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양구13

두타연의 풀꽃나무들 (긴잎갈퀴, 큰방울새란, 다래, 회목나무) 6월 첫 일요일, 꼭 10 년만에 두타연을 찾는다.  두타연은 민통선 북방 비무장지대로 금강산 가는 길목이었던 아름다운 계곡에 자리잡고 있으며, 천연기념물인 열목어의 국내 최대 서식지로 청정한 자연 환경이 보존된 덕에 트레킹 코스로 각광받는 관광지로 개방된 곳이다. 예전에는 사전 예약으로 방문할 수 있는 곳이었지만 2013년부터는 당일 출입 방문이 가능하게 되었다. ☞ 2007년 방문기 => https://kheenn.tistory.com/12384356, https://kheenn.tistory.com/12390914   오늘 이곳을 찾게 된 것은 큰방울새난(큰방울새란)를 만나기 위한 것!    입구에서 꽃 핀 개회나무를 관찰하다 바로 곁에 낯설면서도 어디서 본 듯한 열매를 단 나무를 만난다.     .. 2017. 6. 9.
양구 대암산, 금강초롱, 흰물봉선, 눈빛승마, 난쟁이바위솔, 궁궁이, 하얀선녀버섯, 애기버섯 조선생으로부터 대암산 용늪 가자는 전화가 왔다. 용늪이라니! 접근이 금지돼 있는 곳에 어떻게 간다는 건지. 희귀 야생화 메니어들이나 몰래 들어가서 사진을 찍어 오는 거야 알고 있지만, 일반인들 접근이 허용되지 않는 걸로 아는데, 모 산악회에서 거길 간단다. 이게 웬일인가 싶어 .. 2012. 10. 13.
으아리(두타연) 2007. 12. 31.
원추리(두타연) ▶ 촬영지 : 양구군 두타연 2007. 12. 31.
석잠풀 Stachys riederi var. japonica, 털석잠풀 Stachys japonica var. villosa 두타연 ● 석잠풀 Stachys riederi var. japonica /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는 옆으로 길게 벋고 흰색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30∼60cm이며 횡단면이 사각형이고 모서리를 따라 밑을 향한 센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4∼8cm의 바소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 2007. 12. 31.
세잎꿩의비름 Hylotelephium verticillatum 세잎꿩의비름은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바위틈이나 풀밭에서 자란다. 새끼꿩의비름과 아주 닮았는데, 새끼꿩의비름은 잎겨드랑이에 구슬눈(珠芽)이 성숙하여 번식하는 점이 세잎꿩의비름과 다르다. 양구 ● 세잎꿩의비름 Hylotelephium verticillatum / 장미목 돌나물과 꿩의비름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암자색을 띠며 높이 30∼50cm이다. 잎은 보통 세 잎으로 돌려나지만 일부 마주나거나 어긋나는 것도 있고 타원형 또는 바소꼴이다. 끝이 둔하고 밑부분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마르면 세 맥이 뚜렷해지며 흔히 부분적으로 흑갈색 반점이 있고 잎자루는 길이 2∼10mm이다. 꽃은 8∼9월에 피고 누른빛이 도는 녹백색이며 윗부분에 산방상꽃차례로 빽빽이 달린다. 달걀 모양의 꽃받침조각.. 2007. 12. 31.
좀고추나물(두타연) Hypericum laxum 좀고추나물은 중부 이남 습지에서 자라는 물레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이다. 애기고추나물과 비슷하지만 수술이 10~20개인 애기고추나물에 비하여 적고 포엽이 난상 타원형인 것이 다르다. 두타연 ● 좀고추나물 Hypericum laxum / 물레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5~30cm이고 줄기에 4개의 능.. 2007. 12. 31.
자생지에서 만난 좀개미취 민통선 안에서 자생하는 것으로는 처음으로 만나본 좀개미취이다. 좀개미취 Aster maackii Regel | Maack Aster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45-85cm이고 자주빛이 도는 줄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져서 산방상이 된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중앙부의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피침형이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 2007. 12. 31.
넓은잎바늘꽃 Epilobium cephalostigma var. nudicarpum 처음에는 돌바늘꽃일까 했는데, 돌바늘꽃은 "화경은 짧고 씨방과 더불어 굽은 털이 있다."고 하는 점과 맞지 않는다. 돌바늘꽃의 변종으로 전체적으로 (잎가장자리 이외에) 털이 없는 넓은잎바늘꽃으로 보인다. 한라산과 금강산 이북 지역에 분포한다. 두메바늘꽃(Epilobium angulatum)에 비해 .. 2007. 12. 30.
물레나물 Hypericum ascyron 꽃잎이 바람개비 모양으로 생긴 데서 물레나물이란 이름이 유래했다. 유난히 긴 수술들이 윤기가 나고 옅은 노란색 꽃잎이 노랑나비 같아 금사호접이라 부르기도 한다. 양구군 대암산 부근 ● 물레나물 Hypericum ascyron / 물레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네모지며 가지가 갈라.. 2007. 12. 30.
양구 두타연 계곡과 풀꽃들 (2) 양구 두타연 계곡과 풀꽃들 (2) 2007. 08. 03 다음으로 이동한 곳은 두타연의 상류 골짜기. 금강산으로 가는 길이 이 골짜기를 따라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비포장 도로를 따라 달리는 차창 너머로 보랏빛 꽃송이를 점점이 피운 장대냉이가 보이는데 차를 세우기가 뭣하여 안타까워 한다. 이.. 2007. 8. 29.
양구 두타연 계곡과 풀꽃들 (1) 양구 두타연 계곡과 풀꽃들 (1) 2007. 08. 03 우리 여행의 마지막날, 오늘의 일정은 두타연 탐방이다. 양구명품관 뜰에서 출발을 기다리면서 풀밭에 나 있는 풀들을 담아본다. 눈에 잘 띄지 않는 작은 풀들도 이처럼 아름다운 꽃을 가졌다. 마디풀 꽃 애기땅빈대 위의 모습을 초접사하니 꽃과 .. 2007. 8. 29.
인제산촌박물관, 양구생태식물원, 그리고 풀꽃들 인제산촌박물관, 양구생태식물원, 그리고 풀꽃들 2007. 08. 02 엊저녁은 강 선생의 친구인 부대장 덕택에 맛있는 삼겹살에 소주 한잔을 거나하게 마시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부대장은 민통선 안에 있는 금강산 지산인 향로봉 탐방을 약속했는데 새벽에 내린 폭우로 야무진 꿈은 무산되고.. 2007.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