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고사리과15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북한산 성불사 계곡으로 내려오는 길, 바위 절벽 틈에 잔고사리들이 무리를 지어 멋지게 자라고 있는 모습이 보여 잠깐 사진을 찍는다. 흔히 산기슭이나 골짜기 바위틈이나 낭떠러지 곁에서 잘 자라는 고사리다. 속명은 독일의 식물학자 A. W. Dennstadt에서 유래하였고, 종명은 잎 전체에 '거친 털이 있는(hirsutus)' 특징에서 비롯되었다. 포자는 갈래조각의 가장자리에 얕은 컵처럼 생기며 포막에 털이 있다. 2023. 06. 11. 북한산 ●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 고사리목 잔고사리과 잔고사리속 키 15~35cm이다. 뿌리줄기는 가늘고 짧게 기며, 지름 0.7~1.5mm이고, 긴 털이 밀생한다. 털은 다세포성이며 부드럽고 회갈색이며, 길이 0.7~2mm이다. 잎 은 2가지.. 2023. 6. 16.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잔고사리는 잎 열편 끝에 포자낭이 컵 모양으로 달리는 데서 유래한 이름이다. 종명은 hirsutus는 '거친 털이 있는'이란 뜻으로 잎 전체에 긴 털이 나 있는 특징에서 비롯된 것이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기슭 바위틈이나 낭떠러지 곁에서 자란다. 2017. 10. 15.월악산 포자엽은 벌써 말라 버린 모습이다. ●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 고사리목 잔고사리과 잔고사리속 잎은 약간 드문드문 나오고 길이 15~35cm 정도로서 엽병과 더불어 백색 또는 연한 갈색의 가는 털이 있다. 엽신은 길이 10~25cm, 나비 3~8cm 정도이며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깃조각은 긴 삼각상 피침형이며 둔두 또는 예두로서 우상으로 갈라지고 밑부분에서는 더욱 깊이 .. 2017. 10. 27.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전체적으로 희거나 연한 갈색의 긴 털이 빽빽이 붙는 점에서 같은 잔고사리속으로 털이 거의 없는 황고사리와 구별된다. 포자낭이 달리지 않는 잎은 짧고 결각도 얕게 갈라진다.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 산록 바위틈이나 낭떠러지 곁에서 자란다. 속명은 독일의 식물학자 A. W. Dennstadt에서 유래하였다. 종명 'hirsutus'는 '거친 털이 있는'의 의미로 잎 전체에 털이 있는 점으로 붙인 이름이다. 관악산 ●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 Hairy hayscented fern ↘ 고사리목 잔고사리과 잔고사리속 근경은 가늘고 짧게 옆으로 뻗으며 긴 털이 있다. 중간중간에서 어린 식물체가 나온다. 잎은 약간 드문드문 나오고 길이 15~35cm 정도로서 엽병과 더불어 백색 또는 연한 갈색.. 2017. 7. 5. 나도좀진고사리 Deparia pseudoconilii 나도좀진고사리는 진고사리속(Deparia)으로 진고사리속의 다른 고사리들과는 달리 맨 아래 우편이 가장 커서 잎몸이 넓은 삼각형인 것이 특징이다. 2017. 05. 07. 태안 ● 나도좀진고사리 Deparia pseudoconilii ↘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 잎몸은 30~60cm. 뿌리줄기는 길게 기며 검은 피침형 또는 난형의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잎자루는 전체적으로 자색이다. 포자엽이 영양엽보다 크다. 잎은 2회 깃꼴로 갈라지며 넓은 피침형 또는 삼각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맨 밑의 우편이 가장 크고 중축은 털 모양의 비늘조각이 밀생한다. 우편은 끝이 뭉툭하거나 약간 뾰족하다. 포자낭군은 긴타원형이고 우축 가까이 맥 위에 한 개 또는 2중으로 붙는다. 포막은 얇고 위에 털이 있으.. 2017. 5. 12. 진고사리 Deparia japonica 한겨울임에도 잎이 파랗게 살아 있어서 진고사리가 아닌 줄 알았다. 진고사리는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 고사리로 제주, 전남, 경남, 경북 등 남부지방과 황해(장산곶)에 분포하며 산지 숲속과 계곡 주변의 전석지에 군락을 이루어 자란다. 진고사리속은 포막이 서로 겹쳐지지 않는 진고사리(D. japonica), 포막이 서로 겹쳐지며 우편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지는 좀진고사리(D. conilii), 포막이 서로 겹쳐지며 우편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는 것이 섞여 있는 개좀진고사리(D. angustata) 등으로 구분된다. 흑산도 ● 진고사리 Deparia japonica ↘ 고사리목 개고사리과 진고사리속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긴다. 잎은 떨어져 난다. 잎몸은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20.. 2017. 3. 1. 좀진고사리 Deparia conilii 지리산에서 만난 진고사리류. 포자낭이 아직 형성되지 않은 모습인데, 소우편 끝이 뾰족하지 않고 둔한 것으로 보아 좀진고사리로 판단된다. 하지만 진고사리와의 잡종인 개좀진고사리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을 듯하다. 2016. 06. 18. 지리산 ● 좀진고사리 Deparia conilii ↘ 고사리목 잔고사리과 진고사리속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녹갈색이고 잎이 2-3개씩 인접하여 나옴. 영양잎은 작으며 옆으로 넘어지지만 실엽은 크고 곧추 선다. 엽병은 엽신길이의 1/2정도이며 영양잎의 것은 더욱 짧고 엽축과 더불어 비늘조각 및 털이 있으며 밑부분에 비늘조각이 더욱 많다. 엽신은 피침형이고 끝이 꼬리처럼 길며 길이 10-20㎝(실엽 20-40㎝)로서 1회우상복엽이다. 우편은 선상 타.. 2016. 6. 26.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지리산 백무동 계곡 주변 바위틈에서 만난 잔고사리. 잎에 긴 털이 발달한 것이 특히 눈에 띈다. 속명은 독일의 식물학자 이름 A. W. Dennstadt에서 유래하였다. 종명 'hirsuta'sms '거친 털이 있는'을 뜻하는 말로 잎 전체에 갈색의 털이 있는 것을 두고 붙인 이름이다. 포자가 달린 잎은 포자가 달리지 않은 잎에 비해 크며, 같은 속의 황고사리처럼 포자낭이 얕은 컵처럼 생긴다. 2016. 06. 18. 지리산 ●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 고사리목 잔고사리과 잔고사리속 근경은 가늘고 짧게 옆으로 뻗으며 긴 털이 있다. 중간중간에서 어린 식물체가 나온다. 잎은 약간 드문드문 나오고 길이 15~35cm 정도로서 엽병과 더불어 백색 또는 연.. 2016. 6. 25. 황고사리 Dennstaedtia wilfordii 잎이 연한 황색이며 갈래조각이 황련(Coptis Chinensis)과 비슷하여 황고사리라고 한다. 잔고사리(D. hirsuta)에 비해 전체에 털이 거의 없고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벋는다. 포자낭은 갈라진 잎조각 가장자리에 만들어진 컵(주머니)처럼 생긴 포막 속에 만들어진다. 전국 각지 바위 밑이나 약간.. 2015. 7. 31.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고사리목 잔고사리과 잔고사리속의 양치식물로 잎에 긴 털이 발달한 것이 특히 눈에 띈다. 포자낭이 달리지 않는 잎은 짧고 결각도 얕게 갈라진다. 속명은 독일의 식물학자 이름 A. W. Dennstadt에서 유래하였다. 종명은 'hirsutus(거친 털이 있는)'에서 유래하였으며, 잎 전체에 갈색의 털이 있는 것을 두고 붙인 이름이다.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자란다. 2015. 07. 02. 남한산성 ●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 고사리목 잔고사리과 잔고사리속근경은 가늘고 짧게 옆으로 뻗으며 긴 털이 있다. 중간중간에서 어린 식물체가 나온다. 잎은 약간 드문드문 나오고 길이 15~35cm 정도로서 엽병과 더불어 백색 또는 연한 갈색의 가는 털이 있다. 엽신은 .. 2015. 7. 21.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청계산 골짜기에서 만난 잔고사리. 고물고물 잼잼~. 긴 털이 촘촘이 난 앙증스런 고사리손이 자라나고 있다. 잔고사리는 산지의 바위틈이나 낭떠러지 곁에서 자란다. 바위틈에 뿌리를 박고 자라는 특성 때문인지 잎의 크기는 10cm 미만으로 고사리로는 아주 작은 편이다. 작아서 잔고사린 줄 알았더니 포자낭이 얕은 컵처럼 생긴다고 잔고사리라 부른단다. 긴 털이 특징이며 포자가 달린 잎은 포자가 달리지 않은 잎에 비해 크다. 영양엽은 잎의 크기가 포자엽에 비해 작다. 포자엽은 영양엽에 비해 잎이 크다. ●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 Hairy hayscented fern ↘ 잔고사리과 잔고사리속 가는 뿌리줄기가 옆으로 짧게 뻗어가며 잎이 촘촘히 나온다. 잎은 길이 15∼35cm이고 잎자루와 .. 2015. 4. 27. 황고사리 Dennstaedtia wilfordii 황고사리는 잔고사리과 잔고사리속의 고사리로 바위 밑이나 습기가 있는 곳에서 자란다. 잎의 색이 연한 황색이고 갈래조각이 미나리아재비과의 황련(Coptis japonica)과 비슷하여 황고사리라 부른다고 한다. 잔고사리(D. hirsuta)에 비해 전체에 털이 거의 없고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벋는다. 천마산 ● 황고사리 Dennstaedtia wilfordii ↘ 고사리목 잔고사리과 잔고사리속 높이는 15~30cm이다. 뿌리줄기는 가늘고 옆으로 뻗으며, 갈색 털이 있다. 잎은 2형으로 영양엽과 포자엽이 있다. 영양엽은 길이 6~18cm로, 너비 2.5~11cm로 포자엽보다 약간 작고, 잎몸은 2~3회 깃꼴로 갈라진다. 표면에는 광택이 나고 타원상의 피침형이다. 잎자루는 광택이 나고 길이 5~30cm 정도.. 2012. 7. 16. 황고사리(Dennstaedtia wilfordii) 포자엽과 포자낭 황고사리는 잔고사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황련고사리라고도 한다. 바위 밑이나 약간 습기가 있는 곳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잎이 대개 연한 황색이며 갈래조각이 황련과 비슷하기 때문에 황고사리라고 한다. 잎축에 날개 잎이 빈약하게 붙은 느낌이 드는 고사리이다. 포자낭이 잎 길래조.. 2009. 10. 21. 황고사리 Dennstaedtia wilfordii ↓ 남한산 ● 황고사리 Dennstaedtia wilfordii / 고사리목 잔고사리과 잔고사리속 근경은 가늘고 옆으로 뻗으며 갈색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5-30㎝로서 밑부분이 흑자색이지만 잎의 우축 밑부분까지 적갈색으로 되는것도 있다. 엽신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10-30㎝, 나비 3-7㎝로서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며 잔털이 약간 있다. 깃조각은 넓은 난상 능형이고 대가 있으며 열편은 깊게 갈라지고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다. 포자낭군은 각 열편 측맥 끝에 달리며 포막은 갈색이고 길이와 나비가 각각 1mm 정도이다. 2009. 8. 18. 부드럽고 앙증스런 잔고사리 Dennstaedtia hirsuta 오월 첫날, 수락산 계곡의 바위틈에서 앙증맞은 모습의 잔고사리가 싱그럽게 자라나고 있다. 잎이 자잘하게 작다고 해서 잔고사리인가 싶었는데, 포자낭이 컵 모양이어서 잔고사리가 된 것이 맞는 듯하다. 고사리과의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산기슭의 바위틈이나 낭떠러지 곁에서 자.. 2009. 5. 17. 황고사리 포자엽 Dennstaedtia wilfordii 황고사리는 잔고사리과의 양치식물로, 잎이 연한 황색이며 갈래조각이 황련과 비슷한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전국 각지 바위 밑이나 습한 곳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남한산 ● 황고사리 Dennstaedtia wilfordii / 잔고사리과의 다년초 엽병은 길이 5-30㎝로서 밑부분이 흑자색이지만 잎의 우축 .. 2008. 8. 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