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동과136

덜꿩나무 Viburnum erosum, 열매 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의 관목으로 햇볕이 적당히 드는 숲 가장자리에 다른 잡초들과 어울려서 자란다. 중부 이남의 표고 100~1,600m 지역에 널리 자란다.     ↓ 2009. 10. 11.  대이작도       ● 덜꿩나무 Viburnum erosum | Erosum viburnum  /  산토끼꽃목 산분꽃나무과 산분꽃나무속의 낙엽활엽관목높이가 2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별털이 밀생하며 기름샘(脂點)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4~10cm 넓이 2~5cm로서 달걀형, 타원상 긴 달걀형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심장모양이다. 뾰족한 톱니가 있고 표면에 별털이 드문드문 있으며 뒷면에 별털이 밀생하고 맥겨드랑이에 희거나 갈색의 긴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2-6mm로서 털이 있고 턱잎이 있다.. 2009. 11. 17.
분꽃나무 Viburnum carlesii 열매 ↓ 대이작도 ● 분꽃나무 Viburnum carlesii | Fragrant Viburnum, Carlesii Viburnim / 인동과(Caprifoliaceae)의 낙엽활엽관목 높이가 2m에 달하고 가지는 마주나며 햇가지와 겨울눈에 별털이 밀생한다. 잎은 마주나며 길이 3~10cm로서 넓은 달걀형 또는 원형이고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밑이 둥글거나 심장 .. 2009. 11. 17.
가막살나무일까, 덜꿩나무일까 => 개덜꿩나무 Viburnum erosum var. vegetum 대이작도에서 만난 이 나무는 잎이 크고 둥글어서 얼핏 분꽃나무처럼 보였다. 하지만 열매가 둥근 것이 길쭉한 분꽃나무와는 다르다. 가막살나무일까 살펴보니 잎자루가 짧은 점과 엽질이 덜꿩나무와 더 닮았다. 그런데 잎이 이렇게 크고 둥근 덜꿩나무가 있던가?(보통 덜꿩나무 잎은 가막살나무에 비해 작고 좀 길쭉한 편인 것으로, 잎자루가 많이 짧은 것으로, 열매가 적게 달리는 것으로, 열매에 털이 있는 것으로, 꽃자루의 색이 녹색인 가막살나무에 비해 붉은 색이 도는 갈색인 것으로, 정아(頂芽)가 없는 것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검색하다 보니 덜꿩나무의 변종인 개덜꿩나무(var. vegetum)라는 게 있다. 나무가 전체적으로 크고 잎이 원형에 가깝다고 하니 딱 부합하는 듯하다. ↓ 대이작도 ● 개덜꿩나무 Vibur.. 2009. 11. 17.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 Golden-and-silver Flower) 꽃과 열매 ↓ 대이작도 ↓ 백령도 ● 인동덩굴 Lonicera japonica | Japanese Honeysuckle, Golden-and-silver Flower / 인동과(Caprifoliaceae)의 반상록활엽의 덩굴성 관목 줄기가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가고 햇가지는 적갈색이며 골속이 비어 있고 황갈색 털이 밀생한다. 잎은 넓은 바소꼴 또는 달걀모양 타원형이며 끝이 .. 2009. 11. 17.
청괴불나무 열매 Lonicera subsessilis 주왕산에서 만난 괴불나무.  가지가 마주나고 한여름에 2개씩 짝을 지어 붉은 열매를 단 모습으로 보아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인 청괴불나무이지 싶다. 청괴불나무는 평안남도에서 전라남도까지 주로 백두대간 분포한다고 하는데, 열매는 잎겨드랑이에서 윗부분까지 합쳐진 모습으로 보인다.     ↓ 2009. 08. 12.  주산지 입구       ● 청괴불나무 Lonicera subsessilis  /  산토끼꽃목 인동과 인동속 낙엽 활엽 관목높이 2m. 일년생가지 자갈색이 돌며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형, 예두이고 넓은 예형 또는 원저이며 길이와 폭이 각 3 ~ 5.5cm × 2 ~ 2.5cm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잎자루는 길이 2 ~ 5mm로 털이 없다. 꽃은 6월에 새가지.. 2009. 9. 9.
분꽃나무(Viburnum carlesii) 열매 예전에는 섬분꽃나무로 불렸으리라. 잎이 둥글고 잎의 질감이 두꺼운 서해안의 분꽃나무는 강원도 깊은 산의 분꽃나무와는 분위기가 좀 다르다. 인동과의 관목으로 여러 줄기가 올라와 키가 2m 정도 자란다. 가지가 2개씩 마주 나와 비스듬히 뻗어 위쪽이 둥그스름해진다. 아직 푸른 열매.. 2009. 8. 16.
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 지리산 ● 백당나무 Viburnum sargentii | Sargent viburnum / 인동과의 낙엽관목 높이 약 3m이다. 나무껍질은 불규칙하게 갈라지며 코르크층이 발달한다. 새가지에 잔털이 나며 겨울눈은 달걀 모양이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와 나비가 각각 4∼12cm이다. 끝이 3개로 갈라져서 양.. 2009. 7. 13.
인동덩굴(Lonicera japonica) ※ 대모산 인동덩굴 Lonicera japonica | Japanese Honeysuckle, Golden-and-silver Flower Caprifoliaceae(인동과)의 반상록활엽의 덩굴성관목 줄기가 오른쪽으로 감아 올라가고 햇가지는 적갈색이며 골속이 비어 있고 황갈색 털이 밀생한다. 잎은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며 예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3-8cm, 너비 1-3cm로.. 2009. 6. 22.
가막살나무 Viburnum dilatatum, 덜꿩나무 Viburnum erosum 단풍섬 이 개체는 잎이 비교적 얇고 털이 별로 없으며 잎맥을 따라 주름이 많이 잡힌 모습이 보통 덜꿩나무와는 다르다. 엽질은 가막살나무를 닮은 느낌이지만 잎의 형태가 차이가 있어 보인다. 그래도 가막살나무일까? 주변의 다른 덜꿩나무들 ● 덜꿩나무 Viburnum erosum | Erosum viburnum / 인동과 산분꽃나무속의 낙엽활엽관목 높이 약 2m로 자라고 어린 가지에 성모(星毛)가 빽빽히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달걀 모양의 타원형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등이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심장밑 모양이며 길이 4∼10cm, 나비 2∼5cm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 앞면에는 성모가 드문드문 있고 뒷면에는 가막살나무에 비해 성모가 빽빽히 자란다. 잎자루는 길이 2∼.. 2009. 6. 18.
털계요등, 털인동 어린풀 서해의 작은 섬에서 잎과 줄기에 털이 난 두 덩굴풀을 만난다. 아마도 바람타는 섬이어서 생태형으로 털이 발달하게 된 것 같다. ■ 털계요등(Paederia scandens var. velutina) : 꼭두서니과 잎은 마주나고 넓으며 달걀꼴 또는 달걀모양 바소꼴에 끝이 뾰족하고 잎밑은 둥글거나 심장 모양, 또는 자른 듯한 모양.. 2009. 6. 18.
가막살나무, 꽃맹아리 달릴 무렵 고향의 선선에서 만나 가막살나무, 꽃망울을 단 꽃차례를 내밀었다. 손바닥만큼 잎이 유난히 크고 둥글어 덜꿩나무와는 확연히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경남 합천 가회 ● 가막살나무 Viburnum dilatatum / 산토끼꽃목 인동과 산분꽃나무속의 낙엽관목 높이는 3m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며 둥글거나 넓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톱니가 있다. 잎 뒷면에 액을 분비하는 선점이 있고 양면에 별 모양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6~20mm이고 턱잎은 없다. 꽃은 흰색이며, 6월에 잎이 달린 가지 끝이나 줄기 끝에 취산꽃차례로 핀다. 화관에 털이 있고 수술이 화관보다 길다. 열매는 달걀 모양 핵과로 10월에 붉게 익는다. 2009. 6. 6.
분꽃나무 Viburnum carlesii 덕적도 ● 분꽃나무 Viburnum carlesii | Fragrant Viburnum, Carlesii Viburnim / 인동과의 낙엽활엽관목 높이가 2m에 달하고 가지는 대생하며 소지와 동아에 성모가 밀생한다. 잎은 대생하며 길이 3~10cm로서 넓은 난형 또는 원형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원저 또는 심장저이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표.. 2009. 6. 3.
분꽃나무(섬분꽃나무) Viburnum carlesii 수목원의 분꽃나무와 섬분꽃나무는 비슷하면서도 조금 다른 색감과 질감을 보인다. 하나는 강원도 깊은 산에 자생하고 하나는 바닷가에서 자란다. 그래서 두 종을 분리시켜 이름을 달리했는데, 현재는 섬분꽃나무는 이명으로 처리되고 분꽃나무에 통합되었다. 분꽃나무 섬분꽃나무 ● .. 2009. 5. 7.
홍릉수목원의 왕괴불나무는 길마가지나무, 청괴불나무는 숫명다래나무일까 ☞ 홍릉수목원의 '왕괴불나무'는 길마가지나무 아닐까? <이유> 1. 왕괴불나무는 5,6월에 꽃이 피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은 올괴불나무와 같은 시기인 3월 초중순에 핀다. 2. 햇가지에 억센털이 나는 모습이 길마가지나무의 특징으로 보인다. ☞ 홍릉수목원의 '청괴불나무'는 숫명다래나무 아닐.. 2009. 3. 30.
홍릉수목원의 '왕괴불나무', 길마가지나무가 아닐까 ☞ 홍릉수목원의 '왕괴불나무'는 길마가지나무 아닐까? <이유> 1. 왕괴불나무는 5,6월에 꽃이 피는데 이것은 3월 초중순에 핀다. 2. 햇가지의 억센털이 길마가지나무의 특징으로 보인다. 과연 요 귀여운 꽃이 '왕괴불나무'가 맞는 것일까? 지난해 자란 1년지를 자세히 보면 이렇게 억센.. 2009.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