 Antrodia albida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주름구멍버섯속 자실체는 일반적으로 반배착생. 균모는 반원형-조개껍질형 또는 서로 연결되어 선반(띠) 모양을 이루거나 다수 중첩해서 층생이 하기도 한다. 기질에 부착된 관공은 자루에 대하여 내린 주름살형. 개개의 균모는 폭 1~3cm, 표면은 거의 밋밋하며 선명한 테 무늬가 있다. 색깔은 유백색-회백색. 살은 .. 2023. 8. 21. 유황주름구멍버섯 Antrodia xantha(Daedalea xantha) 자실체는 배착성으로 계단 모양으로 형성하며 수직의 기주에서는 갓을 형성하기도 한다. 갓의 표면은 매끄러우며 자실층은 관공형이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여름~가을 물기가 많은 곳의 침엽수, 활엽수 목재에 난다. 주름구멍버섯속(Antrodia)에서 미로버섯속(Daedalea)으로 바뀌었다. 2023. 08. 15. 서울 2023. 11. 01. 서울 ● 유황주름구멍버섯 Antrodia xantha | yellow porecrust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주름구멍버섯속 자실체는 전체가 배착생. 자실체는 기질에 단단히 붙어 있다. 두꺼운 곳은 10mm로 수~수십 센티미터까지 퍼진다. 표면은 유백색, 크림색, 연한 황색 또는 황색. 기질에 수직 방향으로 작은 말발굽 모양의.. 2023. 8. 20. 변색덕다리버섯(후막덕다리버섯) Laetiporus versisporus 잔나비버섯과의 버섯으로 '후막덕다리버섯'이라고도 한다. 활엽수 썩어가는 그루터기에 발생한 특이한 형태의 버섯이다. 자실체는 나무줄기 위에 혹 모양이나 반구 모양으로 여러 개 나타나고 나중에 반원 모양 또는 선반 모양으로 자라며 전체가 10~20개의 덩이로 변하기도 하다. 갓은 처음에 선명한 노란색이나 탁한 흰색에서 탁한 갈색으로 변하고 희고 조금 탄력 있는 조직은 단단해져 어두운 갈색 가루덩어리가 되는데 이것이 후막 홀씨이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의 살아 있는 나무 또는 죽은 나무에 자란다. 2023. 08. 07. 서울 윗면 4일 뒤 13일 뒤 ● 변색덕다리버섯 Laetiporus versisporus ↘ 구멍장이버섯목 덕다리버섯과 덕다리버섯속 자실체는 처음에 기주의 수간 위에 반구상의 혹처럼 발생.. 2023. 8. 10. 점박이손등버섯 Postia guttulata 등산로 옆 방벽으로 쓴 리기다소나무 옹이에 발생한 독특한 모양의 부착 버섯, 버섯 전문 카페에서도 이름을 알아내지 못하다 손등버섯속을 공부하다 답을 찾는다. 흰 자실체는 구멍상이고 편평한 반원형 갓을 형성하는데, 독특한 모양이 되기도 한다. 생육기에 이처럼 표면에 물방울이 생긴다. 자실체는 흰색~크림색이고 섬유상 육질이나 건조하면 가볍고 부서지기 쉬운 코르크질로 표면은 구멍상이며 오래되면 구멍벽이 갈라져 구멍 입구는 톱니 모양이 된다. 연중 침엽수 심재에 침입해서 갈색부후를 일으킨다. 2023. 08. 02, 04. 서울 ● 점박이손등버섯 Postia guttulata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손등버섯속 자실체 형태는 좌생, 반전성, 또는 착생, 갓은 반원형 내지 부채꼴, .. 2023. 8. 10. 포도색잔나비버섯 Nigroporus vinosus(Fomitopsis vinosa) 반원형으로 겹쳐서 자라는 갓은 얇고 밋밋하나 단단하고 코르크질로 약간 탄력이 있고 구부러진다. 포도주빛을 띠고 테 모양의 무늬가 있다. 자실층은 갓 표면과 같은 색으로 미세한 구멍을 지닌다. 북한 이름은 '보라빛떡따리버섯'이다. 한해살이로 주로 썩어가는 참나무 재목에서 겹쳐서 발생하지만 소나무에서도 발생한 기록이 있다고 한다. 흔하지 않은 종이다. 2023. 08. 02. 서울 2023. 08. 17. 2023. 09. 08. ● 포도색잔나비버섯 Nigroporus vinosus ↘ 구멍장이버섯목 바늘버섯과 포도색잔나비버섯속 자실체의 균모는 반원형, 폭이 넓고 기물에 중첩해서 층상으로 난다. 관공층은 흔히 자루에 대하여 내린 주름살. 균모는 폭 4~10cm, 두께 0... 2023. 8. 8. 고랑손등버섯(고랑귓등버섯) Postia ptychogaster(Ptychogaster albus) 연일 내리는 비가 그치고 오랜만에 햇살이 비치는 날, 등산로 옆 리기다소나무 방벽에 솜털로 덮힌 독특한 모양의 버섯이 부착되어 발생한 것을 만난다. 처음으로 마나는 이 버섯 이름을 찾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침엽수 그루터기와 재목에 달리는 모양이 가루 쿠션과 비슷해 영명은 powderpuff bracket이다. 성장 주기에서 이 모습은 후막포자(chlamydospore) 덩어리이다. 연중 죽은 침엽수에서 발생하는 갈색부후균이다. 2023. 08. 01. 서울 ● 고랑귓등버섯 Postia ptychogaster | powderpuff bracket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손등버섯속 자실체는 불완전 단계로 연중, 기주에 배착생이다. 신선할 때 유연하고 건조 시에 부서지기 쉽다.. 2023. 8. 6. 흰주름구멍버섯(흰색조개버섯) Antrodia albida 손톱보다 작은 흰 치마버섯들이 다닥다닥 붙은 한쪽에 더 작은 크기의 갈색 버섯 몇 개가 붙어 있다. 시력이 좋지 않은 눈으로는 동심원상의 무늬도 잘 안 보일 뿐만 아니라 아랫면의 관공은 아예 볼 수가 없다. 북한명은 '흰색조개버섯'이다. 죽은 참나무, 고로쇠나무, 물레나무, 벚나무 등 활엽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자실체는 반원형 또는 조개껍질 모양이며 백색 또는 담황갈색으로 겹쳐나고 나비 1-3㎝, 두께 3-6㎜로 표면은 민둥하며, 애매한 고리 무늬가 있다. 살은 가죽질이다. 밑면은 관공상, 미로상으로 주름살 모양, 얇은 이빨 모양 등이다. 2022. 10. 24. 서울 ● 흰주름구멍버섯 Antrodia albida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주름구멍버섯속 자실체는 일반적으로 반배착생. .. 2022. 10. 30. 등갈색미로버섯 Daedalea dickinsii '띠미로버섯'이라고도 하며,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미로버섯속의 버섯이다. 표면은 나무색이나 탁한 갈색을 나타내며 표면은 매끄럽고 얕은 고리 홈, 때로는 방사상의 가는 주름이 있으며 편평한 사마귀 같은 것이 산재한다. 2018. 09. 14 서울 대모산 ● 등갈색미로버섯 Daedalea dickinsii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미로버섯속 갓은 반원형으로 조직육은 튼튼한 코르크질이며 표면은 밋밋한 구조이다. 코르크색으로 오래되면 황갈색에서 회갈색, 얕은 고리홈(동심환구)이 나 있다. 갓테두리는 무디고 아랫면은 대백색이다. 자실층 면은 구멍 모양을 이루는데, 구멍은 원형에서 미로형으로 담황갈색이다. 평균 1~2mm, 관공은 깊이 1cm, 구멍벽은 두텁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죽은 참나무 줄기, 참나.. 2018. 9. 21. 등갈색미로버섯 Daedalea dickinsii 잔나비버섯과 미로버섯속의 버섯으로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의 그루터기나 죽은 줄기 위에 발생한다. 대가 없고 반원형의 갈색 부후균이다. ↓ 천마산 ● 등갈색미로버섯 Daedalea dickinsii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미로버섯속 갓은 반원형으로 조직육은 튼튼한 코르크질이며 표면은 밋밋한 구조이다. 코르크색으로 오래되면 황갈색에서 회갈색, 얕은 고리홈(동심환구)이 나 있다. 갓테두리는 무디고 아랫면은 대백색이다. 자실층 면은 구멍 모양을 이루는데, 구멍은 원형에서 미로형으로 담황갈색이다. 평균 1~2mm, 관공은 깊이 1cm, 구멍벽은 두텁다. 띠미로버섯 이라고도 한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죽은 참나무 줄기, 참나무 박피 밑동, 느티나무 부러진 가지, 딱총나무 죽은 줄기 등에 발생한다. 한해살이 .. 2009. 10. 21. 흰주름구멍버섯(흰그물미로버섯) Antrodia albida ↓ 천마산 ● 흰구멍주름버섯(흰그물미로버섯) Antrodia albida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주름구멍버섯속 균모는 반원형 또는 조개껍질 모양으로 백색 또는 담황갈색으로 중생하고 나비 1-3㎝, 두께 3-6㎜로 표면은 민둥하며, 애매한 고리 무늬가 있다. 살은 가죽질이다. 하면은 관공상, 미로상으로 주름살 모양, 얇은 이빨 모양 등이다. 포자는 긴 타원형으로 무색, 민둥하고, 6-7×3.5㎛이다. 1년생으로 수목의 고목, 재목에 군생하고 갈색부후를 일으킨다. 2009. 10. 2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