쐐기풀과50 서양쐐기풀 Urtica dioica 평화누리길 파주 연천 지역 구간의 들길 농로 주변에서 심심치 않게 가는잎쐐기풀 닮은 쐐기풀을 만난다. 강원도 고산지대에서 만나는 가는잎쐐기풀에 비해 잎이 넓고 엽질이 두꺼워 뭔가 가는잎쐐기풀과는 다르다는 느낌이 든다. 지금껏 알고 있는 쐐기풀은 분명 아닌 듯하다. 그래서 쐐기풀 종류를 검색하다보니 서양쐐기풀(Urtica dioica)이란 종과 이미지가 겹친다. 아마도 외인부대의 발길이 많은 곳이어서 외래종 쐐기풀이 급속히 퍼진 것이 아닌가 싶다. 그리고 올해 양재천 등에서 발견하여 자원식물학회지에 보고된 자료도 검색된다. 유럽 원산으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단성화로 암수딴그루인 점, 5월에 개화 시작하여 결실이 이루어져 개화기와 결실기 가 빠른 점으로 다른 쐐기풀과 구별된다. 파주 문산 ● 서양쐐기.. 2022. 6. 29. 서양쐐기풀 Urtica dioica 경기둘레길이자 평화누리길 파주 구간에 들어서면서부터 농로와 수로 주변에 언뜻 가는잎쐐기풀처럼 보이는 쐐기풀을 심심치 않게 만난다. 그런데 이곳의 가는잎쐐기풀은 고산지에서 만나는 가는잎쐐기풀에 비해 키가 크고 잎도 훨씬 넓고 두꺼워서 가는잎쐐기풀과는 뭔가 다르다는 느낌이 든다. 그래서 쐐기풀 종류를 검색하다보니 서양쐐기풀과 이미지가 겹친다. 아마도 외인부대의 발길이 많은 곳이어서 외래종 쐐기풀이 급속히 퍼진 것이 아닌가 싶다. 그리고 올해 양재천 등에서 발견하여 자원식물학회지에 보고된 자료도 검색된다. 유럽 원산으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며, 단성화로 암수딴그루인 점, 5월에 개화 시작하여 결실이 이루어져 개화기와 결실기 가 빠른 점으로 다른 쐐기풀과 구별된다. 파주 탄현 ● 서양쐐기풀 Urtica dio.. 2022. 6. 28. 애기쐐기풀 Urtica laetevirens 애기쐐기풀도 잎자루에 잔털과 쏘는 털이 있는데 스치기만 해도 쓰라린 통증을 유발하는 쐐기풀이나 큰쐐기풀만큼 위험하지는 않은 듯하다. 골짜기 그늘진 곳에 무리지어 자라는데, 모양이 거북꼬리를 연상시킨다. 가는잎쐐기풀(U. angustifolia)에 비해 잎이 난형으로 둥글고 길이는 짧다. 월악산 ● 애기쐐기풀 Urtica laetevirens | broadleaf-nettle ↗ 쐐기풀목 쐐기풀과 쐐기풀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50-100cm이고 줄기는 네모지며, 위를 향한 잔털이 있고 여러 대가 한 군데에서 나오며 가지가 갈라져서 큰 포기로 된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밝은 녹색이며 길이 5-10cm, 나비 2.5cm이고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과 선점이 있다. 엽병.. 2017. 10. 26. 산물통이 Pilea japonica 중부지방 이남에 자생하는 쐐기풀과 물통이속의 한해살이풀로, 물통이 암꽃 화피조각은 보통 3개이나 산물통이는 5개인 점이 특징이다. 봉화 ● 산물통이 Pilea japonica / 쐐기풀목 쐐기풀과 물통이속 한해살이풀 높이 10-2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부드럽고 다소 적갈색이 돈다. 잎은 마주나.. 2016. 11. 9. 애기쐐기풀 Urtica laetevirens 애기쐐기풀은 가는잎쐐기풀에 비해 잎이 난형으로 둥글고 짧다. 긴 잎자루에 잔털과 쏘는 가시털이 있으며, 암수한포기로 꽃이 피는데 수꽃차례는 줄기 끝과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암꽃차례는 수꽃차례가 나온 아랫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봉화 ● 애기쐐기풀 Urtica laetevir.. 2016. 11. 9. 큰쐐기풀 열매 Girardinia cuspidata 큰쐐기풀은 큰쐐기풀속의 유일한 자생종으로, 쐐기풀과 비슷하지만 쐐기풀보다 크고 쐐기풀 잎이 마주나는 데 비하여 잎이 어긋난다. 식물 전체에 날카로운 쐐기털이 나 있어 이 가시털에 쏘이게 되면 포름산을 많이 포함한 개미산이 분비되어 쓰린 통증에 시달리게 되는 풀이다. 자생하는 쐐기풀속(Urtica) 중에서 독성이 가장 강하다. 경기도 이북에 분포하며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로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로 지정되어 있다. 정선 ● 큰쐐기풀 Girardinia cuspidata | Cuspidate girardinia ↘ 쐐기풀목 쐐기풀과 큰쐐기풀속 여러해살이풀 키 25-80cm이다. 줄기에 자모(刺毛)가 성글게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원형에 가깝고 꼬리모양에 원저(圓底) 또는 절저며 가장자.. 2016. 10. 14. 쐐기풀 Urtica thunbergiana 잎과 줄기의 가시에는 포름산이 있어 피부에 닿으면 쐐기나방의 애벌레에 쏘인 듯 따끔거려서 쐐기풀이라 부른다. 한 군데서 여러 줄기가 모여 자라며, 큰쐐기풀과 달리 잎이 마주나는 것으로 구별된다. 암수한그루로 보통 암꽃은 줄기 위쪽, 수꽃은 줄기 아래쪽에 달리는데 반대일 때도 있다.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 껍질은 섬유질이 발달하여 옷감을 짜는 데 쓴다. 2016. 06. 12. 가야산 ● 쐐기풀 Urtica thunbergiana ↘ 쐐기풀목 쐐기풀과 쐐기풀속 여러해살이풀한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와 곧게 자라며 높이 40-80cm이고 자모(刺毛)가 있으며 원줄기는 녹색이고 세로로 능선이 있다. 잎에 자모(刺毛)가 있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넓은 달걀모양 또는 난상 원형이고 녹색이며 끝은.. 2016. 6. 20. 나도물통이 Nanocnide japonica 4월 초순 선운산에서 꽃이 피는 나도물통이를 만났는데, 내장산-백양산 종주 산행에서 꽃이 지고 있는 나도물통이를 만난다. 나도물통이는 높이 10∼20cm로 자라며 어긋나게 달리는 잎자루는 길고 꽃은 단성화로 암수한그루이고 4월에 핀다. 수꽃은 연두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암꽃은 연한 붉은색으로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다. 제주도와 전남 백양산, 전북 선운산 등 산지 계곡부에 자라는 쐐기풀과 나도물통이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2016. 05. 01. 전남 백양산 ● 나도물통이 Nanocnide japonica ↘ 쐐기풀목 쐐기풀과 나도물통이속 여러해살이풀높이가 10~20cm이며 옆으로 뻗는 가지가 있고 줄기는 모여서 나며 연하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기.. 2016. 5. 8. 나도물통이 Nanocnide japonica 높이는 10∼20cm로 자라며 어긋나게 달리는 잎자루는 길고 꽃은 단성화로 암수한그루이고 4월에 핀다. 수꽃은 연두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나오고, 암꽃은 연한 붉은색으로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나온다. 물통이 종류와는 달리 꽃의 모양이 육안으로도 관찰되는 정도의 크기와 모습을 가졌다. 꽃잎은 없지만 수꽃은 긴 꽃대 끝에 다섯 개의 수술이 태엽처럼 말려 있다 별 모양으로 펼쳐지면서 꽃가루를 멀리 뿌리고, 암꽃은 잎겨드랑이 짧은 꽃대에 달린다. 튕긴 꽃가루는 바람을 타고 다른 꽃의 암술에 날아가서 가루받이가 된다. 제주도와 전남 백양산, 전북 선운산 등 산지 계곡부에 자라는 쐐기풀과 나도물통이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2016. 04. 09. 전북 고창 .. 2016. 4. 18. 나도물통이 Nanocnide japonica 물통이와 닮았다고 해서 나도물통이라 부르며 물통이속(Pilea)과 다른 나도물통이속(Nanocnide) 2종 중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제주도와 전남북의 그늘진 산골짜기에 자생한다. 물통이 종류와는 달리 꽃의 모양이 육안으로도 관찰되는 정도의 크기와 모습을 가졌다. 꽃잎은 없지만 수꽃은 긴 꽃대 끝에 다섯 개의 수술이 태엽처럼 말려 있다 별 모양으로 펼쳐지면서 꽃가루를 멀리 뿌리고, 암꽃은 잎겨드랑이 짧은 꽃대에 달린다. 튕긴 꽃가루는 바람을 타고 다른 꽃의 암술에 날아가서 가루받이가 된다. 수꽃의 꽃싸개는 5갈래이고 암꽃의 꽃싸개는 4갈래라고 하는데, 암꽃은 아직 성숙하지 못한 듯 관찰할 수 없었다. 2016. 04. 09. 선운산 수꽃은 수술이 5개로, 말려 있던 수술이 펼.. 2016. 4. 14. 백두산 가는잎쐐기풀 Urtica angustifolia 가는잎쐐기풀은 쐐기풀에 비해 잎이 길고 끝이 뾰족한 바소꼴을 가졌으며, 잎겨드랑이에서 이삭 모양의 꽃차례가 두 개가 자라나 암꽃과 수꽃이 핀다. 백두산 ● 가는잎쐐기풀 Urtica angustifolia | Narrow-leaf nettle ↘ 쐐기풀목 쐐기풀과 쐐기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뭉쳐나고 높이는 80cm 정도로 곧게 선다. 가지가 약간 갈라지며 둔한 사각형으로 가시털이 나 있다. 잎은 마주나고 길이 6∼12cm, 나비 1∼5cm로 톱니가 있는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짙은 녹색이다. 잎의 밑부분이 둥글며 양면에 털이 적고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잎자루는 1∼3cm로서 짧은 털이 있거나 없고 턱잎은 4개로 길이 7∼8mm이다. 7∼8월에 녹색 꽃이 피는데, 대개 단성화로서 잎겨드랑이에서.. 2015. 8. 16. 긴잎모시풀 Boehmeria sieboldiana 긴잎모시풀은 경기 이남, 전남북과 제주 등지에 분포하는 쐐기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제주긴잎모시풀이 등록되어 있는데 긴잎모시풀과 섬거북꼬리에 비해 잎이 좁은 피침형이고 잎밑이 둔한 쐐기형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또 제주에 분포하는 것으로 잎 뒷면.. 2015. 7. 7. 관목상의 섬모시풀 Boehmeria nivea var. nipononivea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는 섬모시풀을 모시풀(Boehmeria nivea)의 변종(var. nipononivea)으로 보고 형태를 여러해살이풀로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아래 사진에서 보듯이 섬모시풀은 줄기가 2m 이상으로 자랄 뿐더러 딱딱한 목질을 가진 가지가 벌어진 모습은 관목과 다름없다. 이 관목상의.. 2014. 11. 26. 산물통이 꽃 Pilea japonica 산물통이는 쐐기풀과의 한해살이풀로 산지의 물기 있는 산그늘에서 자란다. 암수한그루로서 꽃줄기 끝에 길이 1~3mm로 연한 녹색의 꽃이 모여 달리며 암꽃과 수꽃이 섞여 있다. 화피갈래조각이 암꽃에는 5개, 수꽃에는 4개가 있으며 수꽃에는 4개의 수술이 있다. ↓ 괴산 ● 산물통이 Pilea j.. 2012. 10. 27. 왕모시풀, 좀깨잎나무 꽃이 피다 전남 고흥 거금도에서 만난 좀깨잎나무와 왕모시풀, 동시에 꽃을 피우고 있다. ● 좀깨잎나무 Boehmeria spicata 좀깨잎나무는 산골짜기 시내 근처와 돌담 또는 숲가장자리에서 자라는 쐐기풀과의 관목이다. 높이 50∼100 cm이며 무더기로 나오고 붉은빛이 돈다. 잎은 마주달리고 사각상 달걀 .. 2012. 9. 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