쐐기풀과50 모시풀 1 쐐기풀과 모시풀속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1-2m이다. 잎은 어긋나며 끝은 꼬리처럼 길고 앞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솜털이 밀생하여 흰색을 띤다. 꽃은 7-8월에 암수한포기로 피는데 황백색 수꽃차례는 원줄기 아래쪽에, 연한 녹색의 암꽃차례는 위쪽에 달린다.모시 섬유용으로 재배하며 잎을 식용한다. 중국 원산이며, 재배하던 것이 야생으로 퍼져나가 자라고 있다. 2009. 09. 07. 전남 영광 모시풀 수꽃 모시풀 암꽃 모시풀 전초 잎 뒷면이 희다 ● 모시풀 Boehmeria nivea | Ramie, Chinese Silk Plant, China Grass ↘ 목련강 쐐기풀목 쐐기풀과 모시풀속 여러해살이풀원줄기는 높이 1-2m이고 둥글며 약간 가지가 갈라지기도 하고 녹색으로서 엽병과 더.. 2009. 1. 31. 풀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var. unicuspis 풀거북꼬리는 거북꼬리(Boehmeria tricuspis)의 변종v(ar. unicuspis)으로 잎 끝이 3개로 갈라지지 않으며 중부 이북에서 자란다. 남부지방에 자생하는 좀깨잎나무와 닮았으나 줄기 아래쪽에 목질부가 없다. 남한산성 ● 풀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var. unicuspis / 쐐기풀목 쐐기풀과 모시풀속 높이가 .. 2009. 1. 22. 산물통이 Pilea japonica ※ 천마산 ● 산물통이 Pilea japonica / 쐐기풀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10-2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부드럽고 다소 적갈색이 돈다. 잎은 대생하며 막질이고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위로 올라가면서 그 모양이 달라지고 길이 1-3cm로서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밑부분은 넓은 예저이고 윗부분에.. 2008. 12. 25. 개모시풀 Boehmeria platanifolia 개모시풀은 왕모시풀이나 왜모시풀에 비해 잎이 얇고 끝은 둥근형 톱처럼 깊게 패인 것이 보통이며, 앞쪽이 3갈래로 갈라지고 꽃이삭은 가늘며 길다. 섬유식물이지만 섬유가 약하여 잘 쓰지 않는다. 천마산 ● 개모시풀 Boehmeria platanifolia /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1m 이다. 줄기.. 2008. 12. 24. 혹쐐기풀(Laportea bulbifera)의 열매, 주아 쐐기풀의 특징대로 온 몸에 가시털을 가지고 있어 거칠어 보이는 풀이지만, 혹쐐기풀은 늙어도 섬유가 굳어지지 않아 초식동물이 즐겨 먹는다고 한다. 잎겨드랑이에 구슬눈이 달리는데, 종자와 함께 번식하는 기능을 한다. 혹쐐기풀은 암수한그루(일가화)이지만 수꽃차례와 암꽃차례가 .. 2008. 12. 7. 큰쐐기풀 Girardinia cuspidata 큰쐐기풀은 중부 이북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쐐기풀과 비슷하지만 줄기와 잎이 훨씬 크고 잎이 마주나는 쐐기풀과 달리 잎이 어긋난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로 분포지가 많지 않은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이다. 모시풀과 마찬가지로 줄기 섬유는 방직 원료로 쓰일 수 있다. 2008. 08. 24. 공주 마곡사 계곡 ● 큰쐐기풀 Girardinia cuspidata | cuspidate girardinia ↘ 쐐기풀목 쐐기풀과 큰쐐기풀속의 여러해살이풀25~80cm 높이로 자라며 줄기에 가시털(刺毛)이 성글게 있다. 잎은 어긋나며 달걀형 또는 원형에 가깝고 잎끝은 꼬리 모양이고 잎밑은 둥글거나 편평하며 가장자리에 결각상 톱니가 있고 톱니 끝이 뾰족하.. 2008. 11. 23. 좀깨잎나무 Boehmeria spicata 모시풀속의 자생종 중에서 유일한 목본식물이다. 잎의 크기와 형태가 풀거북꼬리와 비슷하여 혼동하기 쉬우나, 줄기가 목질인 점과 입의 톱니가 결각상에 가까울 정도로깊고 커서 구별된다. 합천 가회 ● 좀깨잎나무 Boehmeria spicata / 쐐기풀목 쐐기풀과 모시풀속 낙엽 활엽 반관목 높이 50.. 2008. 11. 2. 풀거북꼬리 ▶ 남한산 풀거북꼬리 암꽃 풀거북꼬리 수꽃 풀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var. unicuspis Makino 쐐기풀과의 다년초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거북꼬리와 달리 끝이 3개로 갈라지지 않는다. 긴 엽병이 있으며 엽병은 붉은빛이 돈다. 가장자리에는 거친 톱니가 있다. 높이가 1m에 달하며 줄기는 여러 개가 한군데.. 2008. 8. 2. 왜모시풀 Boehmeria longispica 일본에 흔하기 때문에 왜모시풀이란 이름이 붙었으며, 남부지역에서 흔하게 분포하고 중부지방에서는 아주 드물게 관찰된다. 모시풀속(Boehmeria) 가운데 좀깨잎나무가 대륙성의 반목본성이라면 왜모시풀은 해양성 초본이다. 개모시풀에 비해 잎이 두껍고 잎끝이 꼬리처럼 긴 것이 특징이.. 2007. 12. 26. 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 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뭉쳐나고 높이는 1m에 달하며 뭉뚝하게 네모지고,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잎자루와 더불어 붉은색이 돈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 3갈래로 갈라지고 가운데의 갈라진 조각은 길이 2∼5cm로 거북꼬리처럼 된다... 2007. 12. 10. 애기쐐기풀 Urtica laetevirens 섬쐐기풀 Urtica laetevirens var. robusta 애기쐐기풀로 동정한 것이나, 애기쐐기풀의 변종으로 울릉도와 제주도, 거문도에 자생하는 섬쐐기풀 Urtica laetevirens var. robusta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섬쐐기풀은 잎몸 길이 9~16cm, 폭 9~12cm로 큰 점에서 잎몸의 길이 4~10cm, 폭 2~6cm로 작은 원변종인 애기쐐기풀과 구별된다. 울릉도 ● 애기쐐기풀 Urtica laetevirens | Small-leaf nettle / 쐐기풀목 쐐기풀과 쐐기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여러 개가 한군데에서 나와 가지를 쳐서 큰 포기를 이루고 단면이 사각형이며 높이가 50∼100cm이고 잔털과 자모(刺毛:쏘는 성질의 액을 분비하는 가시 모양의 털)가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5∼10cm의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 2007. 12. 8. 모시풀 Boehmeria nivea 울릉도 도동의 동쪽 행남봉 너머 쪽에 자리잡은 저동(苧洞). 원래 모시풀이 많이 자라서 모시개로 불리다 '모시저(苧)'를 쓴 저동이란 이름이 유래되었다 한다. 섬모시풀이라는 것이 따로 있는데, 울릉도가 아닌 홍도 특산의 모시풀이다. ● 모시풀 Boehmeria nivea | ramie / 쐐기풀과의 여러해.. 2007. 12. 8. 좀깨잎나무, 왜모시풀, 개모시풀, 거북꼬리, 풀거북꼬리 서울 주변에서는 홍릉수목원에서만 봤을 뿐 다른 곳에서는 목질부가 뚜렷한 좀깨잎나무를 만난 적이 없다. 좀깨잎나무는 나무이고 거북꼬리는 풀임에도 내로라 하는 야생화 고수들도 좀깨잎나무와 거북꼬리를 확실히 구분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인터넷에선 중구난방으로 이들 이.. 2006. 11. 5. 개모시풀(아차산) Boehmeria platanifolia 개모시풀은 왕모시풀이나 왜모시풀에 비해 잎이 얇고 끝은 둥근형 톱처럼 깊게 패인 것이 보통이며, 앞쪽이 3갈래로 갈라지고 꽃이삭은 가늘며 길다. 섬유식물이지만 섬유가 약하여 잘 쓰지 않는다. 아차산 ● 개모시풀 Boehmeria platanifolia /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1m 이다. 줄기.. 2006. 9. 15. 모시물통이(푸른물통이) Pilea mongolica 모시물통이는 쐐기풀과의 한해살이풀로 모시풀 비슷하지만 물통이처럼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자라기 때문에 모시물통이라고 한다. 푸른물통이라고도 하며 그늘진 습지에서 흔히 자란다. 운길산 ● 모시물통이 Pilea mongolica / 쐐기풀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30∼50cm이다. 식.. 2006. 9. 3.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