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기과14

댕댕이덩굴 열매 Cocculus trilobus 어린 시절 '댕기넝쿨'이라 불렀던 댕댕이덩굴. '댕강넝쿨'이라고도 한다.  황해도 이남의 들판이나 숲가에서 자라는 새모래덩굴과(또는 방기과)의 반관목이다. 덩굴 부분은 가을이면 말라 죽지만 밑부분이 목질로 월동하므로 반관목으로 본다. 6월 무렵에 꽃이 핀다. 암수딴그루로 열매는 암그루에만 달린다.   2015. 09. 26.  경남 합천 가회     ● 댕댕이덩굴 Cocculus trilobus   ↘  미나리아재비목 방기과 댕댕이덩굴속 낙엽활엽 덩굴 반관목 줄기는 3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줄기와 잎에 털이 있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길이 3∼12cm, 나비 2∼10cm로서 3∼5맥이 뚜렷하다. 암수딴그루로 6월에 황백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2015. 10. 13.
새모래덩굴 열매 Menispermum dauricum 새모래덩굴은 새모래덩굴과(또는 방기과) 새모래덩굴속(Menispermum)의 유일한 자생종으로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암수딴그루로 잎겨드랑이에서 꽃차례가 달리는데, 암그루에 흔치 않게 달리는 열매는 가을에 검게 익는다.    2015. 07. 02.  남한산성        ● 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 Asiatic Moonseed  ↘  미나리아재비목 방기과 새모래덩굴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털이 없고 길이가 1∼3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와 폭이 5∼13cm이며 둥근 콩팥 모양 또는 둥근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얕게 5∼7개로 갈라진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가 3∼10mm이고 잎몸의 뒷면에 달린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 2015. 7. 21.
댕댕이덩굴(Cocculus trilobus) 암꽃과 열매 댕댕이덩굴은 새모래덩굴과 함께 방기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성 아관목이다. 덩굴나무로 분류되지만, 야산에서 잘 자라므로 줄기는 풀처럼 연약한 상태에서 제거되어서 덩굴나무로 자란 모습을 보기는 쉽지 않다. 줄기는 어릴 때는 녹색이지만 오래되면 회색으로 변한다. '댕강넝쿨, 댕기넝쿨'이라고도 한다. 6월 무렵에 꽃이 핀다.암수딴그루로 열매는 암그루에만 달린다. 황해도 이남의 양지바른 들판이나 숲가, 산기슭, 돌담에 자란다. ↓ 경남 합천 가회 ● 댕댕이덩굴 Cocculus trilobus | Queen coral beads ↘ 미나리아재비목 방기과 댕댕이덩굴속 덩굴 반관목 길이가 3m에 달하고 줄기와 잎에 털이 있다. 줄기가 어릴 때는 녹색이지만 오래되면 회색으로 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윗부분이 3개.. 2011. 9. 2.
댕댕이덩굴(Cocculus trilobus) 열매 댕댕이덩굴은 암수딴그루여서 암그루에만 열매가 달린다. 열매는 핵과로 모양과 색깔이 머루를 닮아 10월에 푸른빛이 감도는 검정색으로 익는다. 열매의 지름은 5~8mm이며 속에 든 종자는 지름 4㎜ 정도의 편평한 원형으로 중앙에 구멍이 있고 많은 고리 모양 줄(環狀線)이 있다. 방기과의 .. 2011. 1. 8.
굴업도의 당당한 댕댕이덩굴 Cocculus trilobus 굴업도 마을 뒤 임도 주변에서 만난 댕댕이덩굴. 덩굴줄기가 엄지손가락 정도로 굵은데 돌뽕나무(개뽕나무)를 타고 올라 무성한 줄기와 잎을 거느리고 있었다. 꽃은 이미 지고 열매가 달렸지만 이렇게 위풍당당한 모습을 가진 댕댕이덩굴은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것이어서 자세히 찍어 .. 2009. 10. 15.
댕댕이덩굴 Cocculus trilobus '댕기넝쿨'이라고 불렀던 덩굴식물이다. 풀처럼 보이지만 지상부 줄기의 일부가 남아 있어서 나무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니 풀과 나무의 특성을 동시에 가진 나무라 하겠다. 암수딴그루인데 암꽃에 비해 수꽃이 흔하게 보인다. 산과 들이 단풍 들고 퇴색하는 가을날, 수풀에 조랑조랑 달.. 2009. 7. 31.
댕댕이덩굴 수꽃 Cocculus trilobus 꽃은 '2가화'로 설명되고 있는데 관찰 경험에 따르면 암수딴그루이며 수꽃이 먼저 피고 암꽃은 약간의 시차를 두고 늦게 핀다. ▶ 남한산 ● 댕댕이덩굴 Cocculus trilobus | Japanese Snailseed / 방기과의 낙엽활엽 만목 잎은 호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지만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하고 .. 2008. 8. 3.
새모래덩굴 수꽃 Menispermum dauricum 가막덩굴이라고도 하며 산기슭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방기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달린다.  잎몸은 원형으로 가장자리에 3~7개의 얕은 결각이 있는 점에서 밋밋한 함박이(Stephania japonica)와 구별된다. 함박이는 남해안 지역에 자생하는 상록성 식물이다.    2008. 05. 24.  남한산성        ● 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 Asiatic Moonseed  /  방기과 새모래덩굴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줄기에 털이 없고 길이 1-3cm로서 길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녹색의 원주형이다. 뿌리를 만주방기(滿洲防己)라 한다. 잎은 호생하며 첨두 심장저이고 3-7각이거나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길이와 폭이 각각 5-13cm로서 표면은 녹색이고.. 2008. 6. 16.
새모래덩굴 수꽃 Menispermum dauricum 새모래덩굴은 방기과의 새모래덩굴속의 유일한 자생종으로 암수딴그루인 여러해살이풀이다. 암꽃을 찾지 못해 수꽃만 담아서 아쉽다.      2008. 05. 10.  남한산성        ● 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  방기과 새모래덩굴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줄기는 털이 없고 길이가 1∼3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와 폭이 5∼13cm이며 둥근 콩팥 모양 또는 둥근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얕게 5∼7개로 갈라진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가 3∼10mm이고 잎몸의 뒷면에 달린다.꽃은 암수딴그루이고 5∼6월에 노란 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나온 꽃대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은 꽃받침조각이 4∼6개이고 꽃잎이 6∼10개이며 수.. 2008. 5. 31.
새모래덩굴 수꽃 새모래덩굴은 암수딴그루로 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그루에서 핀다. 덩굴에서 피는 꽃이 작아 육안으로 구별하기 쉽지 않아 담다 보니 수꽃만 찍고 암꽃은 담지 못했다.    2008. 05. 06.  천마산 입구        ● 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  방기과 새모래덩굴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줄기는 털이 없고 길이가 1∼3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와 폭이 5∼13cm이며 둥근 콩팥 모양 또는 둥근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얕게 5∼7개로 갈라진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길이가 3∼10mm이고 잎몸의 뒷면에 달린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고 5∼6월에 노란 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나온 꽃대에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은 꽃받침조.. 2008. 5. 28.
암꽃과 수꽃이 딴그루인 댕댕이덩굴 Coculus trilobus 댕댕이덩굴 꽃을 처음으로 관찰하면서 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그루에서 피는 암수딴그루임을 확인한다.  두산 백과사전에는 댕댕이덩굴 꽃을 '양성화'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한 꽃에 암술, 수술이 모두 들어 있는 꽃을 양성화라고 하는데, 댕댕이덩굴은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암수가 서로 다른 꽃인 '단성화'인 것이다. 산림청 자료는 '이가화(二家花)'로 설명하고 있으니 올바른 것으로 생각된다.     2007. 07. 02-03.  대모산   ● 댕댕이덩굴 수꽃 : 수꽃의 수술은 6개이다.         댕댕이덩굴의 꽃받침갈래조각과 꽃잎은 각각 6개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것도 의문점이다. 꽃받침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면 (살펴 보아도 따로 보이는 것은 없어 보이는데) 6개의 꽃잎.. 2007. 7. 9.
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암꽃, 수꽃, 열매 방기과 새모래덩굴속의 유일한 자생종인 새모래덩굴은 암수딴그루로 5∼6월에 연한 노란색 꽃이 잎겨드랑이에 나온 꽃대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2007. 04. 14.  경남 합천           2007. 06. 09  남한산성    꽃받침조각이 4∼6개이고 꽃잎이 6∼10개이며 수술이 12∼20개이다.      암꽃은 암술이 1개이고 암술머리는 2개이며 3개의 심피로 구성된다.            ● 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  미나리아재비목 방기과 새모래덩굴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털이 없고 길이가 1∼3m이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와 폭이 5∼13cm이며 둥근 콩팥 모양 또는 둥근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얕게 5∼7개로 갈라진다. 잎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 2007. 4. 20.
댕댕이덩굴 Coculus trilobus 댕댕이덩굴은 황해도 이남의 들판이나 숲가에서 자라는 방기과(새모래덩굴과) 댕댕이덩굴속의 덩굴성 나무이다. '댕강덩굴'이라고도 한다. 줄기가 목질화되므로 풀이 아닌 나무로 분류된다.     2006. 06. 17.  대모산             ● 댕댕이덩굴 Coculus trilobus  /  미나리아재비목 방기과 댕댕이덩굴속 낙엽활엽 덩굴식물줄기는 3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줄기와 잎에 털이 있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길이 3∼12cm, 나비 2∼10cm로서 3∼5맥이 뚜렷하다.꽃은 양성화로 6월에 황백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원추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꽃받침조각과 꽃잎 및 수술은 각각 6개이며 암꽃은 6개의 헛수술과 3개의 심피(心皮)가 있다.. 2006. 7. 3.
댕댕이덩굴 열매 Coculus trilobus 서리 내리는 가을 포도송이처럼 조랑조랑 달린 군청색 열매가 탐스럽고 아름답다. 어린 시절 '댕기넝쿨'이라 불렀던 식물,  '댕강넝쿨이라고도 하는데, 황해도 이남의 들판이나 숲가에서 자라는 새모래덩굴과(또는 방기과)의 덩굴성 반관목이다. 암수딴그루로 열매가 달리는 나무는 암꽃이 피는 암그루이다.    2006년 11월 초순.  남한산성    잎은 다 졌지만 중간중간에 동글동글한 '산마'의 살눈이 보이네요. 저 살눈이 땅에 떨어져서 새 생명이 탄생한답니다.     ● 댕댕이덩굴 Coculus trilobus  /  방기과 댕댕이덩굴속 낙엽활엽 덩굴 반관목줄기는 3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윗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한다. 줄기와 잎에 털이 있다. 잎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길이 3∼12c.. 2005. 11. 18.